건물주 “호미곶 관광지구단위계획 해제” 촉구하며 항의 표시로 귀신 마네킹 설치 무섭지만 재미있다는 반응에 SNS 입소문타고 이색 명소 포항시, 민원에 따라 흉물로 규정하고 건물주에 철거 요구
호미곶면에 솟아오른 ‘상생의 손’ 조형물은 포항의 상징과도 같다. 해마다 수많은 관광객이 일출 명소다. 조금만 시선을 옮기면 전혀 다른 풍경이 나온다.
조형물과 마주한 채 오른쪽으로 40m쯤 걸으면 낡은 조립식 건물이 있는데, 한때 횟집으로 쓰인 이곳은 ‘호미곶 귀신의 집’으로 불린다.
7일 본지 취재진이 찾은 귀신의 집 벽체는 군데군데 갈라지고 창문은 바람에 삐걱대며 기묘한 분위기를 풍긴다. 건물 사이로 불쑥 나타나는 인체 형상은 움찔하게 만든다. 가까이 가서야 무표정한 마네킹임을 알 수 있지만, 등골이 오싹했다.
밤이 되면 긴장감이 더 커진다. 건물 안 붉은 조명이 켜지면서 마네킹의 실루엣이 선명해진다. 파도와 삐걱대는 철문 소리가 겹치면서 건물 앞을 지나는 이들은 발걸음을 멈추고 사진을 찍거나 놀란 표정으로 뒤돌아보곤 한다.
마네킹은 건물주 A씨가 2023년 초부터 설치했다. 항의의 표시다. 1981년 ‘영일만관광지구’와 2003년 ‘호미곶관광지구’로 지정돼 개발 행위가 제한되면서 토지주가 땅을 갖고 있어도 새 건물을 지을 수 없는 상황이다. A씨는 “관광지구단위계획을 풀어 달라”는 뜻을 담아 마네킹을 세웠다고 했다.
A씨 의도대로 되지 않았다.
SNS 등에서 ‘호미곶 귀신의 집’이라는 이름으로 퍼지면서 젊은 관광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했다. 일부러 찾아와 “무섭지만 재미있다”며 사진을 찍어 공유하는 이들이 늘었다. 시위를 위한 설치물이 관광객을 불러들이는 이색 명소로 변해버린 것이다.
포항시는 이 건물을 ‘흉물’로 규정했다. 주민과 관광객들로부터 “경관을 해친다”는 민원이 이어져서다. 시는 여러 차례 건물주에게 철거를 요청했지만, 나아진 게 별로 없다. 처음 세워진 마네킹 3개에서 현재 1개로 줄었을 뿐이다. 건물은 여전히 서 있고 붉은 조명도 밤이면 빠짐없이 켜진다.
포항시 관광산업과 관계자는 “관광객이 몰려들어 관광자원처럼 활용되기는 하지만, 흉물스럽다는 민원도 적지 않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2003년 호미곶 관광지로 지정될 당시 주민 동의를 받아 진행한 사업이라 행정적으로 해제할 수 없는 구조”라며 “공공시설은 조성이 됐으나 호텔·콘도 같은 민간 사업은 수천억 원의 자본이 필요한 탓에 유치가 쉽지 않아 지금까지도 개발이 지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글·사진/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