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사회

“통증 치료하러 갔다가…”

경막외 신경차단술 시술후 수개월째 후유증 앓아바이러스균 오염된 주사바늘로 시술… 전신마비 최근 포항의 통증 전문치료 의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들이 후유증을 호소하는 등 의료사고 논란이 잇따르고 있다. 지난 3월 중순 포항 북구의 한 개인 의원에서 경막외 신경차단술을 받은 중년 여성 A씨. 시술 후 팔저림, 두통 등 수개월 째 심각한 후유증을 앓고 있다는 A씨는 의료사고 주장과 함께 병원 측에 반발, 지난달 29일부터 병원 앞에서 1인 시위중이다. A씨에 따르면 이 병원에서 시술을 받은 당일 혈압저하와 함께 두통, 가슴 답답함을 느껴 수액을 맞고 안정을 취한 후 집으로 귀가했다. 그러나 이후 같은 증상은 2달 가량 지속됐고 오히려 손발저림, 불면증 등 추가 증상까지 나타났다. 수 차례 병원을 추가 방문한 A씨는 병원 측이 “시간이 지나면 완화된다”는 입장만 반복하다 호전되지 않자 MRI 등 정밀검사를 권유했고 이 과정에서 향후 검사비용 일체를 부담할 것을 약속했다. 이후 A씨는 포항과 서울 종합병원 두 곳에서 400여만 원의 비용을 들여 검사한 후 병원 측에 비용을 청구했고 병원 측은 대한의사협회 공제회에 사건접수를 통해 과실여부를 밝힌 후 지급하겠다는 입장이다. A씨는 “검사비용을 부담하겠다는 말에 정밀검사를 했고 이후 비용을 청구했지만 병원 측은 오히려 인격을 모독하며 청구를 거부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해당 병원 측은 “비용 부담을 거부하겠다는 것이 아니다. 종합병원 검사 결과 뇌질환 흔적 소견이 발견돼 증상이 이에 따른 것인지 우리 병원 과실에 따른 것인지를 가리기 위해 사건접수를 했다”면서 “과실이 인정되면 책임도 당연하지만 환자 측이 의료기록물 제출 등 공제회 측 조사를 일체 거부하고 있다”고 말했다. 70대말 고령의 노인에게 치명적인 바이러스균에 오염된 주사바늘을 시술해 전신마비 상태에 이르게 한 어처구니 없는 사고도 일어났다. 가족들에 따르면 지난 3월 중순께 포항시 북구의 한 여성노인은 포항의 한 제통의원 원장으로부터 통증 치료를 위해 척추에 주사약을 주입하는 시술을 받았다. 하지만 이 환자는 얼마 뒤 전신마비와 혼수상태에 빠져 S종합병원 중환자실로 후송됐으며 의료진으로부터 `주사바늘에 묻어 있던 바이러스균이 뇌실까지 감염시켜 위독한 상태`라는 충격적 진단결과를 들었다. 당시 시술한 원장도 이 같은 과실을 모두 인정하고 대한의사협회 공제회에 사건접수를 했으며 피해자 가족들은 그 결과를 확인한 뒤 소송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다. 하지만 이들은 현재 서울의 한 대형병원으로 후송한 노모를 병구완하기 위해 온 가족이 매달려 막대한 치료비 부담은 물론 출가한 딸이 직장을 그만 두는 등 심각한 추가피해를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승희기자 shchoi@kbmaeil.com

2009-07-03

젊은 혈기가 여름철 익사사고 부른다

20대 이하 젊은층이 본인의 수영 실력을 과신한 채 하천과 강에서 안전수칙을 지키지 않은 것이 여름철 물놀이 사망·실종의 주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소방방재청에 따르면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여름철인 6~8월 408건의 물놀이 안전사고가 발생해 413명이 숨지고 33명이 실종된 것으로 집계됐다. 물놀이로 인한 사망·실종자는 2006년 148명, 2007년 143명, 지난해 155명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물놀이사고 사망·실종자를 사고 원인별로 보면 안전수칙 불이행이 51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수영 미숙 46명, 음주 수영 28명, 높은 파도 18명, 급류 7명, 수상기구 전복 2명 등의 순이다. 장소별로는 하천·강이 80명으로 절반 정도를 차지했으며, 해수욕장 27명, 바닷가 22명, 계곡 17명, 저수지 3명, 유원지 2명 등이다. 연령별로 보면 20대 44명, 10대 41명, 50대 이상 25명, 40대 21명, 30대 13명, 10대 미만 11명의 순으로, 20대 이하의 안전의식 부족과 자만심 등이 물놀이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소방방재청은 올해 물놀이 안전사고를 줄이고자 8월까지 전국의 주요 물놀이 장소 393곳에 민간자원봉사자 7천103명으로 구성된 `119 시민수상구조대`를 배치하고, 대한적십자사 등 7개 단체에 5천600만원을 지원해 인명구조와 안전사고 예방 홍보활동을 벌일 계획이다./연합뉴스

2009-07-02

폭염속 정전… 상인들 `화들짝`

25일 낮 최고 기온 35.3도를 기록하는 등 포항지역에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가운데, 오후 3시께 북부해수욕장 일대에 정전사고가 발생, 상인들이 큰 혼란을 겪었다. 한국전력공사 포항지점에 따르면 이날 북부해수욕장 지중화 선로 변압기 1대의 개폐기가 오작동하며 오후 2시50분께부터 20여분간 동빈동 등 일부 지역에 정전이 발생했다. 무더위가 한창 기승을 부릴 시간에 발생한 이번 사고는 북부해수욕장 일대 상인들에게 때아닌 `재난`으로 작용했다. 이날 사고 당시 기온은 무려 35.0도(포항기상대 제공). 특히 구름조차 없는 맑은 날씨에 일조량이 크게 늘어난 데다 바람까지 거의 불지 않아 체감 기온은 더욱 높았다. 하지만, 정전으로 에어컨 사용은 물론 냉장고, 수족관 등의 가동이 모두 중지되자 상인들은 식품 변질과 어패류 폐사 등을 우려하며 사태 수습에 급급한 모습이었다. 북부해수욕장에서 횟집을 운영하는 L씨(48·여)는 “갑자기 수족관의 산소 공급기와 온도 조절기가 멈춰 깜짝 놀랐다”며 “한낮에 잠깐 발생한 정전이었다고 해도, 식중독 등 식품관리에 워낙 민감한 시기라 부랴부랴 얼음을 냉장고와 수족관에 집어넣는 등 진땀을 뺐다”고 말했다. 정전 사고는 발생 10여분이 흐른 후 일단락되는듯했으나, 이후 2~3번의 단기 정전이 이어지면서 상인들을 더욱 불안케 한 뒤, 20여분이 흐른 3시10분께 완전 복구됐다. 한전 관계자는 이번 사고에 대해 “지난 2007년 10월 지중화 설비 때 지상에 설치한 변압기의 내부 장치 일부가 불량을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며 “워낙 복잡한 기기라 완전복구에 시간이 걸렸다. 앞으로 이런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 사전 점검을 확대, 미리 정전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해명했다./신동우기자 beat082@kbmaeil.com

2009-06-26

대리운전 콜 정보 조작 … 업자 등 32명 구속·입건

대구경찰청 사이업수사대는 23일 모 프로그램 개발업체 관계자 최모(42)씨와 이들이 개발한 불법 프로그램을 대리운전 기사들의 단말기에 다운로드시켜 주고 수수료를 받아 챙긴 D업체의 유통책 한모(45%대리기사)씨 등 3명을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보호에 관한 법률 위반 등의 혐의로 구속했다. 경찰은 대리운전 모 업체 운영자 백모(36)씨와 대리운전 기사 김모(43)씨 등 29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최씨 등은 지난해 초 대리운전 기사가 가지고 다니는 단말기와 콜센터 서버간 교신 프로그램을 분석한 뒤 교신 주기를 정상적인 간격(2초)보다 훨씬 짧은 0.5~1.9초 간격으로 줄이는 불법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이들은 개발한 프로그램을 유통책들을 통해 전국의 대리운전 기사 6천여명에게 다운로드 시켜주고 1인당 월 6만~12만원씩을 수수료로 받는 등 그동안 8억8천여만원을 받아 챙긴 혐의다. 대리운전 기사 겸 유포책들인 한씨 등은 동료 기사들에게 접근, 이 같은 프로그램을 소개시켜주고 최씨 등이 받은 돈의 30% 가량을 수수료로 챙겼다. 경찰조사에서 이 프로그램을 이용한 일부 대리운전 기사들은 여타 기사들에 비해 훨씬 많은 콜 정보를 받았지만 자신들이 이를 다 소화하지 못해 보조 기사까지 쓴 것으로 드러났다./김성용기자kimsy@kbmaeil.com

2009-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