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통령을 뽑는 기준은 유권자마다 다를테지만, 최대한 보편타당한 잣대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 후보의 출신 지역 혹은 상징조작된 이미지에 휩쓸리거나, 진영의 논리에 매몰돼 한표를 행사했다가는 낭패를 볼 수 있다. 후보의 자질과 도덕성, 정치철학과 정책비전, 의사결정과 소통 능력 등 국가 최고 리더십의 구성요소 전반을 면밀히 살펴보는 일은 기본이다. 여야 후보들이 내세운 정책공약의 실현 가능성과 후보 주변의 인물들까지 꼼꼼히 따져서 옥석을 가린 뒤 투표를 해야 한다. 그게 그나마 `잘못된 선택`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다. 후보가 내세운 각종 정책공약은 임기 5년의 로드맵이며, 후보 주변의 인물은 이를 집행해 나갈 잠재적 인재풀이기 때문이다.
무소속 안철수 전 대선후보의 사퇴로 크게 불어난 부동층의 표심 향배도 관심이다. 이들 새로운 부동층이 이번 대선의 승패를 가를 결정적인 변수로 등장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어서다. 이들은 열렬한 지지를 보냈던 안철수 전 후보의 퇴장으로 당장엔 마음 둘 곳이 없겠지만, `기권` 보다는 차선을 택하는 전략적 투표에 나설 필요가 있다고 감히 제안한다. 새 정치 구현을 추구했던 안 전 후보의 가치와 정책적 요소가 어느 쪽에 더 많이 반영될지를 판단기준으로 삼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 될 수 있겠다. “안철수의 쇄신안을 반영하겠다”는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와 “안철수의 새정치를 꼭 실천하겠다”는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 사이에서 진정성 있는 쪽을 가려내는 일에 부동층 유권자들이 노력하길 기대한다.
유권자들은 3주 남짓 진행되는 공식 선거운동기간에 후보들이 발신하는 `긍정의 메시지`에 눈과 귀를 열어두길 권한다. 상대후보를 깎아내리거나 헐뜯는 비방전에는 매몰차게 등을 돌려야 한다. 선거판이 혼탁해질수록 유권자들의 판단은 이성 보다는 감성의 지배를 받기 십상이다. 이런 틈새를 이용해 막바지 흑색선전과 `묻지마 폭로전`을 시도하려는 세력이 있다면 표로 응징해야 한다. 그래야 구태의 고질적인 사슬을 끊을 수 있다. 주권자인 국민에게 투표는 권리인 동시에 의무다. 마음에 드는 후보를 골라 꼭 투표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