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스코 노사, 2025년 임단협 잠정합의···투쟁 일변도 교섭문화에 ‘변곡점’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09-05 22:14 게재일 2025-09-08 6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5일 저녁 포스코 노사가 2025년 임금 단체협약을 무쟁의 조기 합의를 이뤄냈다. 사진은 포스코 포항제철소 정문 전경. /김진홍기자

포스코 노사가 5일 저녁 2025년 임금·단체협약(임단협) 잠정 합의안을 도출했다. 제조업계에서 수년간 반복돼 온 ‘교섭 결렬–조정 신청–쟁의행위’의 공식화된 절차를 거치지 않고, 무쟁의 조기 합의에 이른 점이 주목된다.

이번 합의는 여야가 공동 발의한 ‘K-스틸법’ 추진, 정부·국회·지역사회의 철강산업 지원 기조 등 외부 환경 변화와 맞물려 이뤄졌다. 노사 모두 “철강산업 초격차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겠다”는 공감대를 형성했고, 이 인식이 교섭 과정 전반에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다.

잠정 합의안에는 △기본임금 11만원 인상 △철강경쟁력 강화 공헌금 250만원 △WSD(World Steel Dynamics) 15년 연속 세계 최고 철강사 선정 기념 우리사주 취득 지원금 400만원 △지역 소상공인과의 상생 차원에서 지급하는 지역사랑상품권 50만원이 포함됐다. △생산성과 보상을 연계하는 PI(Productivity Incentive) 제도 신설, △입사 시기에 따라 달랐던 임금체계의 일원화, △작업중지권 사용 확대 등 근로환경 개선 조항도 담겼다. 예년보다 많은 단협 안건을 다뤘음에도 합의까지 걸린 기간이 짧았다는 점이 차별화 요소다.

업계 관계자는 “이번 합의는 노사 모두 철강경쟁력 복원이라는 공동 목표를 분명히 하고, 상호 신뢰 속에서 교섭력을 발휘한 사례”라며 “제조업계 전반의 임단협 패러다임 전환 가능성을 보여줬다”고 말했다. 그는 “포스코 노조가 보여준 투쟁과 상생의 균형은 다른 기업에도 참고 사례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포스코 노사는 이번 합의를 계기로 안전한 현장 구현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산업 경쟁력 회복과 직원 권익 향상을 동시에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잠정 합의안은 다음 주 조합원 찬반 투표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김진홍경제에디터·김보규기자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