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메르스피해 지원 은행대출 쥐꼬리

고세리기자
등록일 2015-06-29 02:01 게재일 2015-06-29 11면
스크랩버튼
재원 중 1.82%만 집행<Br>금감원, 금융지원 촉구

메르스 피해를 입고 있는 관련업계에 대한 은행권의 경영지원 대출 실적이 지원 한도의 2%에도 못미치는 등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따라 은행권의 적극적인 대출지원과 함께 대국민 홍보 등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28일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신한·우리·하나·농협 등 5개 은행이 지난 25일까지 메르스 피해자들과 중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진행한 신규 대출 규모는 약 154억7천만원이다.

이는 이들 은행이 메르스 지원으로 마련한 재원(8천500억원)의 1.82%에 불과한 수치다.

농협은행의 경우 지난 17일부터 25일까지 9일간 289건에 걸쳐 66억8천만원을 대출했다. 농협은행의 메르스 관련 대출 규모는 3천억원이며 이 가운데 2.22%만 신규 대출이었다. 돌아오는 대출 만기일을 1년간 연장해 주는 `만기 연장`(8억6천만원)까지 포함해도 집행률은 2.51%에 불과하다.

국민은행은 같은 기간 63건에 걸쳐 28억6천만원의 대출을 승인해 메르스 재원 3천억원 가운데 0.95%만 집행했다.

우리은행은 지난 15일부터 25일까지 127건에 걸쳐 37억원(7.4%)을 신규대출했다. 1천억원을 대출하겠다고 밝힌 신한은행은 25일까지 18건 20억2천만원(2.02%)을 대출해 줬다.

하나은행은 1천억원을 마련했지만 25일까지 2억1천만원(0.21%)을 중소상공인 등에게 빌려주는데 그쳤다.

대출지원이 이처럼 저조하자, 금융감독원이 은행들의 금융지원을 촉구하고 나섰다.

진웅섭 금감원장은 지난 25일 18개 은행 여신담당 부행장들을 만나 “메르스 관련 대출 취급 과정에서 금융회사 임직원의 고의·중과실이 없다면 금감원은 취급자에 대해 부실 책임을 묻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메르스 사태로 경영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관련업계는 은행권이 대출지원 목표액만 설정해뒀을 뿐, 보다 적극적인 지원노력을 하지않고 있다는 입장이다.

지역 여행업계 한 관계자는 “만기 연장 및 신규자금 대출 등에 은행권이 기존 대출과 같은 까다로운 조건을 요구하고 있어 일부 금리만 낮다는 잇점에도 영세업체들은 그림의 떡인 셈이다”고 말했다.

/고세리기자

manutd20@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