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금리의 역습` 1천344조 가계빚 비상

연합뉴스
등록일 2017-03-13 02:01 게재일 2017-03-13 11면
스크랩버튼
금리 1%P 인상시<BR>한계가구 빚 25조↑

미국이 이번 주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시장금리 상승세가 가속되는 `금리의 역습`이 본격화될 수 있어 1천344조원을 넘어선 한국의 가계부채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여러 금융기관으로부터 돈을 빌린 다중채무자나 저신용자, 자영업자 등 가계부채의 `약한 고리`로 지목되는 취약계층은 경기 부진 속에 금리 인상까지 겹치면 채무 상환에 상당한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대출 심사 및 원리금분할 상환 비율 강화 등 대출을 엄격하게 관리하고 취약계층 채무부담 완화 등의 집행 속도를 최대한 높이기로 했다.

올해 1월 주춤하는 듯했던 은행권 가계대출은 2월에 3조원 가까이 늘어 증가세가 다시 확대됐다.

한국은행의 금융안정보고서를 보면 작년 9월말 기준 개인사업자로 등록된 자영업자는 141만명이다.

이중 가계부채와 기업부채를 동시에 보유한 차주(대출자)는 113만명에 달한다.

자영업자의 80%가 중복대출자인 셈이다.

다중채무자 증가 추세도 가계 빚 문제를 현실화시킬 수 있는 뇌관 중 하나다.

개인신용평가사인 나이스평가정보의 2012~2016년 다중채무자 분석 자료를 보면 지난해 말 5곳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은 다중채무자는 101만7천936명으로, 2012년 말보다 5.0% 늘었다. 이들이 보유한 대출액은 108조9천324억원으로 4년 전보다 20.9% 증가했다.

저신용자 역시 가계 빚 문제를 위태롭게 하고 있다. 저신용자 중 변동금리 대출자들이 많아 금리가 올라가면 금리 인상 쓰나미에 휩쓸릴 가능성이 크다.

한은은 10개 신용등급 중 7~10등급인 저신용 차입자의 대출 중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80%를 넘는 것으로 추정했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2월 말 국회 보고에서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추가 이자 부담이 9조원 늘어날 것으로 추정했다.

한계가구의 부담은 더 늘어난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의 김종민(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달 말 한은 자료를 토대로 대출금리가 1%포인트 오르면 한계가구 금융부채가 25조 급증한다고 분석했다. 한계가구는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고 처분 가능한 소득 대비 원리금(원금과 이자) 상환액 비중이 40%를 넘는 가구를 말한다.

/연합뉴스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