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회복 가능성이 낮아져, 3년이 지나면 사실상 가망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상당수는 정부 구제노력을 통해서야 채무불이행자 딱지를 뗄 수 있었다. 특히 저축은행과 카드사 등 제2금융권에서 돈을 빌렸거나 신용대출을 받은 경우와, 자영업자, 다중채무자 등 조건에서 신용회복률이 낮았고 자력으로 빚을 갚을 확률도 낮았다.
한국은행은 처음으로 채무불이행자 신용회복 과정을 추적한 결과를 `금융안정상황` 자료에 21일 공개했다.
한은이 2014년 새로 채무불이행자가 된 39만7천명을 추적한 결과 3년 6개월이 지난 올해 6월 말 현재 19만4천명(48.7%)만이 신용을 회복했다.
한은은 나이스평가정보의 정보를 활용해 분석했다. 신용회복은 신용정보원 채무불이행 정보에서 해제된 것으로, 채무불이행 이전 수준으로 돌아간 것은 아니다.
신용회복에 성공한 채무불이행자 중 13만3천명(68.4%)은 스스로 혹은 주변 도움등으로 빚을 갚았다.
반면 3만9천명(20.1%)은 자력으로 벗어나지 못하고 정부의 채무조정제도 등 지원을 받았다. 나머지 2만2천명(11.5%)은 신용회복 방식이 확인되지 않았다.
채무불이행이 발생하고 3년이 지나면 신용회복 가능성이 크게 낮아졌다.
채무불이행자 대비 신용회복자 비율인 신용회복률이 채무불이행 발생 후 1년 이내는 29.5%에 달한다.
시간이 지날수록 신용회복률이 급격히 하락해서 1~2년은 10.6%, 2~3년은 7.5%로 낮아지고 3년 이상은 1.1%에 불과하다.
신용회복자 중 60.5%가 1년 이내 채무불이행 딱지를 떼는 데 성공했다. 1~2년은 21.8%, 2~3년은 15.4%, 3년 이상은 2.3%에 그쳤다.
저축은행 등 제2금융 대출 차주 신용회복률이 상대적으로 낮다. 이들은 자력으로 신용회복에 성공한 비율도 낮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