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상조업체 78% 자본금 아직 안늘려

연합뉴스
등록일 2018-08-30 20:47 게재일 2018-08-30 11면
스크랩버튼
5개월 뒤 ‘상조대란’ 우려
내년 1월부터 상조업체 자본금 기준이 올라가지만 전체 78%가 아직 이를 맞추지 않고 있어 상당 수가 등록 말소되는 ‘상조대란’이 현실화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

재무구조가 취약한 업체들은 이미 해지한 고객 돈을 돌려주지 않는 등 불법행위를 하는 실정이어서 정부가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9일 이러한 내용이 담긴 2018년 상반기 선불식할부거래(상조) 직권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할부거래법은 상조업체 내실화를 위해 2016년 자본금 기준을 3억원에서15억원으로 높였다. 이미 등록한 업체는 내년 1월 24일까지 이 기준에 맞춰야 한다.

공정위는 자본금 증자 계획을 제출하지 않거나 2017년도 회계감사보고서를 지연·미제출한 35개 취약 상조업체를 대상으로 6∼7월 직권조사를 벌였다.

조사 결과 이 가운데 66%에 해당하는 23개는 선수금 보전비율(50%)을 맞추지 못하거나 해약 환급금을 고객에게 주지 않는 등 법 위반 행위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정위는 이 가운데 19개(54%)가 자본금 증자 가능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분석했다.

10월부터는 매달 자본금 미충족 업체 명단을 공개할 계획이다.

소비자를 위해서는 기존 가입 금액을 그대로 인정받을 수 있는 ‘내 상조 그대로’, ‘장례이행보증제’ 등 대안상품 서비스 안내를 강화한다.

피해가 생기면 신속 구제할 수 있도록 전국 소비자원에 전담 직원도 지정한다. 홍정석 공정위 할부거래과장은 “소비자는 자신이 가입한 상조업체가 자본금 요건을 충족했는지를 수시로 확인하고 납입금이 은행이나 공제조합에 정상적으로 예치되고 있는지를 정기적으로 확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합뉴스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