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능소화 아름다운 ‘원이엄마 테마공원’으로

등록일 2025-07-01 19:17 게재일 2025-07-02 12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안동시 정하동에 있는 원이엄마 테마공원에 핀 능소화.

여름꽃 능소화는 여느 꽃들과 달리 시들지 않고 떨어진다. 떨어지는 순간에도 나무에 열렸던 그대로 떨어져 처음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간직한다. 그런 특징 탓일까, 능소화의 꽃말은 명예, 영광, 고귀한 마음 그리고 기다림, 그리움이다. 

 

능소화는 담쟁이 덩굴식물로 줄기의 마디에서 나온 흡반이 건물의 벽이나 다른 구조물을 타고 올라 높이 10m 이상까지 자랄 수 있다. 

 

전설에 의하면 ‘소화’라는 궁녀가 임금을 그리워하다 죽어 담장 가에 묻힌 후 피어난 꽃이라 하여 능소화라 불렀다 한다. 또 옛날에는 양반집 마당에서만 키울 수 있었기에 금등화(金藤花)라는 별칭으로도 불렀는데 양반집 담장을 넘어 흐드러지게 피어난 꽃이 부를 상징하여 그렇게 불린 듯하다. 

 

안동의 능소화 명소는 안동시 정하동 원이엄마 테마공원을 들 수 있다. 2014년에 만들었는데 정하동에 자리한 이유가 따로 있다. 1998년 4월 24일 안동시 정하동 택지 조성 공사 중 고성이씨 문중 묘 이장 중에 이응태(1556~1586)의 묘가 발굴되었다. 

 

그리고 놀랍게도 이응태의 미라와 함께 그의 아내 원이엄마가 쓴 한글 편지와 머리카락으로 삼은 미투리가 출토돼 세계를 놀라게 했다. 편지의 내용은 “당신 언제나 나에게 둘이 머리 희어지도록 살다가 함께 죽자고 하셨지요. 그런데 어찌 나를 두고 당신 먼저 가십니까?”로 시작하는 가슴 절절한 그리움을 담은 사연이다. 

 

400년 넘는 세월 동안 썩지 않은 시신과 좀 쓸지 않은 편지는 과학적으로 증명할 길이 없다. 안동대학교 박물관에서는 원이엄마의 편지와 함께 수습한 미투리, 장신구 등을 보존처리하고 형태를 복원해 특별전시회를 열기도 했다. 

 

이후 이들의 아름다운 사연은 한겨레문학상을 수상한 조두진 작가가 소설 ‘능소화’로 다시 그려졌다. 능소화 피던 여름에 만나 능소화 피던 여름에 헤어진 이응태 부부의 사랑 이야기로, 강인한 생명력으로 피어나 떨어지는 꽃 능소화를 노래하고 있다. 

 

여름날 담장에 흐드러지게 핀 능소화에 원이엄마의 사연이 오버랩 되며 능소화는 어쩐지 처연한 아름다움까지 더한 꽃 같다. 햇살이 강렬한 날에도 품위를 잃지 않고 담장에 얹혀 고스란히 더위를 이기고 핀 꽃, 바야흐로 능소화의 계절이다.


/백소애 시민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