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소비쿠폰 풀었더니 할인 ‘뚝’… 소비자 불만↑

장은희 기자
등록일 2025-07-28 15:52 게재일 2025-07-29 5면
스크랩버튼
학원·식당·마트 등 줄줄이 인상
소비유도정책 무색, 장보기 부담
소매업체·소비자 상생 해법 필요
Second alt text
28일 대구 남구의 한 마트에 소비쿠폰이 발행하기 전인 20일까지 할인 행사를 진행하는 현수막이 붙어 있다. /장은희기자

정부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지난 21일부터 순차 지급되자 일부 자영업자와 상점들이 가격을 인상해 소비자 불만이 커지고 있다.

정윤경씨(40·대구 달서구)는 28일 평소 자주 가던 동네 마트에서 우유 가격이 두 개 묶음에 4850원에서 5850원으로 며칠 사이 1000원이나 오른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두부, 계란, 콩나물 등도 적게는 100~200원부터 많게는 700~800원까지 일제히 올라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크게 늘었다.

정씨는 “소비쿠폰을 받기 전에는 할인 문자도 자주 오고 품목별로 돌아가며 세일을 했는데, 이제는 할인 없이 정가로만 판다고 한다”며 “예전 처럼 5만원으로 가득 채우던 장바구니가 이제는 절반 밖에 안 찬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시장이나 식당도 사정은 비슷하다.

대구 남구 봉덕시장에서 만난 주부 이정순씨(67)는 “자주 가던 식당이 소비쿠폰 지급 직후 주 메뉴 가격을 8000원에서 9000원으로 올렸다”며 “다른 메뉴도 줄줄이 인상됐다. 자영업자만 이득을 보는 구조다”고 지적했다.

교육비도 예외는 아니다.

고등학생 자녀를 둔 김혜윤씨(49·수성구 지산동)는 “우리 동네 수학학원이 소비쿠폰 지급 시기에 맞춰 한 과목당 5만 원씩 수강료를 인상했다”며 “전 과목을 다 합치면 한 명당 20만 원 넘게 더 부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학원 측이 소비쿠폰 때문에 학부모들이 수강을 포기하지 않을 거라 보고 가격을 올린 것 같다”고 지적했다.

일부 소비자들은 소비쿠폰 사용처를 제한하겠다는 입장이다.

직장인 강은효씨(35·북구 사수동)는 “시장이나 개인 식당처럼 가격이 유동적인 곳에선 쿠폰 사용이 꺼려진다”며 “편의점이나 병원 처럼 가격이 고정된 곳에서만 사용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박태경 영남대 경영학과 교수는 “소비 쿠폰 발행 이후 할인율을 축소하거나 할인 자체를 중단하는 것은 사실상 가격 인상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이는 소비 쿠폰의 본래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며 “소비자들 역시 합리적으로 소비를 판단하기 때문에 쿠폰 사용 기간이 종료된 이후에는 오히려 소매업체가 장기적으로 손해를 볼 수 있다. 실질적인 가격 인하를 통해 소비자와의 상생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