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건비·물가 상승·배달비 영향 대구 자영업자 부채 56조 근접
폐업한 대구·경북 자영업자가 7만 7000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건비 인상, 물가 상승, 배달비 등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됐다.
30일 국세청 국세통계포털(TASIS)에 따르면 지난해 대구·경북 지역의 사업자는 약 86만 9000명이며, 개인사업자 수는 77만 2000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개인사업자의 경우 대구는 36만 5000명, 경북이 40만 7000명으로 전체 사업자 중 각각 89.7%, 88.1% 비중을 차지했다.
최근 5년간 추이를 보면 대구·경북 개인사업자 수는 지난 2020년 67만 7000명에서 4년 새 9만 5000명 늘었다. 이 기간 신규 개인사업자는 10만 6000명에서 9만 1000명으로 감소했으나, 폐업자는 7만 381명에서 7만 7000명으로 증가했다.
업태 중에선 소매업·서비스업·음식업 등의 폐업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지난해 전국의 소매업 폐업자는 2020년 대비 11만 6000명 불어난 28만 9000명이었다.
이러한 상황은 인건비부터 자재비까지 줄상승해서다.
폐업자가 많은 소매업, 음식업 등은 아르바이트생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최저임금 인상 영향을 크게 받는 업종으로 꼽힌다. 최저임금은 지난 1988년 최저임금 제도 도입 이후 매년 상승해 왔다. 내년에는 시간당 1만 320원으로 올해 대비 290원(2.9%) 상승을 앞두고 있다.
물가 상승은 자재비 부담으로 이어짐을 보였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6월 대구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16.29(100=2020년)로 지난해 대비 2.1% 상승했다. 경북 소비자물가지수(116.91)도 2.1% 상승을 기록했다. 2021년과 비교하면 물가 상승률은 대구 13.9%, 경북 14.3%다.
배달비 부담도 한 몫을 차지한다. 배달 플랫폼 가맹점들은 중개 수수료와 배달비 부담이 큰데도 대형 플랫폼을 중심으로 배달 주문 비중이 높아 가맹을 유지하지 않을 수가 없다. 또한, 배달 기사에 지급하는 배달비는 보통 가맹점과 고객이 분담하는데, 최근 들어 주요 플랫폼이 경쟁적으로 ‘무료 배달 서비스’를 도입하면서 배달비 부담이 가맹점에 전가됐다는 게 업계의 설명이다.
외식업계 관계자는 “갈수록 자영업을 하기에 어려운 환경이 되고 있다”면서 “대출이 없는 자영업자가 없는데 이자 부담이 크다. 대부분 4~5%대 대출이자를 내고 있는데, 2~3% 수준으로 낮춰 주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대구 자영업자 부채가 55조 9000억 원을 돌파했다. 한국은행이 지난 28일 발표한 ‘지역경제보고서 7월호’에 따르면 대구 자영업자 부채는 5년 새 1.4배 늘고, 차주수도 1.5배 증가했다. 1인당 평균 부채는 3억 8000만원으로, 광역시 중 가장 높다.
2024년 상반기 대구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은 2.7%로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돌았다. 특히 50대와 숙박음식업, 저신용·중고소득 차주, 상호금융권에서 연체가 빠르게 늘었다. 취약차주 비중은 2019년 하반기 8.1%에서 2024년 상반기 12.3%로 올랐다. 같은 기간 취약차주 연체율은 9.0%에서 19.7%로 치솟아, 타 광역시의 2배를 넘는다. 연체차주 1인당 연체액 역시 1억9000만 원으로 5년 만에 두 배 가까이 증가했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