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1일로 예정된 한미 관세 협상 시한을 앞두고 정부가 미국산 사과 수입을 검토하자 사과 주산지인 경북 북부권의 거센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상주시의회는 30일 성명을 내고 “미국이 관세 인하를 조건으로 미국산 소고기와 사과 등 농축산물 시장의 추가 개방을 요구하는 것에 강력하게 반대한다”라면서 “산불 피해, 기후 재난, 전염병 등으로 삼중고를 겪고 있는 농촌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우리 농업과 먹거리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상주시의회는 미국산 소고기·사과 등 주요 농축산물을 협상 대상에서 배제할 것과 농축업의 공익적 가치와 생존 기반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분명한 원칙을 수립할 것 등을 정부에 촉구했다.
안동시의회도 미국산 농산물 수입 확대 논의를 중단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시의회는 생산비 상승 등 복합적 위기로 생존을 위협받는 상황에서 미국산 농산물 추가 개방 논의는 농업인의 생존과 국민 식탁 안정성을 해친다고 주장했다.
안동시의회는 미국산 농산물 수입 확대 의제를 협상 테이블에서 제외하고, 농업을 통항 협상의 교환 조건으로 삼지 않는 국가적 원칙을 설정하고 법제화하라고도 했다.
앞서 사단법인 한국사과연합회는 지난 29일 상주시 연합회사무실 앞에서 ‘미국산 사과 수입 추진 반대 결의대회’를 열고 미국산 사과 수입 검토 즉각 철회를 촉구했다. 연합회는 결의문을 통해 “통상협상에서 사과를 비롯한 주요 농산물을 제외하고, 정부와 국회는 국내 사과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종합대책을 즉각 수립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연합회는 특히 정부와 국회가 국내 사과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종합대책을 즉각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곽인규·피현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