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외동포청·KISA, NH농협·IBK·NICE평가정보 등과 협약··· ‘재외국민 인증서’와 ‘아이핀’ 확대 적용
해외에 거주 중인 재외국민들이 앞으로는 국내 온라인 서비스 이용 시 신원확인 절차가 한층 간편해질 전망이다. 국내 휴대전화가 없어 불편을 겪던 재외국민들을 위한 비대면 본인확인 수단이 다양해지고, 활용 분야도 대폭 확대되기 때문이다.
재외동포청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30일 NH농협은행, IBK기업은행, NICE평가정보와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재외국민 인증서’와 함께 ‘재외국민용 아이핀’ 발급 체계를 본격 가동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11월 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과 토스 등이 참여해 ‘재외동포인증센터’를 구축한 데 이은 후속 조치다.
특히 이번 협약으로 국내 은행 계좌나 휴대전화 없이도 재외국민이 다양한 인증수단을 활용해 전자정부 서비스는 물론, 민간의 금융·쇼핑·의료·통신·교육 분야 온라인 서비스까지 폭넓게 이용할 수 있게 됐다.
현재 재외국민이 발급 가능한 인증수단은 기존 ‘재외국민 인증서’에 더해 NICE평가정보가 제공하는 ‘재외국민 아이핀’까지 추가된다. 인증서 발급 창구도 국민·신한·우리·하나은행 등 4대 시중은행과 토스에 이어, NH농협은행과 IBK기업은행까지 확대돼 선택 폭이 넓어졌다.
‘재외국민 아이핀’은 오는 8월부터, NH농협과 IBK기업은행의 ‘재외국민 인증서’는 올 연말부터 서비스가 시작될 예정이다.
KISA는 이들 인증수단을 통해 재외국민이 국내 온라인 플랫폼(네이버 등) 로그인, 통신사 요금조회, 의료기관 진료예약, 대학의 원격교육, 보험가입 등 사실상 전 분야의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그동안 국내 서비스 대부분이 본인 확인에 휴대전화 인증을 요구해, 국내 번호가 없는 재외국민들은 전자정부 민원처리조차 쉽지 않았다. 정부는 이번 MOU를 통해 그 ‘디지털 장벽’을 사실상 허무는 셈이다.
기관별 역할도 명확히 구분됐다. 재외동포청은 비대면 인증 정책을 설계·시행하고, KISA는 기술적 연계와 인프라를 제공하며, 민간 기업들은 실질적인 인증수단을 운영하게 된다.
김연식 재외동포서비스지원센터장은 “그동안 해외에 있는 동포들이 ‘내국민과 같은 수준의 디지털 서비스’를 받지 못한 점이 늘 과제였다”며 “앞으로도 더욱 다양한 참여기관을 통해 불편 해소에 속도를 내겠다”고 말했다.
김정희 KISA 디지털안전지원본부장도 “재외국민이 어디에 있든 국내의 전자 서비스에 차질 없이 접근하도록 기술적 기반을 지속 확충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