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대표 도심공원인 두류공원이 전국 최초의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될 가능성이 커졌다.
국민의힘 권영진(대구 달서병) 의원이 대표발의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하 ‘공원녹지법 개정안’)이 지난 4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번 개정안은 국가도시공원 지정 요건을 기존 300만㎡ 이상에서 100만㎡ 이상으로 완화하고, 지정 절차도 간소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약 118만㎡ 규모의 두류공원은 지정 요건을 충족하게 되면서 ‘1호 국가도시공원’ 후보지로 주목받고 있다.
국가도시공원은 도시의 녹지 확보와 국토 균형발전, 시민 삶의 질 향상을 목적으로 2016년 법제화됐으나, 그간 과도한 지정 요건과 절차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아직까지 한 곳도 지정되지 못했다.
권영진 의원은 “그동안 까다로운 지정요건으로 제 역할을 하지 못했던 국가도시공원 제도가 앞으로는 국토균형발전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됐다“며 “대구 두류공원이 1호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대구시와 달서구와 함께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전국에서 국가도시공원 지정을 추진하는 지자체는 대구를 포함해 인천, 부산, 광주 등 네 곳이다.
대구시는 하루 평균 3만 5500명이 찾는 두류공원을 문화·여가 복합공원으로 활용해 온 만큼, 국가도시공원 지정 시 도시 브랜드 가치 제고와 시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대구문화예술회관, 시민수영장, 이월드 등 주요 시설이 밀집돼 있는 점도 강점으로 평가된다.
인천시는 총 665만㎡ 규모의 소래습지 일대를, 부산시는 낙동강하구 을숙도·맥도 일대 약 558만㎡를, 광주시는 279만㎡ 규모의 중앙공원을 각각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받기 위한 절차를 진행 중이다.
대구 달서구는 ‘두류공원 뉴욕센트럴파크화 조성 구상 연구용역’을 통해 공원의 미래 비전을 제시했다.
이 구상은 뉴욕 센트럴파크와 런던 하이드파크를 벤치마킹해, 시민 참여형 문화·녹지 복합 공간으로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지하주차장 및 정원형 피크닉 공간 조성 △대구시 신청사, 이월드와의 보도교 연결 △시민 커뮤니티 기반 프로그램 운영 △공원 통합관리체계 구축 등이 포함됐다.
달서구는 지난 6월 ‘두류공원 미래 시민포럼’을 출범시키고, 시민과 행정이 함께 만드는 공공 공간 모델로서의 두류공원 운영 방안 마련에도 착수했다.
이승호(50·달서구 송현동) 씨는 “순천이나 울산처럼 국가 차원에서 정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니까 도시 이미지가 확실히 달라졌다. 대구도 두류공원이 국가도시공원으로 지정되면 도시 브랜드 가치가 높아질 수 있는 좋은 기회"라며 "관광객 유치나 지역경제에도 긍정적인 효과가 크다고 본다. 행정이 제대로 추진해서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줬으면 한다”고 말했다.
/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