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36일 근무에 650만원, ‘꿀알바’ 같지만 생명 지킴이 사명감 없인 힘든 일이죠”

단정민 기자
등록일 2025-08-06 16:51 게재일 2025-08-07 5면
스크랩버튼
영덕 고래불해수욕장 인명구조요원 파견 대학생 김보은씨 
Second alt text
지난 4일 영덕 고래불해수욕장에서 선린대학교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이 구조요원으로 근무하며 해변의 안전을 살피고 있다. /단정민기자

포항 선린대 응급구조학과 김보은씨(22)는 영덕군 병곡면 고래불해수욕장에서 피서객의 안전을 책임지고 있다. 지난해 포항시 북구 송라면 화진해수욕장에서 인명구조요원으로 일한 경험도 있다. 

 

대학생 4명·자격증 보유자 4명  
하루 8시간씩 교대로 현장 관찰


음주후 입수나 통제 부표 무시 등 
매번 말려도 반복되는 위험 순간
구멍없는 튜브도 사용 말아주길

김씨는 “올해는 지난달 14일부터 36일간 근무하는데, 연장근무 수당과 위험수당 등을 합하면 650만 원을 받는다”고 했다. 그러면서 “전공도 살리고, 생명을 지킨다는 자부심과 사명감도 생긴다”며 활짝 웃었다. 

얼핏 보면 ‘꿀알바’ 같지만, 김씨의 하루를 따라가보면 생각이 달라진다. 

대학생 4명과 영덕 출신 자격증 보유자 4명 등 8명의 안전요원이 고래불해수욕장에서 근무한다. 4명씩 팀을 이뤄 하루 8시간 동안 망루나 지상에서 피서객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를 관찰한다. 팀 워크를 잘 맞춰야 위험에 빠진 피서객 구조가 가능하다. 

가장 위험한 요소는 날씨보다 사람이다. 

김씨는 “술 마시고 물에 들어가거나 수영 실력을 과신하며 수심 통제 부표를 넘어가는 경우가 가장 위험하다”면서 “말로는 설득되지 않아 매번 입수해서 말리는 게 일상이 됐다”고 했다. 

그는 “구명조끼를 착용하지 않는 경우도 많고, 플라밍고 튜브와 같이 파도에 뒤집히면 사람이 빠져나올 수 없는 구조의 구멍 없는 대형 튜브를 이용하는 피서객을 말리는 것도 다반사”라고 말했다. 

무엇보다 김씨를 힘들게 하는 점은 역시 폭염이다. 여기에다 ‘집중 유지’를 보태야 한다. 

땡볕 아래에서도 두 눈은 해수욕장 이용객을 응시해야 하는데, 긴장 상태를 오래 유지하다보면 체력적으로 버거울 수밖에 없다. 김씨는 “어린이는 보호자가 자리를 비우는 경우가 많아서 더 자주 주시하게 되고,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인력이 조금 보충되면 더 빠르고 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이야기도 보탰다. 

특히 김씨는 “수심과 조류가 매일 달라지는 바다 환경을 고려해 보다 정교한 매뉴얼 마련과 교육이 필요하다”라면서 “프로토콜 체계화도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지난해 화진해수욕장 근무 때 제트스키를 타다 암초에 부딪쳐 실종된 가장이 시신으로 발견됐을 때 마음이 매우 무거웠다고 되새겼다. 김씨는 “음주 수용 금지, 구멍 없는 튜브 사용 금지 등 누구나 실천 가능한 기본적인 수칙만 제대로 지키면 스스로 안전을 지킬 수 있다”고 당부했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