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국가유산청 안동 ‘고산정’ 명승 지정 예고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5-08-19 14:51 게재일 2025-08-20 2면
스크랩버튼
퇴계 선생도 자주 방문해 유유자적한 시간 보낸 곳
국가유산청이 자연유산(명승)으로 지정 예고한 고산정./안동시 제공

국가유산청이 ‘자연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난 18일 관보를 통해 안동시 도산면 가송리 일원의 ‘고산정’을 자연유산(명승)으로 지정 예고했다. 지정 면적은 총 4필지 5만3000여㎡에 달하며, 관리단체는 안동시로 지정될 예정이다.

고산정은 조선 중기의 유학자 금난수(琴蘭秀·1530~1604)가 1564년 낙동강 절벽 위에 건립한 정자로, 퇴계 이황과의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진 장소로 알려져 있다. 금난수는 퇴계의 제자이자 학문적 동반자이다. 고산정은 단순한 휴식처가 아닌 학문과 풍류가 어우러진 정신적 공간이었다.

퇴계는 이곳을 자주 방문해 시를 짓고 강을 바라보며 유유자적한 시간을 보냈다. ‘여지도서(輿地圖書)’에도 고산정의 경관이 ‘산수가 뛰어나고 정자가 절벽 위에 있어 마치 구름 위에 떠 있는 듯하다’고 기록돼 있다.

고산정이 자리한 낙동강변은 절벽과 강물, 숲이 어우러진 천혜의 자연경관을 자랑한다. 정자는 하천변 단애 위에 위치해 사계절 마다 변화하는 풍광을 감상할 수 있다. 

특히 가을철 단풍이 물든 절벽과 강물에 비친 정자의 모습은 사진작가들 사이에서도 명소로 손꼽힌다. 인근에는 퇴계의 유람 흔적이 남아 있는 예던길과 농암종택이 있어, 고산정을 중심으로 한 문화유산의 연계성이 돋보인다.

국가유산청은 고산정이 명승 지정 기준 중 ‘저명 인물과의 관련성’, ‘위치 및 구성의 진실성’, ‘조망지로서의 경관적 가치’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퇴계 이황이라는 조선 유학의 상징적 인물과의 직접적인 연관성은 고산정의 역사적 가치를 더욱 부각시킨다.

이번 지정 예고에 따라 안동시는 고산정 일원의 보존과 활용을 책임진다. 국가유산청은 지정 예고일로부터 30일간 의견 수렴 기간을 두고 있다. 국민 누구나 관련 의견을 제출할 수 있다. 

의견은 해당 지방자치단체 또는 국가유산청 명승전통조경과에 제출하거나, 국가유산청 홈페이지의 ‘국가유산 지정예고’ 게시판을 통해 게재할 수 있다.

고산정은 조선 유학의 정신과 자연미가 어우러진 공간으로 이번 명승 지정 예고는 안동의 문화유산을 널리 알리고, 후손들에게 그 가치를 온전히 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북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