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원형 없애 버렸다”···학자도 부끄럽다는 포항지역 읍성 복원 현장 가보니

단정민 기자
등록일 2025-08-21 16:27 게재일 2025-08-22 1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청하초등학교 담벼락 아래 콘크리트에 파묻힌 읍성 성돌.

포항시 북구 청하면 청하초등학교 교가에는 ‘해아(신라 때 청하면 명칭) 땅 성터에 우뚝히 솟아’라는 구절이 있다. 지금은 생소한 지명이지만 조선 초까지만 하더라도 읍성이 있을 정도로 영일군의 한 축을 맡았던 곳이 해아다. 그 읍성 자리에는 특이하게도 현재 청하초가 자리해 있다.

21일 찾아간 청하초등학교. 교정 담벼락 아래 콘크리트에 파묻힌 돌무더기가 눈에 띄었다. 조선 세종 9년(1427년)에 쌓은 청하읍성의 돌들이다. 윤인백 마을 이장은 성벽 자리 풀숲을 가리키며 “이미 읍성 돌 절반이 훼손됐다. 복원 이야기가 잠시 나왔다가 주민 반발로 묻혔다“고 설명했다.  

Second alt text
흥해읍성 복원구간을 지나자 보이는 방치된 성벽.

흥해읍 중심부인 성내리. 이곳에서는 일부 복원된 흥해읍성이 눈에 들어온다. 그나마 흥해읍민들의 자부심을 키우게 했다는 현장이다.

흥해읍성은 고려 현종 2년(1011년)에 토성으로 축조됐다가 왜구의 침입이 잦았던 고려 말 충정왕 2년(1350년), 공양왕 1년(1389년)에는 돌로 다시 쌓아 석성으로 개축됐다. 당시 성곽의 규모는 둘레 약 1493척(약 450m), 높이 13척(약 4m), 성내에는 우물 3곳과 남·북문이 있었던 것으로 기록돼 있다.  최근 조사에서는 고려시대 토성 해자와 후기 석축, ‘ㄷ’자형 치성 등이 확인돼 군사적 요충지였음을 뒷받침했다.

포항시는 2023년 국비 14억 원을 투입해 일부 읍성 복원 등을 포함한 ‘읍성테마로’를 조성하면서 일대를 정비했다. 그런데 이때 읍성 원형을 없애버렸다는 비판이 뒤늦게 제기돼 논란이다. 계획 부실로 정작 성곽의 원형은 사라지고 관광용 간판과 조형물만 남았다는 것이다. 실제 성곽 일부가 영일민속박물관 담장 또는 인근 마을의 개인 담벼락으로 사용되고 있는 등 원형이 흩어져 있다.

반듯한 돌담과 조형물로 단장된 복원 구간에서 한 발만 더 나아가면 풍경은 더 달라진다. 방치된 성벽 바위 위에는 흙집을 지었던 흔적이 보였고, 주변에는 쓰레기와 담배꽁초가 널려 있었다. 한 주민은 “복원 과정을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봤지만, 제대로 복원되지 않아 아쉽다”고 했다. 

Second alt text
포항 연일읍성 성벽. /포항시 제공

포항시 남구 대송면 남성2리. 이곳에는 연일읍성이 위치해 있다. 성 안에는 연일정씨 시조 정습명의 묘와 재실 남성재가 남아 있는 등 유적이 아닌 삶의 일부로 존재하고 있다. 역사적 사료가치가 충분하지만, 현장은 을씨년스럽다. 포항시는 학술 용역을 거쳐 경북도에 국가 유산 지정 추진을 요청할 방침이지만 언제 복원 공사가 시작될지 요원하다.

읍성이 복원돼 하는 이유는 장기읍성에 가보면 알 수 있다. 장기읍성은 포항의 읍성 4곳 중에 가장 온전하다. 남구 장기면 읍내리 동악산 자락에 있는 이 성은 사적 제386호로 지정돼 있으며, 둘레는 약 1300m, 높이는 3.7~4.2m에 이른다. 평면은 말굽형 구조로 동해안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도록 설계됐고 서문과 북문지, 수구, 치성 12곳, 우물과 연못의 흔적이 남아 옛 모습을 짐작할 수 있다. 장기는 동해안 방어의 핵심 기지로 기능했고 지금은 복원을 통해 역사교육 공간으로 활용되면서 많은 사람이 찾고 있다.

민석규 지리학자는 “포항은 유적 등이 별로 없어 읍성을 복원, 사료적 가치로 활용해야 하나 지금까지 그러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청하읍성은 터가 그대로 남아 있어 복원 가능성이 있고, 연일읍성도 구릉지대 덕분에 일부 성벽이 1.5m 높이로 잘 남아 있어 마음만 먹으면 제대로 복원할 수 있다”며 당국에서 보다 관심을 가져야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포항시 문화유산활용팀장은 “흥해와 청하읍성은 대부분 사유지에 걸쳐 있어 시에서 직접 관리하기 어렵다”며 “문화재 지정이 선행돼야 매입과 정비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또 “예산 확보와 주민 협조가 뒷받침돼야 복원과 정비가 현실화할 수 있는데 시로서도 아쉬운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