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330년 역사 품은 ‘안동 전주 류씨 삼산고택’ 국가민속문화유산 지정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5-08-21 15:59 게재일 2025-08-22 2면
스크랩버튼
‘안동 전주류씨 삼산고택’ 전경./국가유산청

조선 후기 명망 높은 관료이자 사도세자의 스승으로 알려진 삼산 류정원(1702~1761)의 고택이 국가유산으로 등재됐다.

국가유산청은 21일 안동시 예안면에 위치한 ‘전주류씨 삼산고택’을 국가민속문화유산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삼산고택은 류정원의 부친 류석구가 1693년(계유년)에 건립한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까지 330여 년의 세월을 견뎌온 고택이다. 이곳은 류정원의 향불천위를 모시는 장소로 유학 발전에 큰 업적을 남긴 인물을 지역 유림이 사당에 영구히 모시는 전통을 따른다.

택호 ‘삼산’은 류정원이 고택 안마루에서 바라본 세 개의 산봉우리에서 유래한 것으로, 이후 마을 이름으로도 자리잡았다. 고택은 안채, 사랑채, 사당, 외양간채, 대문채 등 총 5동으로 구성돼 있으며, 경북 북부지방의 전형적인 ‘ㅁ자’형 뜰집 구조를 따르고 있다. 특히 안채와 사랑채가 별동으로 배치돼 내·외 공간의 구분이 뚜렷하며, 다양한 수장재에서 조선 후기 반가의 건축미가 잘 드러난다.

안채는 일반적인 안동지역 고택과 달리 안방과 대청이 나란히 배치돼 있고, 정침은' 一자'형 팔작지붕, 좌우 익사와 중문채는 ‘ㄷ자’형으로 구성돼 건축 시기의 차이를 반영하고 있다.

류정원은 ‘주역’을 깊이 연구해 ‘역해참고’, ‘하락지요’ 등의 저술을 남겼으며 이를 후손들이 계승해 학문적 전통을 이어왔다. 그는 현감, 대사간, 호조참의 등을 역임하며 선정을 베풀었고, 정약용의 ‘목민심서’에 11회나 언급될 정도로 당대의 모범 관료로 평가받는다.

삼산 문중은 개항기와 일제강점기 동안 독립운동가 10여 명을 배출하며 안동 지역의 사회운동을 주도한 대표적인 집안으로도 알려져 있다.

국가유산청은 “삼산고택은 역사·학문·건축이 어우러진 공간으로, 향후 역사문화관광자원으로 적극 활용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 및 소유자와 협력해 체계적인 보존·관리를 이어갈 것”이라며 “앞으로도 역사적·학술적 가치가 높은 민속문화유산을 적극 발굴·지정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북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