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 환영···철강 전용 요금제 도입 등 ‘시급’

배준수 기자 ·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08-28 14:37 게재일 2025-08-29 2면
스크랩버튼

포항이 28일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으로 지정되자 포항시와 지역 정치권, 산업계가 일제히  환영의 목소리를 냈다. 하지만 저가 중국산 철강과의 경쟁과 더불어 철강 관세 50% 유지 등 절체절명의 위기에 빠진 철강업계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생존의 기로에 선 철강산업의 위기를 새로운 도약의 기회를 삼을 수 있는 계기라고 평가하고, 최근 발의된 ‘K-스틸법’이 조속히 제정·시행되도록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시장은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이 더 큰 시너지를 내기 위해서는 전기요금 등 에너지 비용이 철강기업의 가장 큰 부담 요인인 점을 고려해 정부 차원의 실질적인 지원 장치를 마련하고, 울진과 포항을 잇는 해저 전력망인 ‘에너지 고속도로’와 수소에너지 고속도로 배관망 구축 등의 사업 추진 지원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포항시의회는 "이번 지정이 일시적인 지원에 그치지 않고 친환경 철강으로의 전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구조 개편 등 철강산업의 구조 전환의 계기가 될 수 있도록 지원과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했다. 

포항상공회의소는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진심으로 환영한다”라면서 “맞춤형 지원 등을 통해 절체절명의 어려움에 직면한 철강산업을 지켜내고, 지역경제가 하루속히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그러나 “지역 주력산업인 철강산업은 제조원가에 전기료의 비중이 매우 높아 산업의 경쟁력을 크게 저하시키고 있어 보다 실질적인 지원책이 필요하다”라면서 “그동안 건의한 ‘철강산업 전용 요금제 한시적 도입’이 포함되지 않아 아쉽다”라고 지적했다. 

지역 철강 부문의 협력업체 한 관계자는 “철강산업의 위기가 중국산 저가 덤핑 문제와 대미 수출 제품의 고율 관세 등과 같은 근본적인 원인에 있어서 국가제조업의 근원이라는 차원에서 전방위적이고 미래지향적 지원제도를 마련해야만 철강 관련 공급망 전체에 활력을 일으킬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정재 국민의힘 의원(포항 북)은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비록 늦은 감은 있지만, 산업위기 선제대응지역 지정을 환영한다”라면서도 “지정만으로는 포항의 산업 위기가 저절로 해결되지 않기 때문에 정부 예산과 정책이 제대로 집행되도록 끝까지 챙기겠다”고 밝혔다. 

이상휘 국민의힘 의원(포항 남울릉)은 “이번 지정은 포항의 위기를 넘어 대한민국 제조업 전반의 위기를 산업정책 차원에서 풀어가겠다는 전환점으로 평가된다”라면서 "지원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도록 점검해 포항이 대한민국 제조업 재도약의 심장으로 다시 뛰게 하겠다”고 했다. 

/배준수기자·김진홍경제에디터 baepro@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