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불교 건축의 흐름과 지역 문화의 정수를 담은 희귀 전각
국가유산청이 3일 안동시에 위치한 ‘광흥사 응진전(安東 廣興寺 應眞殿)’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
응진전은 조선시대 불교 건축의 양식 변화와 사찰 운영의 역사적 흐름을 보여주는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학술적·예술적 가치가 높게 평가되고 있다.
광흥사는 통일신라시대 의상대사에 의해 창건된 것으로 전해지며, 조선 전기에는 불경 간행이 활발히 이루어진 안동 지역의 대표적인 고찰로 1573년에 제작된 광흥사 동종과 17~18세기 사찰 문서 ‘광흥사중건사적’, ‘야운대선사문집’ 등 다양한 기록이 남아 있어 지역 불교문화의 중심지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응진전은 창건 연대가 명확하지 않지만, 1647년 인조 25년에 기와 공사를 했다는 망와(지붕 마루 끝 기와)의 기록을 통해 그 이전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1827년과 1946년 두 차례의 대형 화재로 대웅전을 비롯한 주요 전각이 소실됐으나 응진전은 중심 영역에서 벗어나 피해를 면해 이후 광흥사의 중심 불전으로 기능을 수행하게 됐다. 이는 부불전(보조 불전)이 주불전으로 전환된 드문 사례로, 사찰 운영의 역사적 변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단서로 평가된다.
건축적으로는 정면 5칸, 측면 2칸의 겹처마 팔작지붕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정면에는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배치한 다포계 양식을 적용해 화려함을 더했다. 측면과 배면은 간결한 구조로 화반 장식을 통해 정면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구성돼 있다. 특히 공포의 구성은 조선 전기의 고전적 형식을 계승하면서도 중기와 후기의 양식적 변화를 반영하고 있어, 불전 건축의 흐름을 시기적으로 잘 보여주는 사례로 학술적 가치가 높다.
또한, 응진전 내부에는 16세기 제작으로 추정되는 ‘소조석가여래오존상 및 16나한상 일괄’이 봉안돼 있다. 총 42구의 불상은 일반적인 사례보다 수가 많고 배치가 독특해 예술적 가치가 뛰어나 경북 유형문화유산으로도 지정돼 있다. 이 불상들은 조선시대 불교 조각의 양식과 신앙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국가유산청은 이번 지정 예고에 대해 30일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보물로 최종 지정할 예정이며, 앞으로도 역사·문화적 가치가 뛰어난 문화유산을 지속적으로 조사·발굴해 체계적으로 보호해 나갈 계획이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