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대 주력 업종(철강·이차전지·석유화학·반도체·자동차·디스플레이)에 구조혁신펀드 추가 조성
정부가 미국의 대(對)한국 관세 부과 등 통상환경 악화에 대응하기 위해 1조원 규모의 ‘기업구조혁신펀드 6호’를 조성한다. 한계기업이 몰려 있는 석유화학, 철강, 자동차, 이차전지 등 주력 수출산업을 중심으로 자금을 투입해 구조조정과 사업 재편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금융위원회는 당초 5000억원 규모로 계획했던 펀드를 정책금융기관 출자 확대를 통해 두 배인 1조원으로 늘리기로 했다고 3일 밝혔다. 한국자산관리공사는 이날부터 24일까지 운용사 모집 공고를 진행한 뒤 10월 중 4개 운용사를 선정해 연내 조성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펀드의 60% 이상은 주력산업 전용 블라인드펀드와 프로젝트펀드에 배정된다. 또 민간 투자 유인을 높이기 위해 후순위 출자 비중을 기존 5%에서 10%로 상향했다. 금융당국은 은행의 선순위 출자에 적용되는 위험가중치도 최대 400%에서 100%로 완화해 투자 부담을 낮췄다.
기업구조혁신펀드는 정책자금을 마중물 삼아 민간자금을 유치해 구조조정 기업에 투자하는 정책펀드다. 2018년 1호 펀드 출범 이후 5호까지 총 7조5000억원이 조성돼 161개 기업에 5조5000억원이 투입됐다. 철강사 A사는 펀드 투자(470억원)를 통해 생산·유통 구조조정과 미국 합작법인 설립에 성공, 수출물량을 회복했다. 중견 조선사 B사도 1000억원 규모 투자를 받아 재무구조를 개선한 뒤 상장에 성공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6호 펀드 조성으로 약 2조9000억원의 투자여력이 확보된다”며 “관세 등 통상환경 변화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에 신속한 지원을 통해 재기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