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북구 신광면에 거주하고 있는 이경희(64) 씨는 취미 부자다. 이른 아침 수영을 시작으로 오전에는 흥해복합커뮤니티에서 천아트와 캘리그라피 수업에 참여하느라 매일매일 바쁘지만 즐거운 생활을 만끽하고 있다. 지난 2학기에는 스마트폰 사진까지 배웠다. 여행지에서의 즐거운 추억을 남기기 위해 사진을 배워두고 싶어서다. 4개월간 수업 후에는 그동안 배운 것으로 작품 전시회도 열었다. 퇴직 후에 취미로 누리는 쏠쏠한 재미다.
최근 주위를 둘러보면 퇴직을 앞둔 분들이 퇴직 후에 무엇을 하고 지낼지에 대한 고민을 하는 모습들을 종종 보게 된다. 대부분은 많은 시간을 어떻게 새로운 도전과 기회로 이어갈지에 대한 고민이 크다.
어느 글에서 읽은 걸 떠올려보면 탑은 기단부, 탑신부, 상륜부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탑의 상륜부를 만드는 것이 가장 어렵다고 한다. 퇴직 후의 30년이 바로 상륜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지나온 시간보다 앞으로의 30년을 더 잘 보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이유다. 시간이 여유로워지는 건 분명하지만 규칙적인 생활이 사라지면 무기력해지기 십상이다. 이때 취미가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취미 생활이 정신과 신체를 건강하게 하는 것은 물론이고 사회적 관계 유지 함에 있어 큰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요즘 취미는 여러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어 고를 수 있는 취미도 많다. 보통 여행이나 음악, 미술, 요리, 운동, 공예나 글쓰기의 창작 활동 등이 있다. 또 AI 시대인 지금 디지털 기술에 새롭게 발을 들여놓기도 한다. 여러 가지 취미 활동 중 무엇보다 자신에게 어울리는 걸 하면 된다. 평소에 자신이 하고 싶어 했던 걸 선택하거나 어린 시절 막연히 꿈꾸어 오던 것을 도전해 볼 수 있다. 여기서 비슷한 관심사를 가진 사람들과 모임으로도 이어지면 새로운 배움에 대한 기회가 끊임없이 생긴다. 투자의 복리 효과 같은 거다. 도서관이나 문화센터에서 가볍게 시작하게 된 취미가 뜻밖의 재능으로 연결되어 전문가의 길을 걷게 된 사람들도 더러 볼 수 있다. 등단을 하기도 하고 각종 공모전에서 당선되어 작가로서의 새로운 기회를 얻은 사람들이 그들이다. 수강생에서 강사로서의 길을 걷는 사람도 종종 있다.
이경희씨도 처음에는 퇴직 후 어떻게 할 것인가를 두고 나름 고민이 있었다고 한다. “원래 배우는 걸 좋아해서 같이 수영을 하는 분에게도 다른 수업을 자주 추천하기도 한다. 나의 소개로 함께 하게 되면 더 기분이 좋다. 스스로도 긍정적인 에너지가 생기고 젊은 분들도 알게 되니 일석삼조(一石三鳥) 이상이다”라고 말한다.
올해 2월 퇴직을 한 권 미경(62) 씨도 마찬가지다. 시간 제약 없이 해외여행을 시작한 것은 물론이다. 관심 있었던 그림책 독서 모임과 블로그도 시작했다. 블로그는 처음 여성문화회관에서부터 시작해 지난 여름 포은중앙도서관에서도 하고 세 번째로 9월부터 시작하는 대잠도서관 블로그 수업도 신청한 상태다. 초보 블로거지만 여행지에서의 기록을 남기는 게 두 번 여행하는 느낌이다. 관심을 두고 꾸준히 하니 약간의 수입도 생기고 있다.
그녀는 자신의 취미 생활을 두고 “취미 생활로 또 하나의 새로운 길이 열리는 기분이다. 배움으로 관심사가 비슷한 분들과도 알게 되니 아직 ‘현역’이다”라고 당당히 말한다.
/허명화 시민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