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이 취수원 이전은 지역 갈등 해결, TK 신공항은 예산 확보 문제가 관건이라고 했다.
김 권한대행은 8일 대구시청 기자실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대구시장 권한대행을 수행한 지 5개월이 지났다. 그동안 대구시의 주요 현안들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 주요 부처를 쉴 틈 없이 쫓아 다녔다”고 밝혔다.
이어 “현 정부가 취수원 이전을 지역 갈등으로 보고 대통령실 소통 수석실에서 직접 챙기고 있고 담당 부처인 환경부에서도 장관이 적극적으로 해결 의지를 보이고 있어 대구시민을 위한 좋은 방안이 나올 것”이라면서 “특히 울산 반구대 암각화 보존을 위해 2030년까지 울주 사연댐 수문 설치 공사를 마쳐야 하기 때문에 올해 말까지는 대구 취수원 이전이 마무리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대구시는 원칙적으로 안동댐으로 취수원을 고수하고 있지만, 예전 합의안인 구미 해평 이전안도 논의할 수 있다”고 했다.
이는 현 정부가 2022년 합의된 ‘대구-구미 맑은물 나눔과 상생발전 협정’이 지금까지 효력이 있다고 판단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대구시 관계자도 “대구시가 ‘대구-구미 맑은물 나눔과 상생발전 협정’ 파기를 선언하기는 했으나, 협정 파기는 당시 6개 기관이 체결한 것인 만큼 파기도 6개 기관이 모두 동의해야 한다는 게 현 정부의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또 이날 김 권한대행은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건설 사업은 막대한 사업비 조달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계속 해결책을 찾는 중”이라고 했다. 이어 “최소한 군 공항 이전 뒤 후적지 개발로 사업비를 마련하려면 최소 7년 정도는 지나야 하는데 그때까지라도 지방채 발행으로 사업이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가 이자 비용만이라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총사업비가 10조 원이 넘는 TK 신공항 사업의 지방채 발행으로 발생하는 연간 이자 비용은 3000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시는 군공항 후적지 개발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 K2 이전 후적지 전체 부지 가운데 민간 주택 건설 비율을 당초 13.6%에서 6만호까지 건설할 수 있는 36%까지 높이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김 권한대행은 “국비로 건설하는 민간공항 시설은 의성 복수 화물터미널 설치를 위한 사업비 증액도 국토교통부와 협의가 돼 문제없지만, 핵심인 군 공항 이전은 기부대양여 사업 방식이 걸림돌이 되면서 사업비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날 대구시는 TK 신공항의 사업 기간이 당초 목표로 삼았던 2030년 개항보다 늦춰질 수 있다는 견해도 내비쳤다.
김 권한대행은 “TK신공항 건설 사업 기간을 다시 검토할 예정”이라며 “연차별 재원 계획과 관련해 TK신공항 사업 기간을 현실적으로 맞춰 다시 한번 짜볼 계획이다. 사업 기간에 따라 총사업비도 달라진다”고 했다.
/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