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경북도가 9일 군위군 삼국유사테마파크에서 ‘대구·경북 공동협력 방향 및 전략과제 토론회’를 공동 개최해 지난달 출범한 대구·경북 공동협력 태스크포스(TF)를 통해 협의해온 공동 협력 과제를 놓고 전문가 및 시민단체 의견을 수렴했다.
참석자들은 태스크포스 출범 이후 좁혀진 3대 분야(초광역 사회간접자본시설(SOC), 미래 전략산업, 문화·관광 등) 18개 과제(안)에 대해 각 과제의 추진 방식, 정부정책과의 연계 가능성, 민관 협력 방안 등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초광역 SOC 분야는 ‘대구경북 신공항 메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철도·도로·항만을 연계해 하나의 생활·경제권을 형성하고, 충청·호남·동남권까지 이어지는 국가 초광역 교통·물류망을 구축하는 것을 비전으로 대구·경북이 협력해 나갈 예정이다.
미래전략산업 분야는 대구·경북의 주력산업과 미래성장산업을 연결해 국가 성장을 견인해 나갈 듀얼 산업벨트 형성이 비전이다. 문화·관광 분야는 대구·경북 전역의 자연·역사·문화 자원을 초광역적으로 연결해 세계적 관광클러스터로 발전시키는 것을 비전으로 두 시도가 협력키로 했다.
대구·경북은 속도감 있는 사업추진과 발전적 협력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행정협의체를 구성하고, 나아가 필요 시 특별지방자치단체 설립도 검토할 계획이다.
오준혁 대구시기획조정실장은 “대구와 경북이 초광역 교통과 미래 전략산업들로 촘촘하게 신경망처럼 연결된다면 하나의 생활권이자 경제권이 된다”고 말했다. 김호진 경북도기획조정실장은 “정부 국정과제 및 지역공약 등과 연계해 대구·경북이 국가 균형성장의 중심축으로 자리매김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대구·경북은 정부의 5극 3특 중심 균형성장전략에 맞춰 지난달 13일부터 공동협력 태스크포스를 출범해 운영하고 있다.
/김락현·피현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