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제

이마트, 950억 규모 자사주 취득 결정… “주주가치 제고”

지난 2분기 창사 첫 적자를 겪은 이마트가 950억원 상당의 자사주를 매입하고 ‘세일 앤 리스백’방식의 자산유동화 MOU를 체결해 재무 건전성을 강화키로 했다.이마트는 13일 발행주식총수의 3.23%에 해당하는 자기주식 90만주를 949억5천만원에 취득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취득 예정 기간은 14일부터 11월 13일까지이며 장내매수를 통해 자사주 매입을 진행할 예정이다.이마트가 자사주를 매입하는 것은 2011년 (주)신세계에서 기업 분할을 통해 별도 상장한 이후 처음이다.자사주를 매입하게 된 배경은 자사 주가가 실제 회사가치보다 과도하게 하락해 주가안정화를 통한 주주가치 제고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실제로 지난 12일 이마트 주가는 전 거래일인 지난 9일 ‘어닝쇼크’수준의 부진한 실적을 발표한 영향으로 52주 최저가인 10만5천500원까지 떨어졌다.업계에서는 연결 기준 영업적자 299억원을 기록한 이마트의 2분기 실적을 시장 전망치를 훨씬 밑도는 ‘어닝쇼크’수준의 실적으로 분석했다.또 삐에로쇼핑, 부츠 등 전문점의 영업적자가 188억원이나 됐고, 할인점의 영업적자도 43억원으로 부진했다. 주요 자회사인 SSG닷컴의 영업적자는 113억원, 이마트24는 64억원, 조선호텔은 56억원이었다.이마트는 자사주 매입 결정과 함께 점포 건물을 매각한 후 재임차해 운영하는 ‘세일 앤 리스백’방식의 자산유동화도 진행한다.이마트는 이를 위해 13일 오후 KB증권과 10여개 내외의 자가점포를 대상으로 자산유동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이마트는 이를 시작으로 주관사인 KB증권과의 협의를 통해 자산유동화 대상 점포를 선정한 후 투자자 모집 등 연내 모든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자산유동화 대상인 부동산 자산 규모는 약 1조원이다.이마트는 자산유동화를 통해 확보된 현금을 재무건전성 강화 등을 위해 사용할 계획이다.이마트 관계자는 “세일 앤 리스백 방식으로 점포를 매각한 이후에도 점포들을 10년 이상 장기간 재임차해 사용하게 된다”며 “기존 점포운영은 자산유동화와 관계없이 안정적으로 운영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정기자 mjkim@kbmaeil.com

2019-08-13

상반기 일본車 수입액26% 증가… 역대 최대

28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와 한국수입자동차협회에 따르면 상반기 일본차 수입액은 6억2천324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4억9천380만달러)에 비해 26.2% 뛰었다.이는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규모로, 2015년 연간 수입액(6억5천476만달러)에 육박한다. 상반기 평균 환율(원/달러)로 환산하면 7천억원이 넘는다.일본차 수입액은 2015년 4만1천518대에서 매년 가파르게 증가하며 2018년 5만8천503대로 3년 만에 40.9% 뛰었다. 상반기 수입물량은 2만9천453대로 작년 동기(2만4천125대)보다 22.1% 증가했다. 역시 상반기 기준 역대 최대다.일본차 수입단가는 대당 2만1천161달러(2천506만원)로 1년 전(2만468달러)보다 3.4% 높아졌다. 수입 일본차 중에서도 고급차 수요가 많아진 때문인 것으로 풀이됐다.올해 일본차 약진은 다른 국가 수입차와 비교해도 두드러진다.상반기 전체 자동차 수입액은 51억1천155만달러로 작년 동기(63억3천111만달러)보다 19.3% 감소했다.미국, 독일, 이탈리아, 영국차 모두 줄었고 스웨덴만 제자리였다.수입대수 기준으로는 14만3천909대로 작년 동기보다 13.0% 감소했다.미국차가 1.0%, 스웨덴차가 25.0% 늘었지만 독일차는 -36.2%, 영국차 -11.1%, 이탈리아 -23.7% 등을 나타냈다.일본차 점유율은 작년 연간 17.4%에서 올해 상반기 21.5%로 상승했다.브랜드별로 렉서스가 5.1%에서 7.7%로, 혼다는 3.1%에서 5.2%로 올랐다. 그 밖에 도요타 5.8%, 닛산 1.8%, 인피니티 1.0%다.거꾸로 국산차는 일본 수출이 없다시피 하다. 올해 상반기 전체 수출량이 32대였다. /연합뉴스

2019-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