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제

추석 선물세트 `5만원 미만` 인기

추석을 앞두고 일부 백화점과 대형마트에서 진행 중인 선물세트 판매에서 이른바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의 영향이 조금씩 나타나고 있다.공직자, 언론인, 사립학교 교직원 등에게 직무 관련자가 할 수 있는 선물 한도를 5만원으로 정한 김영란법은 추석 이후인 9월 28일부터 시행되지만, 그동안 크게 이슈가 되면서 소비 심리에 미리 반영되는 것으로 풀이된다.30일 이마트에 따르면,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27일까지 추석선물세트 사전 예약판매를 진행한 결과 매출이 전년 대비 5% 감소했다. 가격대별로 5만원 미만 상품 매출은 3.3% 올랐지만 5만원 이상 상품 매출은 3.3% 줄어들었다.신세계백화점은 지난 4~28일 진행한 추석선물세트 예약판매 매출이 전년 대비 8.1% 신장한 가운데 가격이 저렴한 편인 와인·주류(40.5%)와 건강기능식품(20.8%)의 매출 신장률이 높게 나타났다.반면 상대적으로 고가 선물인 축산(7.5%), 수산(9.6%), 농산(6.0%) 상품군은 한자릿수 신장률에 그쳤다.신세계 관계자는 “한우, 굴비, 과일 등 모든 부문에서 고가의 프리미엄 상품 매출은 전년 대비 2.1% 신장하는 데 그쳤지만, 5만원 이하 실속 선물 매출은 55.8% 올랐다”고 설명했다.유통업계는 추석선물세트 사전 예약판매를 종료하고 각 점포에서 본판매를 시작했다. 롯데백화점은 지난 2~25일 진행한 추석선물세트 예약판매 매출이 전년 대비 35.2% 증가한 가운데 가공식품·생필품 매출이 109.6% 올랐다. 정육(44.0%), 건강(31.6%), 청과(20.1%), 수산(18.0%)도 두자릿수 매출 신장률을 보였다.이어 지난 26~28일 사흘간 진행된 본판매 매출은 61.0% 오른 가운데 굴비(108.4%), 가공식품·생필품(96.4%), 건강(81.7%), 청과(66.0%), 정육(44.2%) 등의 매출이 고르게 신장했다.유통업계는 추석선물세트 매출에서 예약판매가 차지하는 비중이 적은 데다 예약판매에는 법인 단위의 대량 구매가 집중된 만큼 다음 달 초부터 본격화하는 본판매 실적을 통해 정확한 소비 심리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업계 관계자는 “이번 추석에는 김영란법 적용이 안 되지만 5만원 미만 상품에 대해 문의하는 사람이 많아졌다”며 “구매력이 있는 사람들조차 분위기에 편승해 소비 심리가 위축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김혜영기자 hykim@kbmaeil.com

2016-08-31

포항농식품, 동남아시장 판로 개척 `청신호`

포항지역 농식품이 제27회 홍콩국제식품박람회에서 선풍적 인기를 끌었다. 22일 포항상의에 따르면 지난 11일부터 15일까지 5일 동안 홍콩에서 열린 제27회 홍콩국제식품박람회에 포항지역 6개사가 참가했다는 것.이번 식품박람회 참가는 한국 농식품의 5대 수출 시장인 홍콩과 중국 광동성, 대만 등지의 판로를 개척하기 위해서다. 이번에 참가한 포항지역 업체는 △정화식품(주)(조미오징어) △윤선애선인장(백년초, 골드와송) △영농조합법인 이도(한방발효차) △진심식품(과메기, 북어장아찌 등) △(주)알지바이오(기능성 소금) △해맞이빵(해맞이빵) 등 6개사다.이번에 참가한 기업들은 다년간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현지 트렌드에 맞는 신제품과 다양한 홍보자료를 사전에 준비한 결과 수출 상담 263만2천500달러, 수출계약 211만7천230달러, 현장 판매 2만8천520달러의 괄목한 성과를 거뒀다.특히 정화식품의 경우 홍콩 현지에 판매점을 개설해 운영할 만큼 홍콩인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또 한방발효차를 생산하는 영농조합법인 이도는 HK-TV(홍콩 홈쇼핑 방송사) 입점과 정화식품(주)의 대만 진출 계약 성사는 홍콩국제식품박람회의 꾸준한 참여를 통해 거둔 결실이다. 또 이들 회사가 생산 가공식품에 대해 해외 바이어는 물론 홍콩, 중국 현지인까지 높은 평가를 내렸다.이밖에 박람회 기간내내 중화권 바이어 및 현지인들의 많은 관심속에 수출상담 및 제품구입 문의가 계속 이어져 홍콩을 발판으로 동남아 해외시장 판로개척에도 새로운 장을 열게 됐다는 평가다.이번 박람회에 동행한 포항상의 이일웅 차장은 “포항농식품이 홍콩인들의 입맛에 딱 맞아 떨어지는 것 같다”면서 “정화식품의 조미오징어는 워낙 찾는 사람이 많아 시식회장에서 한때 품귀현상을 빚기도 했다”고 귀뜸했다.한편 2016 홍콩국제식품박람회는 전 세계 26개국 1천411개사에서 2만1천여명 이상의 바이어와 50만명 이상의 관람객이 몰린 아시아 최대 식품박람회다./김명득기자mdkim@kbmaeil.com

2016-08-23

김영란법에 백화점 `울상`

향응·접대를 엄격하게 규제하는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시행을 앞두고 같은 유통·제조업체라도 업태나 업종에 따라 미묘한 표정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백화점의 경우 90%의 선물세트가 5만원을 넘는 김영란법 저촉 대상인 반면, 마트나 편의점은 반대로 5만원 이하 선물 비중이 80~90%에 이르기 때문이다. 상대적으로 저가 선물세트 구색이 풍부한 식품업체도 반사이익을 내심 기대하고 있다.◇5만원 미만 선물8일 롯데백화점에 따르면 지난해 추석 선물세트 매출 가운데 85%는 5만원이상 가격대의 선물이 차지했다. 현대백화점에서도 올해 설이나 작년 추석 당시 5만원이상 선물의 매출 비중은 약 90% 수준이었다.따라서 다음 달 28일 5만원을 넘는 선물 접대를 금지하는 김영란법이 시행되면,유통 채널 가운데 백화점 선물 시장이 가장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백화점들도 저가 선물을 늘려 변화를 준비하는 분위기지만 아직 뾰족한 대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반면 대형할인마트의 입장은 백화점과 다소 차이가 있다.올해 설 이마트에서 팔린 선물세트 가운데 대부분인 87.8%(수량 기준)가 김영란법과 무관한 `5만원 미만` 선물이었다.지난해 추석 이마트 선물 중 5만원 미만의 수량 비중도 89.1%에 이르렀다. 10개선물세트가 팔리면 9개는 5만원을 넘지 않는 저가 선물이라는 얘기다. 매출 기준으로도 작년 추석과 올해 설 5만원 미만 선물의 비중은 67~69% 수준이었다. 편의점의 상황도 마트와 비슷하다.◇식품선물 5만원 이하 90%식품업계도 김영란법 시행으로 오히려 명절 선물세트 판매가 늘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햄·참치 등 통조림과 식용유 등 가공식품으로 구성된 선물세트는 대부분 5만원을 넘지 않아 김영란법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이다.업계 1위인 CJ제일제당의 지난해 추석 선물세트 가운데 5만원 이하 상품은 94.5%(수량 기준)를 차지했다. 매출 기준으로는 5만원 이하 상품 비중이 89.5%였다. 대상의 작년 추석 선물세트 구성에서 5만원이 넘는 제품은 1.5%에 불과했고, 올해 추석에도 1.7% 수준에 그쳤다.하지만 유통·식품업계에 일각에서는 김영란법 시행으로 한국 특유의 명절 선물문화 자체가 위축돼 고가·저가 가격대 구분 없이 전체 선물시장 자체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유통업계 관계자는 “김영란법 시행으로 선물 문화가 사라진다면 유통, 식품업계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연합뉴스

2016-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