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제

옥시 가습기 금지물질 함유 탈취제 등 7개 제품 `퇴출`

옥시의 가습기 살균제에 사용된 화학물질인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PHMG) 등 금지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스프레이 탈취제 등 생활화학제품 7개가 퇴출됐다.환경부는 작년 하반기부터 유통되고 있는 생활화학제품 331개를 대상으로 안전기준을 조사한 결과, 금지물질이 들어있는 7개 제품을 적발하고 화학물질등록평가법(화평법)에 따라 이런 조치를 내렸다고 17일 밝혔다.이들 제품은 수입업체 에이스마케팅의 세정제 `Leather CLEAN RENEW WIPES`, 미용닷컴이 생산한 문신용 염료 `나노칼라 다크 브라운`, 바이오피톤이 제조한 탈취제 `신발무균정`, 네오제퍼가 수입한 세정제 `퍼니처크림`, 뉴스토아의 수입품 탈취제 `어섬 페브릭`, 비엔에스월드링크가 수입한 세정제 `멜트`, 필코스캠이 생산한 `에어컨·히터 살균 탈취` 등이다.이들 업체는 위반제품 판매를 중단했고, 판매처에 납품한 재고분 대부분을 회수하고 폐기 처분했다고 환경부는 전했다.회수권고를 받은 제품의 경우에는 포포베코리아가 제조한 `포포베 피규어 방향제` 1개다.환경부는 또 백화점·마트·온라인 마켓에서 판매되고 있는 1만5천496개 제품을대상으로 표시사항 준수 여부도 조사한 결과, 자가검사번호 부정 표시, 표시사항 누락 등 61건의 위반사항을 확인하고 개선을 명령했다.이에 해당업체는 화평법에 따라 조치계획서를 제출하고 제품 포장교체 등 후속 조치를 이행하고 있다고 환경부 관계자는 설명했다.이번 안전기준 조사대상으로는 △ 다량 유통제품 △ 스프레이형 제품 등 소비자건강 위해가 우려되는 제품 △ 시장모니터링 결과 표시기준을 위반한 제품 등을 중심으로 선정했다고 환경부는 전했다.환경부는 이번에 퇴출한 제품을 판매한 업체 7곳을 관할 수사기관에 고발했다. 이들 업체는 최고 7년 이하 징역 또는 2억원 이하의 벌금형을 받을 수 있다.홍정섭 환경부 화학물질정책과장은 “위해우려제품 안전·표시기준에 부적합한 제품들이 유통되지 않도록 조사·감시활동을 계속 강화할 것”이라며 “생활화학제품 중 자가검사를 받지 않거나, 표시기준을 이행하지 않은 제품을 발견할 경우에는 국민신문고(www.epeople.go.kr)로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연합뉴스

2016-05-18

황금연휴 유통업체 매출 작년보다 48%↑

백화점의 지난 황금연휴 기간(5일~7일) 매출이 작년 같은 기간보다 60% 이상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산업통상자원부가 9일 공개한 백화점·대형마트·가전전문점의 매출 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백화점은 연휴기간 매출 3천735억원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전년 같은 기간 대비 62% 증가했으며 전주보다는 37% 늘어났다.백화점은 의류, 잡화 등 어린이날·어버이날 선물 수요로 매출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대형마트 매출은 3천431억원으로 작년과 전주 대비 각각 39%와 35% 증가했다.산업부 관계자는 이 같은 실적 증가에 대해 “선물 수요와 나들이객 증가에 따른것”이라고 설명했다.가전전문점은 휴일 방문객이 증가하면서 전년과 전주 대비 25%와 41% 증가한 492억원의 매출을 거뒀다.이들 유통업체의 연휴기간 총 매출은 7천658억원으로 전년 기간 대비 48% 늘어났다.6일 임시공휴일 매출을 보면 백화점 1천231억원, 대형마트 1천10억원, 가전전문점 142억원 등이다. 전년 같은 날 대비 각각 125%, 66%, 45% 증가했다.산업부 관계자는 “지난해 광복 70주년 기념으로 지정한 임시공휴일(14일)과 매출을 비교한 결과 이번 임시공휴일의 내수 진작 효과가 더 컸다”며 “유통업계가 어린이날·어버이날과 연계해 각종 할인 행사 등을 풍성하게 준비하고 중국·일본 등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한 점이 매출 증가에 기여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연합뉴스

2016-05-10

대구지역 백화점 봄세일 매출 기지개

현대백화점 대구점과 동아백화점 등 대구지역 백화점들이 봄 정기세일에서 한자릿수 매출 증대를 보였다.현대백화점 대구점은 지난 3월 31일부터 이달 17일까지 18일간 진행된 2016년 봄 정기 세일에서 전년 대비 매출이 8.3% 신장을 보였다. 내장 고객수도 전년 대비 3.2% 신장했으며, 고객 1인당 구매한 수치를 나타내는 고객 객단가 또한 전년 대비하여 5% 이상 신장했다.상품군별로는 남성 정장이 15%, 가전 20%, 화장품 12.2%로 신장했고 저렴한 가격대를 내세워 대 행사장에서 열린 골프행사에 힙입어 골프품목 또한 전년 대비 8.7% 신장했다.동아백화점은 이번 봄 바겐세일에서 전년 대비 6.8% 매출 신장세를 나타냈다.상품별로는 신상품 할인 행사와 이월상품 기획전 등을 진행한 여성의류가 11.3%, 봄 시즌을 맞아 워킹화, 골프의류 등 스포츠 관련 용품과 의류 8.4%, 추가 할인과 상품권 증정 행사 등을 진행한 패션잡화가 9% 신장세를 보였다.브랜드 데이 행사 등을 진행한 남성의류와 아동, 의류 매장 역시 각각 4~5% 수준의 신장세를 보였고 봄철 미각 행사 등을 진행한 식품관은 6% 수준의 신장을 나타내는 등 전 상품군에서 고른 신장세를 나타냈다.대구백화점은 봄 세일 기간 동안 쌀쌀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지난해 동 기간 대비 10.5% 매출 신장을 기록했다./이곤영기자lgy1964@kbmaeil.com

2016-04-19

현대·기아차 판매 54년만에 1억대 돌파

현대기아차가 지난 15일 자동차 1억대 판매 고지를 넘어섰다. 자동차 판매를 시작한 지 불과 54년 만의 성과다.16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기아차는 첫 판매를 개시한 지난 1962년부터 지난 15일까지 누적 판매량이 1억대를 넘어섰다.글로벌 완성차 회사 중에서 누적 판매가 1억대를 넘은 업체들은 폴크스바겐, 도요타, GM, 포드 등으로 10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현대기아차의 급성장세가 돋보인다.현대기아차는 지난 1962년부터 올해 3월까지 전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현대차 6천402만대, 기아차 3천568만대 등 총 9천970만대를 판매해 4월 중으로 1억대 누적판매 돌파가 예상돼 왔다.현대기아차는 지난 1993년에 처음으로 1천만대 고지를 넘어섰으며 2008년 5천만대, 지난해 1월 9천만대를 돌파했다. 이후 1년 3개월 만에 1억대를 넘어선 것이다.2000년 당시 연간 243만대를 판매해 글로벌 톱10에 처음 진입한 현대기아차는 2014년, 2015년 2년 연속으로 연간 800만대 이상 판매해 톱5에 진입했다. 올해는 813만대 판매가 목표다.현대기아차는 지난달까지 국내 판매가 2천982만대였으나 수출 및 해외공장 판매를 합한 해외 판매는 6천988만대에 달해 해외에서만 70% 이상 팔렸다. 1998년부터 해외판매가 국내판매를 추월했고 지난 한 해 동안 팔린 802만대 중 해외판매 비중이 84%에 달한다.차종별로는 현대차 아반떼(엘란트라 포함)가 1990년 출시 이후 1천119만대가 팔려 최다를 기록했고 엑센트(824만대), 쏘나타(783만대)가 뒤를 이었다.기아차는 1986년 출시된 프라이드가 422만대, 1993년 세계 최초 승용형 SUV로 탄생한 스포티지가 403만대 팔렸다./연합뉴스

2016-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