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관원 경북지원이 울릉도 농축산물과 가공품 원산지 단속에 나선다.13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북지원(원장 구돈회)은 오는 15일부터 17일까지 3일 동안 울릉도의 특산물 생산 농업인과 관광객 보호를 위해 특별사법경찰관 4명을 투입, 일제단속을 실시한다고 밝혔다.이번 단속은 울릉도의 특산물인 산채류와 육류 및 음식점 등과 양곡표시 단속도 함께 실시된다.단속을 통해 원산지를 거짓 표시하거나 혼동하게 할 우려가 있는 표시 행위, 수입농산물을 국산으로 위장판매하다 적발될 경우 7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억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되며, 원산지를 미표시는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품관원은 원산지가 의심될 경우 1588-8112로 신고해 줄 것을 당부했다./윤경보기자 kbyoon@kbmaeil.com
2011-06-14
어획량 부진에도 불구하고 수산물 소비량은 30년 전에 비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농업통계`에 따르면 지난 2008년 기준 국민 1인당 연간 수산물 소비량은 54.9㎏으로 1980년 27㎏보다 27.9㎏(103.3%)증가한 반면 수산물 자급률은 1980년 138%에서 2008년 78.5%로 감소했다.이는 소득증가로 육류보다 생선을 좋아하는 식문화 변화 등의 영향 때문으로 풀이된다.한편 1인당 연간 쌀 소비량은 75.8㎏(2008년 기준)으로 지난 1980년 132.4㎏보다 42.7% 감소한 반면 육류는 2008년 35.6㎏으로 지난 1980년 13.9㎏에 비해 156.1%나 상승했다.지난해 우리나라의 수산물 수출액은 18억달러로 1980년의 7억6천만달러보다 10억4천만달러(136.6%)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34억6천만달러로 1980년의 4천만달러보다 34억2천만달러(9천245.9%)나 늘었다.또 지난해 우리나라의 전체 수출액 중 수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0.4%로 1980년(4.3%)에 비해 3.9%p 감소했으며, 매년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반면 지난해 수입액 중 수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0.8%로 1980년(0.2%)보다 0.6%p 상승했다.이는 1989년 이전까지는 내수용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로 제한적으로 수입을 허용해 수입 물량이 많지 않았으나 이후 수입 자유화에 따라 수입량이 점차 증가해 2001년을 기점으로 수산물 수입액이 수출액을 웃돌고 있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지난해 어업생산량은 311만2천t으로 1980년 214만t에 비해 70만2천t(29.1%) 증가했다.이는 자원 감소와 어장 축소 등으로 연근해 어업은 감소한 반면 양식기술이 발달해 천해양식이 급증했기 때문이다.해수온도의 상승 등으로 생산 어종도 변화했다.1980년대에는 쥐치, 멸치, 강치, 명태 등이 많이 생산됐으나 점차 자취를 감춰가고 지난해에는 온수성 어종인 멸치와 오징어, 고등어 등의 어획량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윤경보기자 kbyoon@kbmaeil.com
2011-05-16
경북지역 농수산물판매업체들의 원산지 위반업소가 줄어들지 않고 있다.1일 경북농산물품질관리원(지원장 구돈회·이하 농관원)에따르면 농식품 제조판매업체 6천340곳, 음식점 6천770곳 등을 대상으로 지난 4월말 원산지 위반업소에 대한 점검결과, 전년동기대비 117%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번 점검에서는 원산지 위반 343곳과 쇠고기 이력제 위반 38곳 등 381곳을 적발, 원산지를 속인 191개 업소는 형사입건을, 원산지 미표시 157개 업소에 대해 6천698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했다.또한 쇠고기 이력제를 위반한 38곳은 1천600만원의 과태료를 처분했다.특히 이번 점검 중 수입산 돼지고기를 국내산으로 속여 판 업소가 48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배추김치 33건, 쇠고기 21건, 닭고기 13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미표시의 경우 돼지고기 33건, 쇠고기 17건, 빵류 15건, 배추김치 13건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윤경보기자 kbyoon@kbmaeil.com
2011-05-02
올해 대구·경북지역의 마늘 재배면적은 증가한 반면 양파 재배면적은 감소했다.28일 동북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마늘 재배면적은 3천730㏊로 지난해 3천248㏊보다 14.8%(482㏊) 늘어난 반면 양파 재배면적은 2천534㏊로 지난해 2천842㏊보다 10.8%(308㏊) 감소했다.마늘 재배면적이 늘어난 것은 국내산 선호도가 높고 가격이 최근 몇 년 동안 크게 변동이 없는 등 전반적인 안정세 유지와 특히 전년 마늘가격이 크게 상승해 올해도 가격상승을 기대한 농가들이 재배면적을 늘렸기 때문.또한 의성과 안동 등의 마늘 주산지에서 단위 면적당 소득이 높아 타 작물로 대체품목이 마땅치 않는 등 매년 재배면적이 늘고 있다.마늘 주산지 시·군별 재배면적은 의성 1천495㏊, 영천 919㏊, 군위 288㏊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3개 시·군의 면적은 2천702㏊로 대구·경북 전체면적의 72.4%를 차지했다.반면 양파 재배면적이 감소한 것은 일부 농가에서 고령화에 따른 일손 부족으로 재배면적을 줄였기 때문이란 분석이다.양파 주산지 시·군별 재배면적은 군위 286㏊, 청도 236㏊, 영천 163㏊, 의성 76㏊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4개 시·군의 면적은 761㏊가 대구·경북 전체면적의 30%를 차지했다.이 조사는 지난 3월25일부터 4월8일까지 15일간 대구·경북의 4천296개 재배면적조사 표본조사구를 대상으로 마늘과 양파의 재배면적을 조사해 집계한 결과다./윤경보기자 kbyoon@kbmaeil.com
2011-04-29
앞으로 연근해에서 어업행위를 할 때에는 정해진 도구나 방법을 따라야 한다. 농림수산식품부는 19일 지난해 4월 수산자원관리법 시행령에 반영한 연근해 41개 어업의 종류별 고기 잡는 그물과 방법에 대한 기준이 1년간의 유예기간을 거쳐 오는 23일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밝혔다.그동안 우리나라에는 어업의 종류별로 어구나 어법이 따로 정해져 있지 않아 수산자원의 남획이나 어업인 간 분쟁의 빌미가 됐다. 이번에 시행되는 `연근해 41개 어업의 종류별 표준 어구·어법 기준`은 지난 2007년부터 3년간 우리나라 연근해 어구·어법 실태조사와 어업인 의견수렴 등의 절차를 거쳐 마련한 것이다.새 기준은 고기를 잡는 그물과 방법은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그물의 모양, 조업하는 방법 등을 정리한 그림을 넣어 이해도를 높였다.농식품부 관계자는 “이번 어구·어법 기준이 전면 시행되면 조업분쟁과 불법어업이 크게 감소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연합뉴스
2011-04-20
한우 가격이 고공 행진을 거듭하며 최고 등급인 `1++`의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4일 농림수산식품부와 축산물등급판정소에 따르면 지난달 30일 전국의 도매시장에서 팔린 한우 1++등급의 ㎏당 평균 낙찰가격(암소와 수소, 거세우를 합친 평균 가격)은 2만2천114원을 기록했다. 이는 1++등급이 도입된 2004년 12월 이후 최고 가격이다. 그전까지는 1+등급이 최고 등급이었으나 2004년 12월부터 1++등급이 새로 도입됐다. 1++등급의 종전 최고가는 2007년 1월의 2만1천857원이었다. 현재 한우의 품질에 따른 등급은 1++, 1+, 1, 2, 3등급 등 모두 5개로 나뉜다. 최근 한우 가격의 상승세에 추석 특수가 가세하면서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한우 전체의 가격 수준은 아직 사상 최고 수준이었던 2004년 1월의 가격을 회복하지 못했다. 그러나 추석을 맞아 선물용 고급육에 대한 수요가 몰리면서 1++등급의 값의 최고치를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농식품부는 추석 이후로는 한우 가격의 상승세가 한풀 꺾일 것으로 보고 있다. 추석 특수가 사라지는 데다 최근 한우 송아지 입식(들여 기름)이 늘면서 한우 사육마릿수도 늘고 있기 때문이다./연합뉴스
2009-10-05
올해 수확기 산지 평균 쌀가격이 작년보다 80㎏ 한 가마당 9천~1만2천원 정도 떨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23일 농림수산식품부와 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에 따르면 농경연은 올해 쌀 생산량을 452만1천~464만4천t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쌀 수확량은 484만t이었다. 농경연은 그 근거로 벼 재배면적이 작년보다 1.2% 감소해 92만5천㏊로 줄었고 작년에 비해 기상이 나빠 작황이 좋지 않을 것이란 점을 들었다. 농경연은 이런 생산량 추정을 토대로 2009년산 쌀 한 가마(80㎏)의 수확기 평균 가격을 14만9천원~15만3천원으로 전망했다. 실제 5일 기준 햅쌀의 80㎏당 가격은 15만9천원을 기록했으나 앞으로 본격적인 수확철이 되면 이보다 떨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전망치는 생산량이 더 많았던 작년의 수확기 평균 가격 16만2천원보다 5.6~7.9% 싼 것이다. 수요-공급의 법칙대로라면 수확이 더 적은 올해 쌀값이 작년 쌀값보다 비싸야하지만 되레 값이 떨어질 것으로 관측된 것이다. 이는 농협이 올해 각종 선거를 앞두고 작년 수확기에 쌀값을 후하게 쳐줬기 때문이다. 농경연의 전망대로라면 쌀 소득보전 직불금을 포함해 농가가 받게 될 총수입(농가 수취가격)은 16만6천920~16만7천520원이 된다. 쌀가격에 관계없이 지급되는 고정직불금 1만1천475원에 쌀값이 많이 떨어졌을 때 나오는 변동직불금을 합친 액수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쌀값이 농경연 예측대로 떨어져도 쌀 직불금을 통해 쌀 목표가격(17만83원)의 98.1~98.5% 수준으로 보전을 받을 수 있다”며 “따라서 농가 소득이 크게 줄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쌀값이 치솟으면서 변동직불금이 지급되지 않았던 작년과 비교하면 80㎏당 5천950~6천550원 정도 덜 받는 셈이다./연합뉴스
2009-09-24
4인 가족을 기준으로 볼 때 올 추석 차례상 비용으로 약 16만6천50원이 들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작년 추석 때보다 8.1% 늘어난 것이다. 한국물가협회(회장 김철운)는 추석을 20여일 앞두고 서울 부산 대구 등 전국 7대 주요 도시의 재래시장 9곳에서 차례용품 28개 가격을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가구당(4인 가족) 평균 차례상 비용을 이 같이 추산했다고 9일 밝혔다. 밤(1㎏), 대추(360g), 곶감(5개) 등 견과류는 서울지역에서 저장품의 경우 지난해(1만5천원)보다 9.6%가 오른 1만6천4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쇠고기(2등급) 1㎏, 돼지고기(1등급) 1㎏, 닭고기 3㎏, 달걀 30개를 준비하는 데 드는 비용은 서울 6만4천80원, 전국 평균으로는 6만870~6만7천280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올해 날씨가 좋아 과일류의 출하량이 증가한 가운데 상품 사과(홍로) 5개를 준비하는데는 지난해(1만1천500원)보다 25% 적은 8천620원이 필요할 것으로 조사됐다. /연합뉴스
2009-09-10
고래硏, 감포 앞바다서 하루 최다 7마리 발견 동해에서 하루동안 밍크고래가 7마리나 발견돼 고래 개체수 증가의 청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종전까지는 하루에 2마리가 고작이었다.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소는 지난달 22일부터 28일까지 울산~포항 앞바다 20마일 안에서 소형 고래류 조사를 벌인 결과, 밍크고래 9마리와 참돌고래 350마리, 상괭이 2마리를 각각 발견했다고 4일 밝혔다. 이 가운데 밍크고래는 지난달 22일과 23일 경주 감포앞바다 한 지역에서만 모두 9마리나 포착돼 이례적인 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밍크고래는 지난달 22일 2마리가 발견되는데 그쳤지만 다음날에는 오전 7시7분부터 오후 4시19분까지 경주 감포앞바다 10마일 해상에서 모두 7마리나 눈에 띄어 하루 최다 발견 기록을 세웠다. 연구소 박겸준 연구원은 “지난 2004년 5월 고래연구소가 고래류 목시(目視)조사를 시작한 뒤 밍크고래는 하루 2마리까지 목격됐으나 이번처럼 한꺼번에 많은 수가 발견되기는 처음”이라고 말했다. 밍크고래는 몸길이가 4~8m로 수염고래류 가운데 작은 편이다. 멸치, 크릴 등의 작은 어류 등을 먹고 사는데 동해에는 멸치와 크릴이 많아 밍크고래가 자주 출몰하고 있다. 고래연구소는 전체 고래류에 대한 조사는 연간 1차례 40일간 우리나라 전체 연안에서, 소형 고래류 조사는 7일 단위로 연간 5~6차례 동해에서 각각 진행하고 있다./연합뉴스
2009-08-05
포항 기계농협(조합장 권태현)은 28일과 29일 이틀간에 걸쳐 지역내 다문화 가족 25부부를 대상으로 농협경주환경농업교육원에서 `다문화 가족 행복 만들기`교육을 실시했다. 이날 교육에는 한국 남편 22명과 시어머니 2명, 시누 1명을 비롯해 국가별로 베트남 14명, 필리핀 11명, 중국 1명 등 25명의 외국인 이주여성과 그들의 자녀 20명을 포함해 모두 70여명이 참석했다. 이번 교육은 기계농협이 관내 다문화가정 이주여성들이 한국농촌에의 성공적인 정착을 지원하고 한국문화에 대한 적응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올해 7월부터 2개월 과정으로 진행하고 있는 `다문화가족 여성대학` 교육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마련된 것이다. 교육 첫날에는 기계농협 권태현 조합장의 `우리농협 바로알기` 특강을 시작으로 외국인 이주여성의 한국이름 갖기 및 성과 본적 등록과 관련된 `다문화 가정 성·본 창설 및 권익보호` 강의가 이어졌다. 또한 `사랑의 대화`를 통해 외국인 이주여성이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가지고 있었던 잘못된 편견을 대화로 풀어보는 시간도 가졌다. 저녁에는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경주시내로 이동해 문화유산해설사의 안내와 함께 첨성대와 천마총을 견학하고 다시 교육원으로 돌아와서 `우리가족 한마당`이란 주제로 다문화가족의 화합을 다졌다. 둘째 날에는 한국부부행복연구소 최광현 소장이 `화목한 가정 만들기`란 주제로 특강을 했으며, 특강 후에는 인근의 옥산세심마을에서 떡메치기와 한국 전통 활 쏘기, 칼국수 만들어 먹기 등을 즐기며 한국의 농촌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 기계농협 권태현 조합장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다문화가정의 한국농촌에의 원활한 적응과 지역의 젊은 농업역군으로 육성해 나가기 위해 지속적인 교육지원과 함께 다문화 여성농업인의 1대1영농교육과 후원자 지정사업도 연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창형기자 chlee@kbmaeil.com
2009-07-29
올 상반기 유럽연합(EU) 회원국에서 수입한 삼겹살은 전체 수입량의 69%, 포도주는 50%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겹살과 포도주는 향후 우리나라와 EU간의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되면 높은 관세가 철폐돼 수입량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민감품목이다. ♠ `삼겹살` EU산이 수입량의 69% 차지 19일 관세청에 따르면 올 1~6월 수입된 삼겹살(4만8천507t) 중 EU 국가에서 들여온 것은 69%(3만3천233t)에 달했다. 금액으로는 1억1천477억달러로 전체의 67% 수준이다. EU 회원국 중 우리나라에 삼겹살을 가장 많이 수출한 곳은 오스트리아로 6천713t에 달했고 뒤이어 벨기에(6천9t), 프랑스(5천439t), 네덜란드(5천310t), 스페인(3천357t) 순이었다. 그러나 앞으로 한·EU FTA가 발효되면 EU산 삼겹살에 붙는 25%(냉동육 기준)의 관세가 향후 10년간 단계적으로 철폐되므로 EU산 삼겹살 가격은 크게 떨어져 경쟁력이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최근 냉동 삼겹살 1kg 가격은 한국산 7천700원대, EU산 5천100원대, 미국산 4천500원대 선이어서 FTA 타결로 관세가 철폐되면 4천200원대까지 떨어질 수 있다. ♠ `포도주` 프랑스 등 EU산 50% 포도주는 올 상반기 프랑스, 이탈리아 등 EU 국가에서 수입한 것이 5천451t으로 전체 수입량(1만825t)의 절반을 조금 넘겼다. 금액은 3천79억달러로 전체의 56% 정도였다. EU 국가 중 포도주 수입량이 가장 많았던 곳은 스페인(1천909t)이고 뒤이어 프랑스(1천650t), 이탈리아(1천434t), 독일(298t), 헝가리(121t), 포르투갈(22t), 루마니아(16t), 오스트리아(1t) 순이었다. 포도주는 한·EU FTA 발효와 동시에 15%의 관세가 철폐되므로 적잖은 가격 인하가 예상된다. 국내 주류업계도 유럽산 포도주가 밀려올 경우 맥주, 소주 등 다른 주류의 소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우려하고 있다. /연합뉴스
2009-07-20
신종 인플루엔자A(H1N1)의 여파로 돼지 사육 이 줄어든 반면 돼지고기를 대체할 수 있는 닭의 사육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4일 발표한 `2009년 2분기 가축동향 조사 결과`에 따르면 6월 기준 돼지 사육 마릿수는 904만4천마리로 전 분기보다 13만3천마리(1.4%) 감소했다. 돼지에게 걸리는 인플루엔자의 변종인 신종 플루가 4월 발생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된 데다 국제 곡물가격이 불안정해 사육 심리가 위축된 탓으로 통계청은 분석했다. 반면 육계(고기용 닭) 사육 마릿수는 9천998만3천마리로 전 분기보다 무려 45.5%(3천128만9천마리)나 늘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돼지고기 대체육으로서 소비가 증가한 데다 보양식 등 여름철 특수에 대한 기대로 사육이 크게 증가한 것 같다”고 말했다. 산란계(알 낳는 닭)도 증가 폭은 작지만, 전 분기보다 90만6천마리(1.5%) 늘어난 6천114만3천마리로 집계됐다. 한우.육우(고기를 얻기 위해 비육한 젖소) 사육 마릿수는 259만9천마리로 전 분기보다 11만8천마리(4.8%) 증가하며 최대를 기록했다. 한.육우 사육 규모는 계속 늘고 있는 추세다./연합뉴스
2009-07-15
이달 들어 수박 가격이 작년보다 30% 안팎으로 올랐다. 이는 무더위가 일찍 찾아오면서 산지의 출하 시기가 앞당겨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미 주요 산지에서 출하량이 대부분 소진된 상태지만 초복을 앞두고 수요는 더욱 늘 것으로 예상돼 대형마트 등 유통업계가 물량 확보에 비상이 걸렸다. 5일 농수산물유통공사 가격정보에 따르면 수박 상품(上品) 한 통의 소매가격은 1만4천869원으로 한 달 전 1만1천84원에 비해 34.1%나 올랐다. 지난해 동기의 1만2천46원에 비해서는 23.4%나 오른 것이다. 앞서 3일에는 가락동 농산물 도매시장의 경매가가 1통에 1만4천원 수준으로 치솟았다고 유통업계는 전하고 있다. 신세계 이마트에서는 현재 수박 한 통(이하 8㎏)이 1만1천200원 안팎에 판매되고 있어 작년 동기 대비 20~30% 올랐으며, 홈플러스에서도 1만2천640원으로 작년 동기 1만400원에 비해 21.5% 비싸졌다. 대형마트의 경우 산지직송 비율이 90% 이상이어서 아직은 가격이 상대적으로 낮다. 그러나 일반 소매점들에서는 최근 치솟은 도매가격이 반영되면서 가격이 더욱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수박 가격이 최근 한 달 사이 급등한 것은 경남, 전남, 충청권의 주요 산지에서 비닐하우스 수박의 출하 시기가 작년에 비해 앞당겨졌기 때문이라고 업계는 분석했다. 특히 작년 여름 수박 시세가 좋았던 데다 올해에는 5월부터 이른 더위가 찾아오면서 주요 산지의 농가들은 작년보다 파종을 좀 더 일찍 시작해 수확도 조기에 끝냈다는 것이다./연합뉴스
2009-07-06
농림수산식품부는 최근 미국의 육류업체가 회수(리콜) 조치를 취한 병원성 대장균 O157(E. Coli 0157:H7) 오염 의심 쇠고기가 국내에는 수입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미 콜로라도에 소재한 JBS-스위프트 비프는 4월 21일 생산한 분쇄육(햄 패티·미트볼 등 갈아 만든 고기)과 절단육(구이용 스테이크 등 썬 고기) 등 쇠고기 191t에 대해 O157 오염을 이유로 리콜 조치를 최근 내렸다. 농식품부는 문제의 쇠고기가 국내에 수입됐는지를 파악한 결과 4월21일 생산된 제품이 111박스, 3.5t 있었지만 리콜 대상인 등심 부위는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국내에 수입된 제품은 전량 냉동 갈비였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국립수의과학검역원이 제품 박스 목록을 리콜 대상 제품 명단과 대조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며 “JBS 측에 확인한 결과로도 일본·대만에는 문제의 제품이 수출됐지만 한국으로는 수출되지 않았다고 통보받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2009-07-02
올해 사과와 봄감자 재배면적이 증가한 반면 배와 보리 재배면적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동북통계청의 보리, 봄감자, 사과, 배 재배면적 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몇년간 가격호조로 사과와 봄감자 재배면적은 143㏊(0.7%)와 338㏊(14.9%)가 각각 늘어났다. 사과 재배면적은 최근 몇 년간 사과가격 호조와 자체 브랜드화 확산 등으로 증가했고 봄감자도 최근 감자 가격이 좋아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이곤영기자
2009-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