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국정화` 행정 예고<bR>정치권·학계 일각선 반발
민간출판사가 발행해온 중·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가 2017년부터 국가가 발행하는 국정으로 바뀐다.
교육부는 12일 중학교 `역사`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를 국정으로 발행하는 내용의 `중·고등학교 교과용도서 국·검·인정 구분(안)`을 행정예고했다.
<관련기사 2, 3면> 교육부는 다음 달 2일까지 구분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한 뒤 확정·고시할 예정이다.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날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제 전환을 발표하고 “국민께서 걱정하는 이념 편향성을 불식시키고 미래의 주역인 청소년이 올바른 국가관과 균형잡힌 역사인식을 키워나갈 수 있도록 헌법 정신과 객관적 사실에 입각한 교과서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황 부총리는 “정부가 직접 역사적 사실에 대한 오류를 바로 잡고 역사교과서의 이념적 편향성으로 인한 사회적 논쟁을 종식하고자 하는 불가피한 선택이었다”며 국정화 결정 이유를 설명하고, 국정 교과서의 서술 방향에 대해 “고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우리 역사를 검증된 사료에 따라 정확하게 기술하겠다” 고 밝혔다.
이로써 중·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는 2011년 검정 교과서로 완전히 바뀌고 나서 6년 만에 국정으로 회귀하게 된다.
교육부는 국정 교과서를 `올바른 역사교과서`로 명명하고, 앞으로 행정절차를 마무리하면 산하 기관인 국사편찬위원회에 교과서 개발을 맡길 예정이다.
하지만 야당과 역사학계, 교육계에서는 국정 교과서가 민주주의에 역행한다며 반발하고 있어 사회적으로 큰 파장이 예상된다.
/이창형기자 chle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