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험 관광단지 조성 등<BR>상반기 국책사업 구상 완료
경북도가 올해부터 삼국유사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풍부한 역사문화 콘텐츠를 적극 활용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삼국유사 역사문화 벨트 사업`(이하 사업)을 추진한다.
1일 경북도에 따르면 삼국유사 역사문화 콘텐츠 연구개발 및 국제적 선양사업을 전담할 전문기관 건립, 가상현실(VR) 등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한 미래형 삼국유사 문화체험 관광단지 조성, 중부권역의 7개 시·도에 산재한 삼국유사 문화유산의 공동개발로 올 상반기 안에 국책사업의 기본구상을 마칠 계획이다.
경북도가 역점시책으로 추진한 `삼국유사 목판사업`이 지난해 7월 첫 성과물인 `조선중기본` 목판복원에 이어 두 번째 성과물인 `조선초기본` 목판복원이 지난해 12월말 완료됐다.
삼국유사 목판사업은 2013년 5월 김관용 도지사가 경북의 정체성 확립을 위해 그 필요성을 제시한 이후, 2014년 하반기부터 본격 추진됐다.
고려 충렬왕 7년(1281년) 일연 스님이 군위군 인각사에서 완성한 민족의 보물 삼국유사가 목판 없이 인쇄본만 전해 옴에 따라 목판원형의 복원을 통해 삼국유사의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제고하고 우수한 기록문화 계승·발전의 계기를 마련한다는 취지였다.
2015년부터 2016년까지 2년 동안 `조선중기본`, `조선초기본` 2종을 차례로 복각(復刻)해 인출(印出)한 후 전통방식으로 책을 만들었고, 올 상반기 이들을 집대성한 `경북도 교감본`을 디지털 방식으로 제작해 인터넷으로 공개할 계획이다.
경북도 교감본은 수차례 제작 방법에 대한 토론회를 갖고 다양한 분야의 삼국유사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시대 트렌드를 반영하고 대중적 접근성을 제고하기 위해 목판보다는 미래지향적 방법인 디지털화하는 것으로 제작방향을 설정했다.
완성된 목판들은 경북도, 군위군, 한국국학진흥원에서 나눠 보관하고, 인출본 및 영인본 책들은 판본제공 기관과 조계종 인각사, 주요 도서관 및 박물관 등 유관기관에 배부해 보존키로 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우리 문화의 원형이자 문화유산의 보고(寶庫)인 삼국유사 문화콘텐츠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겠다”면서 “한반도 허리권의 신라-중원-백제문화권 교류를 통한 문화융성 선도를 위해 다양한 활용방안을 마련하는 등 차별화된 미래지향적 신(新)문화관광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