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 공공기관 이전 소외감 尹 정부 “지역 차별 없어야”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2-05-23 20:33 게재일 2022-05-24 1면
스크랩버튼
대구 16개·경북은 10개에 그쳐<br/>포항·구미·상주·문경 등 유치전<br/>2차 이전 조속 추진 목소리 높아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정부의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이 공염불에 그치고 있다. 문재인 정부가 공공기관 2차 지방 이전을 추진했지만 공공기관 10곳 가운데 4곳 이상이 수도권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경북은 그동안 추진된 공공기관 이전에서 상대적으로 소외된 것으로 나타나 홀대를 받고 있다는 지적이다.

윤석열 정부가 공공기관의 지방 이전을 15개 국정과제 중 하나로 제시하고 있어 경북도가 공공기관 지역 유치에 전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23일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 시스템인 알리오에 따르면 공공기관 370개 중 서울 등 수도권에 44.3%인 164개가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이 125개로 전체의 33.8%를 차지했고 경기가 31개(8.4%), 인천 8개(2.2%) 이다.


17개 시·도별로 보면 서울이 압도적으로 많고 대전 40개, 경기 31개, 세종 26개, 부산 22개, 대구·전남 각 16개, 충북 14개 순이었다. 경북은 10개에 그치고 있다.


이에 따라 경북에서는 포항·구미·상주·문경시 등이 적극적인 유치전에 나서고 있다. 이들 도시는 혁신도시 외에 지방 거점도시로 공공기관을 이전하는 것을 목표로 공공기관 지방 이전을 촉구하는 광고를 게시 등을 이어가고 있다.


포항시는 연구개발 및 지역 특성에 맞는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동북아역사재단,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창의재단을 유치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구미시는 ICT, 국방, 중소기업 관련 공공기관과 통합 신공항과 지역산업 연계, 지역 발전의 파급효과가 큰 핵심 공공기관을 유치 대상으로 선정했다.


상주시는 공공기관 유치 목표 기관들에 대한 분석과 대책을 강구해 농업 관련 공공기관과 물류관련 공공기관 등 5~6개 공공기관 유치를 희망하고 있다.


문경시는 인구 유입과 경제 활성화를 위해 이전 계획이 있거나 검토하고 있는 공공기관을 문경시에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해당지역 서비스를 위해 일부 수도권에 있을 수밖에 없는 공공기관 외에 상당수 공공기관은 반드시 수도권에 소재할 특별한 이유가 없는 기관들이어서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이 신속히 지역 차별 없이 추진돼야 한다”며 “경북도에서도 각 시·군과 협의해 경북의 발전을 이끌 수 있는 공공기관을 유치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문제인 정부는 핵심 대선공약으로 지역균형발전과 공공기관 2차 이전을 발표했지만 임기 중 추진하지 못하고 차기 정부로 넘겼다. 이에 포항과 구미, 상주, 문경, 충주, 제천, 공주, 순천, 창원 등 전국 비혁신도시 9개 단체장은 지난해 11월과 올해 1월 제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 조속 추진을 재차 촉구하는 공동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전 정부를 압박하기도 했다. 안동/피현진기자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