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남윤·조철현 교수·최영준 박사 탁월한 역량 갖춘 교원 적극 지원 “국내외 우수 인재 유치 힘쓸 것”
수도권 집중 현상이 갈수록 심화하는 가운데 포항공과대학교가 우수한 연구 환경과 글로벌 경쟁력을 바탕으로 수도권 명문대 교수들을 잇달아 영입하며 주목받고 있다.
2일 포항공대에 따르면 올해 전자전기공학과에 이남윤 교수(전 고려대 교수), 수학과에 조철현 교수(전 서울대 교수)가 합류했다. 이남윤 교수는 지난 2022년 포항공대를 떠났다가 포항에서의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3년 만에 복귀했다.
그는 5G·6G 거대 다중안테나 전송 기술 및 차세대 위성통신 분야 세계적인 전문가로 △2020 IEEE 통신분과 젊은 연구자상 △2021 IEEE-IEIE 올해의 IT 젊은공학자상 △2021 한국통신학회 해동 젊은 과학인상을 받았다.
또 지난 1일 부임한 조철현 교수는 수학의 기하학 및 대칭성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를 가진 학자로, 2023년 대한수학회 최고 권위상인 ‘디아이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두 교수는 소규모 정예 시스템과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 제도적 유연성을 포항공대의 큰 강점으로 꼽았다.
오는 8월에는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산타바바라캠퍼스(UC Santa Barbara) 박사후연구원 최영준 박사가 물리학과 교수로 부임한다.
캘리포니아공대(Caltech)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과학 최고 권위지인 ‘네이처(Nature)’에 제1 저자로 논문 4편을 발표하는 등 ‘저차원 전자 양자 현상’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포항공대는 그의 뛰어난 연구 역량을 인정해 초기 정착비와 특별지원금 총 10억 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포항공대는 신임 교원의 초기 정착 지원금을 5억 원으로 대폭 확대했으며, 학문적 특수성과 탁월한 역량을 갖춘 전임교원에는 지원 규모나 범위에 제한 없이 적극 지원하고 있다.
또 국내 최초로 만 50세부터 정년을 70세까지 미리 확정할 수 있는 ‘정년연장 조기결정 제도’를 도입해 연구자 중심의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이종봉 포항공대 교무처장은 “전국적인 수도권 집중 현상 속에서 연구 업적이 탁월한 교수들이 포항을 선택한 것은 연구 환경 수준과 독자적인 경쟁력이 지역적 한계를 뛰어넘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연구 중심 대학으로서 국내외 우수 인재 유치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