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갑자기 사라진 병산서원 ‘윤석열 기념식수 비석’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5-07-02 17:18 게재일 2025-07-03 2면
스크랩버튼
최근 정비 작업 중 우연히 발견
서원 , 안동시에 공식조사 요청
국가 문화유산구역내 불법 설치
일부, 의도적 철거 가능성 제기
2023년 당시 윤석열 대통령이 병산서원을 방문해 식재한 소나무와 기념 비석(사진 왼쪽)과 기념 비석이 사라진 현재 기념 식수 모습(사진 오른쪽). /안동시 제공 

안동시의 대표 유적지 병산서원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기념식수 비석이 사라져 논란이 일고 있다. 해당 비석은 윤 대통령이 2023년 3월 병산서원을 방문해 기념식수를 한 뒤 설치된 것이다. 당시 대통령이 유교문화의 상징적 공간인 병산서원을 찾은 의미를 기념해 조성됐다.

2일 서원 관계자에 따르면 비석의 실종은 최근 정비 작업 중 우연히 발견됐다. 

그는 “비석 주변 수목 정비 중 담당자가 비석이 없어진 것을 인지했고, 이후 보관 창고나 기타 장소도 모두 확인했지만 찾을 수 없었다”며 “공식적인 철거 요청은 접수된 바 없고, 훼손 흔적도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현재 병산서원 측은 안동시에 해당 사실을 보고하고 공식 조사 요청을 한 상태다. 하지만 비석의 정확한 행방은 오리무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안동시 관계자는 “센터에서 비석이 사라진 것 같다는 보고를 받고 현장 확인을 했다”며 “기초적인 사실관계를 파악 중이며, 필요시 경찰과 협조해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지역 주민들과 서원 방문객들 사이에서도 문화유산 공간에서 일어난 ‘비석 실종’ 사건에 대한 불신과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안동시에 거주하고 있는 정모씨(62)는 “일반 공원도 아닌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공간에서 대통령 기념비가 사라졌다는 건 말이 안 된다”며 “어떻게 이런 일이 발생할 수 있었는지 당국은 투명하게 설명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이번 사건을 두고 정치적 해석도 분분하다. 

일부에서는 누군가 의도적으로 철거하거나 훼손했을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으며, 일각에서는 최근 정치·사회적 분위기와 연관된 ‘상징적 행위’일 수 있다는 추측까지 나오고 있다. 

문화재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을 계기로 유적지 내 기념물과 조형물 관리 체계 전반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대통령 기념식수와 같이 상징성이 큰 시설물은 별도의 관리 매뉴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현장 확인 후 필요 시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고, 앞으로 유사 사례가 재발하지 않도록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문제는 윤석열 대통령 기념식수 비석이 처음부터 불법으로 설치됐다는 것이다. 

당시 소나무와 비석이 식제된 곳은 국가지정문화유산 구역으로 이 지역에 나무를 심는 등의 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국가유산 현상변경 신청’을 해야 하지만 당시 대통령실은 안동시에 현상변경 신청을 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