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상주시 빗물정원, 도심 침수 해결 대안

곽인규 기자
등록일 2025-07-31 11:16 게재일 2025-08-01 10면
스크랩버튼
7월 집중호우 기간 효과 입증
Second alt text
상주시청 옆 빗물정원. /상주시 제공

도심 속 기후대응형 빗물정원이 침수 예방, 저류 기능에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상주시는 폭우 등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도심 곳곳에 ‘기후대응형 빗물정원’을 조성했다.

이 결과 지난 7월 집중호우 기간 중 침수 예방과 빗물 저류에 탁월한 성과를 거두며, 도시 기후위기 대응 인프라로서의 실효성을 입증했다.

상주시는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도심 내 유휴 공간을 활용한 기능형 녹색 인프라 확충에 주력해왔다.

상주시청 옆과 서성동 시민교회 앞 삼거리(서성동 1-1), 라인온스탑 삼거리 교통섬(신봉동 699) 등에 조성한 빗물정원이 대표적 사례다.

이 사업은 단순한 녹지 조성을 넘어, 도심 내 물순환 체계 회복과 도시열섬 현상 완화, 도시경관 개선이라는 다목적, 전략적 사업으로 기획했다.

특히, 상주시청 인근 빗물정원의 경우 지난 집중호우 시 침수나 토사 유실 없이 안정적으로 기능하며, 우수 저류와 지연 효과를 발휘해 그 설계 및 시공의 우수성을 입증했다.

빗물정원은 LID기법(Low Impact Development)을 적용해 화단 밖 길을 따라 길게 설치된 띠녹지보호판으로 흐르는 빗물을 삼통관으로 모아 화단 아래 매설된 빗물저금통에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구조다.

비록 규모는 크지 않지만 하천이나 하수관로로의 급격한 유출을 지연시킨다.

이러한 통합형 물관리 시스템은 집중강우 시 도시의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 지속가능한 도시계획의 필수 요소로 각광 받고 있다.

김국래 산림녹지과장은 “빗물정원이 이번 폭우에도 도시 침수와 피해를 예방하는 데 큰 역할을 하며 기후변화 대응 인프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며 “앞으로도 도심 내 자투리 공간을 적극 활용해 시민 중심의 스마트 녹화사업을 추진하면서 기후 위기에 강한 도시를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곽인규기자 ikkwack@kbmaeil.com

중서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