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전국 고교생 퇴계학 토론대회 안동서 개최
퇴계 이황 선생의 철학을 계승하고 청년세대의 공감 능력과 사유력을 키우기 위한 특별한 장이 마련됐다.
퇴계학진흥회는 퇴계학연구원과 공동으로 9일과 10일 안동 도산서원선비문화수련원에서 ‘제2회 전국 고교생 퇴계학 토론대회’를 개최한다.
올해 토론 주제는 퇴계 선생이 남긴 문구인 ‘所願善人多'(소원선인다·선한 사람이 많은 세상)으로 지난 6월 에세이 심사를 통과해 참가 자격을 얻은 총 36명의 고교생 중 예선과 본선을 거쳐 6명이 ‘2025년 청년퇴계’에 선발됐다.
이들은 첫날 6개 분임조로 나뉘어 예선 토론이 펼칠 예정이며, 둘째 날 본선에서는 각 조에서 선발된 대표들이 퇴계 사상의 현대적 의미를 놓고 열띤 논쟁을 벌인다. 특히, 인공지능과 기후위기 시대를 살아가는 청년으로서 ‘사람다움이란 무엇인가’, ‘선한 공동체란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가’ 등의 질문을 깊이 있게 탐구한다.
퇴계학진흥회 관계자는 “이번 대회는 단순한 토론을 넘어, 퇴계 선생이 강조한 ‘경(敬)’과 ‘성(誠)’의 가치를 바탕으로 마음챙김과 자기돌봄, 배려의 철학을 배우는 시간”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대회 최우수상 1명에게는 교육부장관상과 함께 상금 100만 원이, 우수상 2명에게는 교육감상과 도산서원상이 각각 90만 원이, 장려상 3명에게는 퇴계학진흥회상, 퇴계학연구원상, 포스코홀딩스상이 각각 80만 원씩 수여된다.
퇴계학진흥회 이희범 회장은 “퇴계 선생이 오늘날 우리에게 던지는 메시지는 인간과 지구에 대한 ‘경(敬)’”이라며 “청년들이 토론을 통해 퇴계의 경건한 집중력과 성실한 사유(誠)를 배우길 바란다”고 밝혔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