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포항이 살아야 대한민국이 삽니다”···‘산업위기 선제 대응지역’ 지정 사활

배준수 기자
등록일 2025-08-05 17:32 게재일 2025-08-06 7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이강덕 포항시장이 5일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 지정을 위한 현지실사단과의 종합상황 점검 회의에서 철강산업 복합위기에 대한 선제적 대응 필요성과 조속한 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용선기자

“산업용 전기요금이 크게 오른 것만 해도 애로가 많습니다. 정책적인 고려가 필요합니다”. 5일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 지정을 위한 산업통상자원부 등의 현지실사단을  만난 포스코, 현대제철 관계자는 이렇게 호소했다. 미국의 철강 관세 50%가 그대로 유지돼 큰 타격을 받게 된 세아제강, 넥스틸 등의 강관업체도 어려움에 직면했다. 

포항시는 현지실사단과의 종합상황 점검 회의에서 하루 빨리 ‘산업위기 선제 대응지역’으로 지정할 것을 건의했다. 포항제철소가 설립 이후 처음으로 지난해 적자를 기록한 데 이어 저가 중국산 철강과의 경쟁과 더불어 미국 정부가 한국산 철강에 50%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상황에서 적자 폭이 더 커질 수밖에 없는 절체절명의 위기상황임을 강조하면서다. 

Second alt text
포항시 산업위기 선제 대응 지역 지정 민관 합동 현장실사가 5일 포항제철소와 현대제철 포항공장, 포항시 등에서 실시됐다. 포항시 대회의실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실사단장이 모두발언하고 있다. /이용선기자

특히, 지난해부터 글로벌 경기 침체, 에너지 비용 급등, 산업구조 전환 등 복합 위기를 겪는 철강업계를 지속 방문해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철강산업 위기가 지역 내 협력 중소기업과 일자리 생태계 전반에 침체를 유발하고 있어 국가적 차원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는 점을 다시 강조했다. 100명이 넘는 여야 의원이 정당을 초월해 ‘철강산업 지원 특별법’(K스틸법)을 발의한 것과 궤를 같이 한다. 

포항시 투자기업지원과 관계자는 “어려움에 처한 철강기업이 생산을 줄일 경우 자동차와 조선, 건설 등의 분야가 필요로 할 경우 적기에 공급하지 못하는 등 연관산업마저 어려움에 직면한다”라면서 “철강도시 포항을 살리는 것이 대한민국을 살리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포항시는 지난달 18일 산업부에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 지정 신청서를 제출했는데, 9월 중에 심의위원회를 거쳐 지정 여부가 확정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으로 지정되면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우대, 이자차액 보전, 컨설팅, 고용안정 지원 등 다양한 정부 지원사업을 2년간 집중 추진하게 된다. 

한편, 정부는 지역의 주된 산업이 악화할 것으로 예상될 경우 시의성 있게 대응할 수 있도록 ‘산업위기 선제 대응 지역’으로 신청하는 요건을 현실에 맞게 변경했다. 3월 4일부터 이런 내용을 포함한 ‘지역 산업위기 대응 제도의 지정 기준 등에 관한 고시’ 개정안을 시행했다. 덕분에 세계 최대 규모 단일 화학산단인 석유화학산단을 품은 여수시는 지난 5월 전국 최초로 석유화학 분야에서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으로 지정됐다. 

/배준수기자 baepro@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