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 달성군, 공동체형 노인일자리 확대⋯ 어르신 자립·성취감 ↑

최상진 기자
등록일 2025-08-07 15:07 게재일 2025-08-08 8면
스크랩버튼
비슬애찬·카페비슬애 등 10개 사업단 운영
일하며 건강·소득·보람 그리고 성취감까지 얻는다
‘카페 비슬애’ 4호점에서 일하고 있는 실버바리스타의 모습. /최상진기자

대구 달성군이 노인일자리 정책의 중심을 ‘공동체형 일자리’로 전환하며 어르신들의 자립과 사회참여를 적극 지원하고 있다. 단순한 일자리 제공을 넘어, 실질적인 수익과 성취감을 중시하는 방향으로의 변화는 지역사회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달성군에 따르면 현재 노인일자리 사업은 크게 노인공익활동형, 노인역량활용형, 공동체형, 취업알선형 등으로 나뉜다. 이 중 공동체형 일자리는 일정한 근로 능력을 갖춘 어르신들이 소규모 매장, 제조, 서비스업 등에 직접 참여해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으로, 보다 지속 가능하고 생산적인 일자리 모델로 주목받고 있다.

달성군은 올해 ‘비슬애찬’, ‘카페비슬애’, ‘가창면소’, ‘달성시니어 바이오&클린’ 등 10개 공동체형 사업단을 운영 중이며, 320여명의 어르신이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최저임금을 바탕으로 월 40만~70만 원의 소득을 얻으며, 건강 유지와 함께 경제적 자립도 이루고 있다.

특히 ‘카페 비슬애’는 3개소에서 35명이 근무 중이며, 착한 가격의 음료 제공과 친절한 서비스로 주민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일부 매장은 하루 매출이 100만 원에 이를 정도로 안정적인 운영 기반을 갖춰가고 있다.

이 외에도 장난감 도서관 7곳에서 소독·세척 업무를 맡는 ‘장난감 세척 사업단’, 기업체와 연계해 포장·조립을 수행하는 ‘어울림 사업단’도 활기를 띄고 있다.

'카페 비슬애’ 4호점(달성군교육문화복지센터) 전경. /최상진 기자

카페 비슬애 4호점에서 바리스타로 일하는 한 60대 여성은 “동료들과 함께 일하며 보람도 느끼고 용돈도 벌 수 있어 행복하다”며 “건강이 허락하는 날까지 계속하고 싶다”고 말했다.

달성군 관계자는 “공동체형 노인일자리는 어르신들에게 소득은 물론 자존감과 성취감을 높여주는 가치 있는 정책”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맞춤형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달성군은 오는 9월 김밥·덮밥 전문점 ‘비슬애 반(飯)’ 개점을 앞두고 공동체형 일자리를 더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최상진기자 csj9662@kbmaeil.com

대구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