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내년 국비 대구시 8조·경북도 12조 ‘파란불’

김재욱 기자 ·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5-09-01 16:42 게재일 2025-09-02 2면
스크랩버튼
대구시
AI·로봇 분야  미래신산업 육성 
TK신공항 건설 교통허브 사업 
글로벌웹툰센터 조성 등 반영

경북도
세계경주포럼·산불피해 복구
남부내륙철도·영일항 복합항만수소연료전지클러스터 등 포함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 이철우 경북도지사. /대구시·경북도 제공

대구시와 경북도의 현안 사업이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대거 반영되며 국비 확보에 청신호가 켜졌다.

1일 대구시에 따르면 2026년 정부 예산안에 투자사업 4조2754억 원 규모의 국비를 반영했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로, 올해 대구시 투자사업 국비(4조433억 원)보다 약 6% 늘어난 수치다. 복지사업과 교부세를 포함하면 8조 원대 국비 확보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는 것이 대구시의 판단이다.

정부 예산안에 반영된 주요 사업을 보면 인공지능(AI)·로봇 등 미래 신산업 육성 분야에서 △지역거점 AX(인공지능 전환) 혁신 기술개발(198억 원) △국가로봇테스트필드 조성(576억 원) △모빌리티 부품 제조 AI확산센터 구축(20억 원) 등 사업이 포함됐다. 

또 △대구산업선철도 건설(1918억 원) △대구경북신공항(민간공항) 건설(318억 원) △조야∼동명 간 광역도로 건설(300억 원) △달빛철도 건설(85억 원) 등  대구·경북신공항 추진과 교통 허브 조성을 위한 사업도 다수 들어갔다.

아울러 문화예술 분야에서는 △디아크 문화관광 활성화(46억 원) △대구글로벌웹툰센터 조성(28억 원)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17억 원) △경상감영 복원정비(11억 원) 등이 반영됐다. 시민 안전과 관련한 예산도 다수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경북도 역시 주요 현안 사업을 대거 반영해 목표액인 12조3000억 원을 달성했다.

같은 날 경북도에 따르면 예산안에는 △국제행사 △산불 복구 △교통 인프라 △에너지 전환 △농림·문화·복지 분야까지 폭넓은 사업들이 반영됐다. 

특히 세계경주포럼에는 15억 원이 편성돼 향후 역사유적공원 조성과 관광 인프라 정비가 추진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피해목 제거(200억 원)와 방지대책(96억 원)도 포함돼 주민 생활 안정에 기여할 전망이다.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사회간접자본(SOC) 사업으로는 △남부내륙철도(2600억 원) △포항영일항 복합항만(1112억 원)  △영일만 횡단 고속도로(285억 원) △울릉공항 건설(1149억 원) 등이 반영돼 동해안과 내륙, 도서 지역을 연결하는 교통망 확충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SMR) 기술개발(636억 원)과 제작지원센터 설립(26억 원), LPG 배관망 구축(204억 원), 수소연료전지 발전클러스터(131억 원) 등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사업도 포함됐다. 여기에 생활 밀착형 사업도 다수 반영된 것으로 전해졌다.

경북도는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도 국비 증액 확보 활동을 강화할 계획이다.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은 “이번 성과는 대구시 모든 공직자가 하나로 힘을 모은 결과”라며 “국회 예산 심의가 끝나는 순간까지 국비 사업이 최대한 추가 반영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도민의 삶과 경북 발전을 위한 국비 확보는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다”면서 “주요 현안을 반드시 성과로 이끌겠다”고 각오를 드러냈다.

/김재욱·피현진기자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