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작은 원자로가 바꾸는 경북의 미래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5-09-10 10:38 게재일 2025-09-11 3면
스크랩버튼
경북도 SMR 산업으로 에너지·산업·지역 판 재구성
경주 소형모듈원자로 국가산단지 조감도./경북도 제공

경주시 감포읍 일대 바다와 산이 맞닿은 지역에 대한민국 에너지 산업의 미래가 움트고 있다. 

바로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SMR) 국가산업단지’이다. 경북도는 이곳을 중심으로 원자력 산업의 전주기를 아우르는 글로벌 거점을 만들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세우고 있다.

SMR은 발전용량이 300MWe 이하인 소형 원자로이다. 

기존 대형 원전보다 작고 안전하며 유연한 구조를 갖고 있다. 모듈화 설계로 공장에서 제작한 뒤 현장에서 조립할 수 있어 건설 비용과 기간을 줄일 수 있다. 외부 전력 없이도 자동 냉각이 가능한 피동안전기술이 적용돼 안정성도 높다. 무엇보다 수소 생산, 해수 담수화, 지역 열공급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할 수 있어 ‘에너지 플랫폼’으로서의 잠재력이 크다.

경북도는 이 기술을 중심으로 경주를 ‘원자력 산업의 심장’으로 키우려 한다. 

현재 감포 일대에는 총 6540억원 규모의 혁신원자력연구단지가 조성 중이다. 2025년 완공 예정인 문무대왕과학연구소가 SMR 기술개발의 핵심 거점이 될 예정이다. SMR 제작지원센터, 원자력 부품 클러스터, 전문인력 양성기관까지 더해지면 경북은 원자력 산업의 전주기를 갖춘 유일한 지역으로 자리매김한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경북은 이미 국내 원전의 절반이 위치한 지역이다. 우리는 이 강점을 살려 SMR을 수출형 산업으로 키우고, 지역경제를 다시 일으킬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경북도는 한수원, 한국원자력연구원, 재료연구원 등과 협력해 기술개발과 인허가 문제를 함께 풀고 있다. 국내 8개 앵커기업이 참여한 간담회에서는 용융염원자로(MSR)와 혁신형 SMR(i-SMR) 개발이 핵심축으로 설정됐다.

글로벌 시장도 경북의 전략에 힘을 실어준다. 

SMR 시장은 연간 146조 원 규모로 추산된다. 2030년대에는 500조~700조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러시아, 중국 등 주요국이 기술 선점을 위해 경쟁 중이며, 한국도 한미 원자력 동맹 강화와 함께 수출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경북은 이 흐름 속에서 기술개발과 제조, 수출까지 아우르는 ‘에너지 수출기지’로 도약하려는 것이다.

하지만 현실적인 과제도 적지 않다. 

원자력에 대한 시민들의 불안감, 인허가 절차의 복잡성, 국제 기준에 맞춘 기술 검증 등이 모두 넘어야 할 산이다. 특히 지역 주민들과의 소통은 가장 중요한 과제로 꼽힌다.

경주시민 김모씨(64)는 “원자력은 위험하다는 인식이 아직 강하다. 연구소가 생긴다고 해서 마을이 좋아질지 걱정도 된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이에 대응해 주민 설명회, 안전 교육, 지역 상생 프로그램 등을 확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경북의 SMR 전략이 성공하려면 기술력 뿐 아니라 ‘사회적 수용성’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이들은 “SMR은 기술적으로 뛰어나지만, 시민들이 신뢰하지 않으면 산업은 지속될 수 없다. 경북은 기술과 사람을 함께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