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동월 대비 절반 이하로 줄었지만 전월보다 확대···당국 “금리·집값 기대감 경계”
8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지난달 보다 증가폭이 커졌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증가폭이 절반 이하로 낮아졌지만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확대와 신용대출 감소폭 축소가 영향을 미쳤다.
금융당국이 발표한 ‘8월 가계대출 동향(잠정)’에 따르면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4조7000억원 증가했다. 주담대는 5조1000억원 늘어 전월(4조2000억원)보다 확대됐다. 은행권(3조4000억원→3조9000억원)과 제2금융권(8000억원→1조3000억원) 모두 증가폭이 커졌다.
기타대출은 4000억원 감소해 전월(-1조9000억원)보다 감소폭이 줄었다. 신용대출 감소폭이 전달 1조1000억원에서 3000억원으로 축소된 영향이다.
업권별로는 은행권 가계대출의 경우 4조2000억원 늘어 전월(2조8000억원) 대비 증가폭이 확대됐다. 은행 자체 주담대가 2조7000억원 증가했고, 정책성대출은 1조2000억원 늘어 전월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기타대출은 3000억원 증가로 전환됐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6000억원 증가해 전월 감소(-5000억원)에서 증가로 돌아섰다. 상호금융권은 1조2000억원 늘었고, 저축은행도 300억원 증가로 전환됐다. 보험(-4000억원)과 여전사(-2000억원)는 전월과 같은 감소폭을 보였다.
금융당국은 주담대 확대 배경으로 신학기 이사 수요와 8월 이전 주택거래량 증가를 지목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거래량은 6월 5만9000호에서 7월 5만호, 수도권은 6월 3만4000호에서 7월 2만6000호를 기록했다.
권유이 금융위원회 금융정책과장은 “8월은 통상 대출 증가폭이 큰 시기지만, 전년 동월 대비 증가폭이 줄었다”며 “금리 인하 기대감, 주택가격 상승 기대 등 불안 요인이 여전해 시장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고 필요시 선제 조치를 취하겠다”고 말했다.
앞으로 금융당국은 지난 9월 7일 시행된 ‘가계부채 추가 관리방안’에 대한 현장 점검과 관계기관·금융권 점검회의를 정례화해 대책의 조기 안착을 추진할 방침이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