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북 산불 피해 정부 발표 보다 훨씬 심각

피현진 기자
등록일 2025-09-11 14:14 게재일 2025-09-12 2면
스크랩버튼
시민사회·전문가 공동조사 착수···11일 1차 조사 결과 발표

경북에서 지난 3월 발생한 산불피해가 정부 발표 보다 훨씬 심각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불교환경연대, 안동환경운동연합, 서울환경연합, 생명다양성재단은 부산대학교 홍석환 교수와 11일 서울 불교환경연대 그린담마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경북산불 피해확산 원인조사 프로젝트’의 시작과 1차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3월 초대형 산불은 31명의 사망자와 4000여 채의 주택 전소, 1조1000억 원 이상의 재산 피해를 남기며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산불로 기록됐다. 하지만 정부 차원의 공식 조사와 과학적 검증은 여전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

홍석환 교수는 “위성영상 분석 결과 산불 피해 면적은 산림청의 공식 발표인 9만9289ha보다 훨씬 넓은 11만6333ha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어 “산림청이 초기 발표에서 피해 규모를 축소했다가 이후 통계를 수정했지만, 여전히 10만ha를 넘지 않으려는 의도가 의심된다”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산림청의 소나무 단순림 숲 가꾸기 정책이 산불 확산의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수관부까지 모두 불탄 지역 대부분이 소나무림이었으며, 이는 낙엽활엽수를 제거하는 숲가꾸기 정책으로 인해 식생구조가 왜곡된 결과라는 설명이다.

김수동 안동환경운동연합 대표는 “산불 피해 주민에 대한 지원은 터무니없이 부족한데 산림청은 긴급벌채와 임도 조성, 조림 등 산림사업에 막대한 예산을 쏟아붓고 있다”며 산림청과 산림카르텔을 강하게 비판했다.

유정길 불교환경연대 공동대표는 “기후위기 탓만 하는 산림청의 태도는 납득하기 어렵다. 일본, 중국, 북한은 산불이 줄어드는 반면 우리나라는 대형화되고 있다”며 “해마다 산림청 예산은 늘어나는데 왜 산불은 줄어들지 않는지 의문을 가진 환경단체와 연구자들이 시민과 함께 직접 산불의 원인을 규명해서 재발방지를 위한 조사 연구를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는 황정석 산불정책연구소 소장, 기경석 상지대학교 교수, 염정헌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등도 참여했다. 이들은 올해 말까지 현장조사와 자료 분석을 거쳐 내년 2월 최종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연구비는 파타고니아 ‘지구를 위한 1% 프로그램’과 시민 모금으로 마련됐다.

최진우 서울환경연합 전문위원은 “이 연구는 정부가 외면한 진실을 시민사회와 전문가가 함께 밝히는 첫 걸음”이라며 “시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산하 생명다양성재단 대표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연구 결과가 향후 건강한 산림으로의 생태적 전환을 이끄는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