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상주 흥암서원,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 지정 예고

곽인규 기자
등록일 2025-09-12 11:31 게재일 2025-09-13
스크랩버튼
서원 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은 전국 47개 사액서원 중 하나
Second alt text
상주 흥암서원 전경. /상주시 제공

전국 47개 사액서원 중 하나인 상주시 연원동의 흥암서원이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 예고됐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9월 9일자로 이 같은 내용을 고시했으며, 30일간의 예고 기간 동안 전문가 및 국민의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유산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지정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경상북도 기념물인 상주 흥암서원은 조선 후기 남인의 중심지 영남지역에 건립된 대표적인 서인 노론계 서원으로, 동춘당 송준길을 제향하는 서원이다.

상주 출신 우복 정경세의 사위인 송준길이 사후에 흥암서원에 제향될 수 있었던 것은 집권세력인 서인 노론의 후원뿐 아니라 상주와의 연고도 중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조선후기 정치사에서 매우 독특한 사례다.

 

흥암서원은 1702년 창건돼 1705년에 사액을 받았으며, 1762년 현 위치로 이건됐는데, 서원철폐령에도 불구하고 훼철되지 않은 전국 47개 소 사액서원 중 하나다.

서원의 건물 배치와 평면은 기호학파와 영남학파 서원을 절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전면에 강학공간, 그 뒤편으로 제향공간을 배치했으며, 강학공간에는 강당이 전면에, 그 뒤로 동재, 서재가 배치돼 있다.

강당인 진수당은 정면 5칸, 측면 3칸의 큰 규모이며, 영남학파의 형식을 취해 대청 앞면이 개방되고 뒷면은 창호로 구성돼 있다.

또한 흥암서원의 대문인 하반청은 동·서재에 거주하는 원생보다 낮은 계층의 원생이 거처하는 건물로, 다른 서원에서는 찾아보기 드문 사례다.

 

흥암서원의 사당인 흥암사에는 1705년 숙종에게 하사받은 ‘乙酉至月 日 宣額’(을유지월 일 선액)이라고 적힌 흥암사 현판과 1716년 숙종이 친히 쓴 해서체 글씨로서 ‘御筆’(어필)이 적힌 흥암서원 현판이 같이 걸려 있다.

 

강영석 상주시장은 “이번에 국가 사적 승격이 지정 예고된 상주 흥암서원은 지역 대표 문화유산으로서 상주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대변하고 있다”며 “앞으로 정식 지정 이후 체계적인 보존과 활용 방안을 마련해 국가와 함께 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곽인규기자 ikkwack@kbmaeil.com

중서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