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경제

한파·폭설 여파로 일부 채소 가격 급등

지난주 중반부터 전국을 강타한 한파와 폭설 여파로 일부 채소 도매가격이 일시적으로 급등했다.26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집계한 25일 기준 무 상품 20㎏의 평균 도매가격은 1만3천600원으로 7일 전인 19일(9천원)보다 51.1% 올랐다.같은 기간 배추 상품 1㎏은 530원에서 690원으로 30.2%, 양배추 상품 10㎏은 5천100원에서 6천700원으로 31.4% 상승했다.대파와 쪽파는 1㎏ 상품 기준으로 평균 도매가격이 각각 27.1%(2천100원→2천670원), 19.5%(3천900원→4천660원) 올랐다.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한파와 폭설로 산지 수확작업이 원활히 이뤄지지 못하고, 해상·항공 운항 중단 등으로 운송여건이 나빠져 시장 공급 물량이 감소했다.다만 기상 회복과 함께 수확 작업이 정상화하면 가격이 안정세에 접어들 것으로농식품부는 내다봤다.전남 해남과 진도 등에서 주로 생산하는 배추와 대파는 폭설로 수확 작업이 어려워 이번 주까지 출하량은 다소 줄어들 전망이다.무·당근·브로콜리·쪽파 등 대부분 제주 지역에서 공급하는 품목은 해상·항공 운송 재개로 공급 물량을 회복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농식품부는 기온이 회복하고 주요 채소류 출하가 안정을 찾을 때까지 정부 비축물량과 농협 계약 재배물량의 시장 공급을 확대해 가격 안정을 도모할 계획이다./연합뉴스

2016-01-27

농관원, 고품질·안전 농산물생산 지원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경북지원 포항·울릉사무소(소장 박윤권, 이하 농관원)는 지난 1일부터 친환경 저농약 인증이 폐지됨에 따라 유기·무농약 인증의 효율성을 다지고 친환경·GAP인증으로의 전환 유도를 통해 고품질·안전 농산물 생산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24일 밝혔다.친환경 저농약 인증은 친환경농업육성법에 따라 농약 및 화학비료를 기준의 1/2 이하 사용하는 농산물을 인증하는 제도로서 지난 2010년 1월부터 신규인증은 되지 않고 지난해 말까지 유효기간을 연장한 바 있다.농관원은 인증폐지에 대비하고자 지난해 생산·유통과정 조사 등 친환경인증 사후관리를 실시하고 포항·경주지역 인증위반농가에 대한 입건·고발 6건, 인증취소 5건, 민간인증기관 인증위반 통보 4건 등을 통해 인증 내실화를 기했다.또한, 저농약 인증농산물의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친환경·GAP인증으로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유도하고자 맞춤형 교육과 홍보·컨설팅 활동 등을 추진했다.이와 함께 농관원은 개정된 친환경 농·어업법에 따른 인증심사 절차준수, 생산과정조사 및 민간인증기관의 온라인 심사자료 모니터링 등 친환경인증 수준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계획이다.더불어 친환경농산물의 소비촉진을 위한 각종 전시회와 농장방문 체험행사, 소비자 교육 등을 마련할 예정이다./김명득기자mdkim@kbmaeil.com

2016-01-25

올해 설 과일 더 맛있고 더 싸다

올해 설에는 과일을 비교적 저렴하게 먹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14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올해 과일은 지난해 가뭄 등의 여파로 크기는 다소 작지만 당도가 높아 맛은 좋은 편이다. 하지만 소비 침체와 생산량 증가 등으로 도매가격은 평년보다 20~30%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1월 상순 기준 후지 사과 10㎏의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2만3천19원으로 평년(3만3천439원)보다 31.1%, 전년(4만9천554원)보다 53.5% 하락했다. 사과 생산량은 지난해 작황 호조 덕분에 58만3천t으로, 1997년 이후 18년 만에 생산량이 가장 많다. 당도는 평균 14~15 브릭스로 평년보다 1~2브릭스 이상 높다.감귤 10㎏의 1월 상순 평균 도매가격은 평년(1만7천817원)보다 38.3% 낮고 지난해(1만4천289원) 보다 더 떨어진 1만991원이다. 감귤의 경우 수확기인 11월부터 비가 자주 내려 당도가 낮고 껍질이 알맹이와 분리되는 등 품질이 좋지 않았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는 제주도와 함께 품질이 낮은 감귤 12만t을 시장 격리해 소비자에게는 품질 좋은 감귤만 공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부유 단감 10㎏ 도매가격은 평년(2만7천4원)보다 38.1% 낮은 1만6천690원, 신고배 10㎏ 도매가격은 평년(4만3천879원)보다 20.8% 낮은 3만4천730원이다.한편 농식품부는 민족 대명절인 설을 맞아 오는 15일부터 내달 7일까지 우리과실 판촉행사를 펼친다.전국 농협 하나로마트 62개 매장에서 과일세트 8만5천상자를 시중가격보다 20% 이상 싸게 판다. 종류는 사과, 배, 사과·배 혼합, 단감, 감귤 등 5가지다.과일 주산지 농협에서도 자체적으로 판촉행사를 펼치며 공영홈쇼핑을 비롯한 TV홈쇼핑을 통해서도 과일세트 3만개를 10% 할인 판매한다./김혜영기자 hykim@kbmaeil.com

2016-01-15

TV홈쇼핑서 1만원짜리 사면 판매수수료가 무려 3천350원

TV홈쇼핑의 평균 판매수수료율이 33.5%, 백화점은 27.9%인 것으로 나타났다. 1만원짜리 제품을 팔았다면 TV홈쇼핑 회사는 3천350원, 백화점은 2천790원을 수수료로 챙긴다는 뜻이다.백화점업계의 해외명품 유치 경쟁을 벌이면서 명품 판매수수료율은 22.1%로 평균치보다 크게 낮아졌다.공정거래위원회는 올해 TV홈쇼핑 6개사, 백화점 7개사의 판매수수료율과 주요 추가 소요 비용을 조사한 결과를 28일 공개했다.판매수수료율은 최종 제품 판매가에서 백화점, TV홈쇼핑 등 유통업체가 가져가는 비율을 뜻한다.백화점 입점업체나 홈쇼핑 납품업체는 판매수수료율을 고려해 최종 제품 판매가를 정하기 때문에 높은 판매수수료율은 소비자에게 전가될 가능성이 크다.TV홈쇼핑의 평균 판매수수료율은 지난해 34.0%에서 0.5%포인트 감소했다. 2년 연속 감소세다. 홈쇼핑은 총 매출액의 11.5%를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에 송출수수료로 내고 있어 백화점보다 판매수수료율이 높다.현대홈쇼핑(36.7%)의 판매수수료율이 가장 높았고 CJ오쇼핑(35.9%), 롯데(35.4%), GS(33.8%), 홈앤쇼핑(31.1%), NS(30.5%)가 뒤를 이었다.백화점의 평균 판매수수료율도 소폭이긴 하지만 계속해서 떨어지는 추세다. 2011년 29.2%에서 2013년 28.5%, 올해는 27%대가 됐다.업체별로는 롯데가 28.5%로 가장 높고 신세계(28.4%), AK플라자(28.1%), 갤러리아(27.6%) 순서였다. 납품업체별로는 대기업의 평균 판매수수료율이 29.3%로 중소기업(27.7%)보다 높았다. 해외 명품업체는 22.1%의 비교적 낮은 수수료율을 적용받고 있다. 중소기업 판매수수료율이 0.2%포인트 떨어질 때 해외명품 수수료율은 훨씬 큰 폭인 3.1%포인트나 하락했다./연합뉴스

2015-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