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문화

국립경주박물관 ‘통일신라 수구다라니’ 연구 성과 공개

국립경주박물관(관장 함순섭)은 오는 21일 통일신라 다라니 신앙과 수구다라니를 주제로 국립경주박물관 대강당에서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한다.국립경주박물관은 지난해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수구다라니와 다라니를 담았던 금동경합에 대한 조사 연구 결과를 소개한 ‘통일신라 다라니’ 학술조사연구자료집을 발간하고, 특별전 ‘수구다라니, 아주 오래된 비밀의 부적’을 개최했다.이번 학술심포지엄은 학술조사연구자료집에 수록한 기초 조사 과정과 내용 등을 자세하게 소개하고, 분야별 심화 연구로 새롭게 밝혀낸 성과를 살펴보기 위해 마련한 자리다.신라의 다라니 신앙과 사리장엄에 대한 이해를 돕고, 통일신라 수구다라니의 내용 및 특징을 다룬 다채로운 주제 발표와 토론이 있을 예정이다.발표는 △신라의 사리장엄과 다라니(한정호, 동국대학교) △신라의 다라니 신앙과 한자 수구다라니의 의미(옥나영, 홍익대학교) △범자 수구다라니 구조 및 내용 분석(한재희, 동국대학교) △수구즉득다라니의 금강신상, 그리고 금동방형경합(임영애, 동국대학교) △수구다라니의 보존처리와 복원(장연희, 국립중앙박물관) △금동 경합의 제작 방법과 형식(신명희, 국립경주박물관) 여섯 개의 주제로 진행된다.주제 발표에 이어 남동신 교수(서울대학교)의 사회로 여섯 명의 발표자와 토론자인 김연미(이화여자대학교), 김수연(이화여자대학교), 강형철(경희대학교), 박아연(국립경주박물관), 박미선(국립중앙박물관), 채해정(극립경주박물관)이 함께 열띤 종합토론을 펼칠 예정이다.이번 학술심포지엄은 사전 예약 없이 행사 당일 현장 등록으로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발표와 토론 내용이 담긴 자료집이 제공될 예정이다.한편 국립경주박물관은 이번 학술심포지엄 개최를 기념해 지난해 공개된 통일신라 수구다라니와 다라니를 담았던 금동 경합을 18일부터 6월 30일까지 신라미술관 2층 불교사원실에서 특별 공개한다./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24-06-16

서애 류성룡 저술 ‘징비록’ 최초 책판 대량 발굴

조선 중기 문신인 서애 류성룡(1542~1607 )이 임진왜란을 기록한 ‘징비록’의 최초 책판 209장이 발굴됐다.3일 한국국학진흥원에 따르면 ‘징비록’은 조선 건국 후 최대 위기였던 임진왜란 당시 영의정과 도체찰사로 류성룡이 전쟁을 총괄 지휘하며 전란을 치뤄낸 생생한 경험을 정리한 회고록이다.조선시대에 여러 판본으로 간행돼 널리 유통됐다. 조선통신사를 통해 일본으로 전해져 1695년에는 일본판 ‘조선징비록’이 발행되기도 했다.현재 전해지는 판본은 17세기 초반에 간행된 목활자본(8권본)과 1647년 무렵에 간행된 목판본(16권본), 1894년 옥연정사에서 간행한 목판본(16권본) 등이다.목활자본은 고서만 일부 남아 있고, 1894년 간행 목판본은 고서와 책판이 모두 남아 있다. 이번에 발굴한 1647년 무렵 제작한 책판은 그동안 낱장 몇 장만 전해졌을 뿐이다. 이에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한국국학진흥원에서 이 시기에 제작된 책판을 대량 발굴한 것이다.이 책판은 류성룡 외손자인 조수익(1596∼1674)이 경상도관찰사로 재임하고 있을 때 판각 작업을 시작해 제작한 것으로, 문경에서 보관돼 오던 것을 지난달 초 청주정씨 정봉진가(家)에서 기탁한 것이다.간행 관련 기록은 이의현(1669 ~1745)이 지은 ‘운양잡록(雲陽雜錄)’에 수록돼 있다.한국국학진흥원 관계자는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 소장된 1894년 옥연정사 간행 책판(16권본)과 비교한 결과, 두 책판의 권차는 동일하지만 형태가 확연히 다름을 밝혀냈다”며 “17세기 중반 책판의 형태적 특징, 마구리 부분의 판각법 등으로 보아 이번에 발굴한 책판은 1647년 무렵에 새긴 책판으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또 “당대 판본과 비교해보면 책판의 마모와 계선(界線) 및 획의 탈락, 판심 부분의 어미(魚尾) 모양 등이 일치하는 것을 통해 그 근거가 더욱 명확해진다”고 설명했다.정종섭 한국국학진흥원 원장은 “ ‘징비록’은 임진왜란을 다룬 책 가운데 가장 널리 알려진 책이다”며 “이 책이 인기를 끌 수 있었던 것은 국가적 위기가 재발하지 않기를 바라는 목적과 함께, 목판의 제작을 통한 문헌의 보급이 그 바탕에 있다”고 말했다.정 원장은 또 “이번에 발굴한 책판 209장은 ‘징비록’의 출판 인쇄사와 목판 연구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자료임이 분명하다”며 “앞으로도 한국국학진흥원은 기록유산의 가치를 확산하는 데 힘을 쏟을 계획”이라고 덧붙였다./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24-06-03

국가유산청, 국가유산 디지털서비스 원형 기록·3차원 디지털 콘텐츠 제공

국가유산청은 지난 17일 국가유산 체계 전환에 맞춰 그동안 생산·축적해온 국가유산 원형(원천) 디지털 데이터와 콘텐츠 등 약 48만 건을 누구나 자유롭게 접근, 내려받아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유산 디지털 서비스(https://digital.khs.go.kr)’를 통해 전면 무료로 개방한다. 이번에 선보이는 ‘국가유산 디지털 서비스’는 정부기관에서 최초로 기가바이트(Gbyte) 단위의 대용량 디지털 데이터 내려받기 서비스를 공공부문 민간클라우드 플랫폼으로 제공하는 지능정보 서비스로, 향후 국가유산청과 소속기관에서 생산되는 국가유산 데이터와 콘텐츠의 통합·확장이 용이하도록 구축됐다. 또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간편인증 및 반응형 웹적용을 통해 컴퓨터, 모바일, 태블릿 컴퓨터 등 다양한 환경에서 누구나 쉽게 접속할 수 있다.서비스는 국가유산청이 국가유산의 훼손과 멸실에 대비해 추진한 ‘원형기록 DB 구축 사업’의 결과물인 △‘국가유산 3D 정밀데이터’ △게임·영화·엔터테인먼트 등 디지털 콘텐츠 산업분야에 접목해 활용 가능한 ‘국가유산 3D 에셋’ △세계유산과 자연유산, 무형유산 등을 고해상도 영상과 가상현실(VR) 콘텐츠로 제작한‘테마 콘텐츠’등으로 구성돼 있다.‘국가유산 3D 정밀데이터’는 국가유산을 정밀하게 기록한 3차원(3D) 데이터와 도면, 사진, 보고서, 영상 등을 포함하고 있다. 레이저 스캐닝 기술을 적용해 원본 정밀도를 밀리미터(㎜) 수준으로 초정밀하게 취득한 원형데이터는 국가유산 복원과 보존관리는 물론, 3차원 출력(3D프린팅), 디지털 콘텐츠 산업 등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국가유산 3D 에셋’은 천년 고도(古都) 신라의 역사문화환경을 디지털 콘텐츠로 재탄생시킨 ‘신라 왕경’, 조선시대 왕실 소품과 궁궐 건축 양식을 담은 ‘왕실 문화’, 가옥과 소품으로 구성한 ‘조선시대 생활문화’와 자연유산 문화경관, 해양유물, 의복 등의 다양한 주제로 구성되며, 글로벌 플랫폼인 ‘언리얼(Unreal) 마켓플레이스’, ‘유니티(Unity) 에셋스토어’, ‘스케치팹(Sketchfab)’을 통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24-05-19

국내 첫 中 전한시대 ‘청백경’ 경주서 출토

경주에서 기원전 1세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청동거울 조각이 발견됐다. 특히 이 청동거울 조각은 그간 한반도 지역에서 출토된 적 없는 전한(前漢) 대의 것으로 추정돼 학계의 관심을 끌고 있다. 한국문화재재단은 “경북 경주시 서면 사라리 124-2번지 일원에서 널무덤 2기, 덧널무덤 2기를 비롯해 청동기시대와 삼국시대 생활유구 등을 발굴했다”고 8일 밝혔다. 덧널무덤 1호에서는 청동거울편, 칠초철검과 칠기 등 기원전 1세기 당시 권력자의 존재를 입증하는 유물들이 나왔다.이 유물들 중 청동거울은 피장자 가슴 쪽에 조각 1점으로 발견됐다. 재단은 “일부 끝자락에 마모 흔적이 있는 것을 볼 때, 상당기간 소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원래 크기를 추정한 결과 지름 17.5~18㎝로 당시 청동거울 중에서는 큰 편에 속한다”고 설명했다.청동거울에는 “….承之可(승지가)….”라는 명문이 남아 있다. 재단은 “청동거울의 명문을 비교 분석 결과, 일본 규슈 후쿠오카 현 다테이와 유적 10호 독널무덤에서 출토된 중국 전한 청백경(淸白鏡)과 명문, 글자형태, 명문대의 배치 등이 유사한 것으로 추정된다”며 “이를 통해 현재까지 국내에서 알려진 사례가 없는 청백경이 사라리 유적에서 처음 출토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청백경은 중국 진나라에 이어 고조 유방이 세운 두번째 통일왕조인 전한시대(기원전 202~기원후 8년경)를 대표하는 청동거울의 하나다. 일반적으로 청동거울에 ‘청백(淸白)’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어 청백경으로 불린다.이 밖에 성운문경 조각 1점과 칠초철검, 칠목기 등도 출토됐다. 성운문경(星雲文鏡)은 기원전 1세기 경부터 확인되는 청동거울로 외면의 유좌라는 돌기가 특징이다. 별자리와 유사해 성운문경으로 불린다.재단은 “본 조사 대상지에서 확인된 널무덤과 덧널무덤은 주변에 인접한 원삼국시대의 대표적인 수장급 무덤 중 하나인 경주 사라리 130호분보다 최대 100년 전에 조성된 무덤으로 보인다”며 “이번 발굴조사를 통해 경주 북서쪽 일대에 최소 기원전 100년 이전에 정치 세력집단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초기 신라의 정치집단세력 연구에 있어 중요한 학술적 가치를 가진다”고 밝혔다.한편, 해당 지역의 발굴조사는 2023년 12월 6일부터 2024년 2월 27일까지 진행됐다./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24-05-08

‘발굴 전문 인력 양성’ 경주 쪽샘 유적 5차 공동발굴조사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지난 3일부터 발굴조사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해마다 추진하고 있는 동국대 WISE캠퍼스 고고미술사학과와의 5차 공동발굴조사를 시작했다고 7일 밝혔다. 두 기관은 지난 2020년 경주 구황동 지석묘를 시작으로, 2021년부터는 신라 왕족과 귀족의 무덤군인 경주 쪽샘지구 유적을 매년 공동으로 발굴조사하고 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조사를 위한 기술·행정·예산을 지원하고,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의 고고미술사학 전공 학생들이 실습생으로 참여하고 있다.실습생들은 교과수업(야외고고학)과 연계해 발굴조사 현장은 물론, 조사 결과에 따른 보고서 발간 과정까지 직접 참여해 고고학 이론과 실습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을 경험하게 된다.그 결과를 바탕으로 두 기관은 ‘경주 구황동지석묘(2021년)’, ‘경주 쪽샘지구 신라고분유적ⅩⅢ-K 12·13·27 ·87호(2022년)’,‘경주 쪽샘지구 신라고분유적ⅩⅥ-K6·8·16·252·253호(2024년)’등 세 권의 보고서를 발간한 바 있다.올해 공동발굴조사 대상은 경주 쪽샘지구 유적 분포조사를 통해 확인된 신라 돌덧널무덤과 돌방무덤이다. 특히, 지난해에 이어 조사하게 될 돌방무덤은, 2007년부터 조사 중인 쪽샘지구 1300여 기의 무덤 중 최초로 확인된 형식이다. 이번 조사를 통해 무덤의 내부 구조와 봉토 축조 방법을 살펴, 6세기 이후 신라 지배층의 무덤 형태가 돌방무덤으로 변화하는 모습 등을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이번 공동조사는 국가 연구기관과 대학 간 상호협력과 공동 책임 아래, 전공 학생들에게 연구와 교육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새로운 형태의 교육 모델이자, 지역 대학을 활성화할 방안의 하나로 의미가 있다.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측은 “앞으로도 정부혁신과 적극행정의 하나로 대학 기관과의 공동발굴조사를 꾸준히 진행하여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중요 유적과 유물을 체계적으로 조사·연구하여 학문적 성과를 축적하기 위해 힘써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24-05-07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 천연기념물로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가 국가지정문화유산 천연기념물로 지정됐다. 28일 포항시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이날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浦項 金光洞層 新生代 化石産地)’를 천연기념물로 지정 고시했다.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는 국내 대표적 신생대 식물 화석산지다.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는 메타세쿼이아, 너도밤나무, 참나무, 자작나무 등과 각종 미기록 종을 포함해 식물화석이 60여 종이 넘게 나온 곳이다. 또한 우리나라 내륙에서 발견되지 않는 식물화석도 발견된 바 있어 한반도 신생대 전기의 지형과 기후환경, 식생 변화 등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자료다.포항시 남구 동해면 금광리 일원에 위치한 금광동층은 약 2천만 년 전, 동해가 확장되는 과정에서 형성된 곳으로 다양한 종의 식물화석이 층층이 밀집돼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화산활동이 상대적으로 약해진 시기에 다소 습윤한 기후조건에서 나뭇잎 등과 같은 부유 퇴적물이 지속적으로 공급돼 퇴적됐음을 알려주고 있다.포항시 관계자는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의 지정 가치를 널리 알리기 위해 문화재청과 협의해 중장기 보존관리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라며 “전시·탐방시설 조성과 화석 표본 수장 시설 구축 등 ‘녹지 공원화’와 ‘교육 시설화’에 필요한 방안을 구상해 계획에 반영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수 정비사업을 추진할 방침”이라고 전했다.한편, 지정일인 28일에 맞춰 문화재청은 포항 금광동층 신생대 화석산지에 숨겨진 이야기들을 소개하기 위해 한국문화재재단과 함께 운영하는 ‘문화유산채널’(https://youtu.be/kJgyZ724jA0)을 통해 ‘포항이 품은 2천만 년 전 보물?!’ 영상을 제작해 공개한다. 영상은 신규 지정 자연유산과 포항 구룡포 규화목 발굴 현장, 천연기념물센터에 보관 중인 나무화석 등 포항의 신생대 식물화석에 대한 수수께끼(미스터리)를 풀어보는 형식으로 구성된다./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23-12-28

‘일제 밀반출’ 김극일 지석, 고향 품으로

일제 강점기 때 일본에 밀반출됐다가 환수된 조선 중기 학자의 지석(誌石)이 한국국학진흥원 품에 안겼다.한국국학진흥원은 “전윤수 중국미술연구소 대표가 일본에서 환수한 약봉(藥峰) 김극일(1522~1585)의 지석 5점을 지난달 한국국학진흥원에 기증했다”고 밝혔다.이로써 한국국학진흥원은 총 28종 130여 점의 묘지석을 보유하게 됐다.앞서 지난해는 국외소재문화재재단과 ㈔한국국외문화재연구원이 해외에 있던 묘지석을 공동 환수해 한국국학진흥원에 기탁했다.전윤수 대표는 지석의 주인공 김극일이 안동 출신이라는 점을 고려해 대가 없이 한국국학진흥원에 기증 의사를 전달했다.지석은 ‘사람의 인적사항이나 무덤의 소재를 기록해 묻은 도판이나 판석’을 의미한다. 본관과 이름, 조상의 계보, 생일과 사망일, 평생 행적, 가족관계 등을 적어 무덤 앞이나 옆에 묻는다. 김극일의 지석은 그의 사망 후 143년 뒤인 1728년(영조 4) 밀암 이재(1657~1730)가 쓴 것이다. 이 지석은 일제강점기 때 도굴돼 일본으로 건너간 것으로 보인다. 총 5점(9면 기록)으로 이뤄져 있으며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김극일은 안동 명문가의 자손으로 청계 김진(1500~1580)의 맏아들이다. 1546년(명종 1)에 문과에 급제해 형조 좌랑, 경상도 도사, 평해 군수, 예천 군수, 성주 목사, 사헌부 장령 등을 지냈다.전윤수 대표는 “최근 환수되거나 발견된 지석의 경우 한 벌을 이루는 게 드물다. 일본 어느 고미술 상점에 약봉의 지석이 있다는 소문을 듣고 직접 가서 구입했다. 이번 기증은 조상 무덤에서 파헤쳐 간 지석을 돌려주는 것일 뿐”이라고 말했다.정종섭 한국국학진흥원장은 “중요한 해외환수 문화재를 아무 대가 없이 기증해 준 전윤수 대표에게 깊이 감사드린다. 본원은 현재 청계 김진 종가의 국학자료 3천여 점을 기탁 보관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청계 선생의 맏아들 약봉 선생의 지석이 본원에 기탁된 것은 의미가 매우 크다”라고 밝혔다./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23-11-21

달성 용연사 자운문, 국가지정문화재 됐다

사전 예고됐던 ‘달성 용연사 자운문’사진이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 지정됐다.1일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에 따르면 2일자로 달성군 옥포읍 반송리 소재 ‘달성 용연사 자운문’을 국가지정문화재인 보물로 지정·고시한다.보물로 지정된 용연사 자운문은 정면 1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우진각 지붕틀을 구성한 뒤 위에 맞배형의 덧지붕을 씌워서 건축했다. 정면 평방에 5개 공포, 전체 14개 공포의 다포계 공포 구조로 서까래와 부연의 겹처마 형식이다. 기둥형태는 주기둥을 주선으로 보강한 후 또 하나의 부재를 주선면에 덧붙였는데, 이 부재의 형태가 상부에서 중간까지는 주선과 나란하고 하부에서 벌어지는 사재(斜材, 비스듬한 부재) 형태로 독특하며 다른 일주문 건축에서는 보기 힘들다.정면에 ‘비슬산용연사자운문(琵瑟山龍淵寺慈雲門)’이란 편액을 걸어 놓았으며, 글씨는 회산 박기돈(晦山 朴基敦, 1873~1948)의 작품이다. 일제강점기인 1920년경 사진자료에 ‘자운문’으로 편액 돼있는데, 그 형태가 현재까지 크게 변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용연사 자운문은 상부구조는 화려하면서도 하부구조는 굵은 기둥과 함께 보조부재를 적극 활용해 구조적으로도 매우 안정적인 건물로 예술적 가치가 있다.특히 다른 일주문의 경우는 발견된 창건 기문이나 상량문이 거의 없는 편이나 용연사 자운문의 경우 1695년(숙종 21년)에 창건된 것으로 상량문과 중수기 등 모든 기록들이 비교적 자세하고 정확하게 남아있다.군에서 동산문화재가 아닌 건조물이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것은 2019년 이후 4년 만의 일이다. 이번 지정으로 달성군은 총 15건의 국가지정문화재를 보유하게 됐다. /김재욱기자

2023-11-01

신라시대 금제 허리띠 2점 ‘보물’ 된다

신라시대 고분문화를 보여주는 주요 유물인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와 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가 보물로 지정예고 됐다.문화재청은 “신라시대 문화를 보여주는 주요 유물인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와 ‘경주 서봉총 출토 금제 허리띠’ 등의 문화유산을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계획”이라고 31일 밝혔다.보물로 지정 예고된 ‘경주 금령총 출토 금제 허리띠’는 일제강점기인 1924년 조선총독부 박물관이 발굴한 금 허리띠로, 금령총에서 나온 주요 유물 중 하나다. 이 허리띠는 꾸밈 장식의 크기가 작은 편인데, 다른 신라 무덤에서 나온 드리개 장식보다 길이가 짧아 무덤 주인을 미성년으로 추정할 수 있다.또 다른 고분인 서봉총에서 1926년 발굴한 금 허리띠는 화려한 장식이 돋보이는 유물이다. 이 허리띠의 띠꾸미개는 금관총 출토 금제 허리띠(1962년 국보 지정)의 띠꾸미개와 더불어 가장 화려한 장식성을 보여준다고 평가받는다.문화재청 관계자는 “이 유물은 드리개 장식 대부분이 금제로 이루어져 있고, 신라 고분에서 출토된 금제 허리띠 중 드리개 길이가 가장 길어 예술적 가치가 크다”고 설명했다. 이 유물은 신라의 금제 허리띠 제작 기술의 흐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안동 선찰사의 목조석가여래좌상과 복장 유물도 보물 지정 예고에 포함됐다. 조성 발원문에 따르면 선찰사 불상은 광해군의 정비인 장열왕비(1576∼1623)가 왕실의 비빈(妃嬪)이 출가하던 자수사·인수사에 봉안하기 위해 만든 불상 중 하나로 추정된다.문화재청은 보물로 지정 예고한 각 문화유산에 대해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정 여부를 확정할 예정이다./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23-10-31

"'훈민정음 상주본' 반환하라"…문화재청, 소장자에 공문 발송

문화재청이 국가 소유권을 인정받은 국보급 문화유산인 ‘훈민정음 해례본 상주본’을 반환해달라고 소장자에게 거듭 요청했다.25일 학계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최근 상주본을 소장한 것으로 알려진 배익기 씨에게 상주본을 조속히 반환해달라고 촉구하는 내용의 공문을 발송했다.문화재청은 해당 문서에서 ‘상주본의 소유권은 국가에 있으며, 올해 12월 20일까지 자진해서 반환하거나 반환 의사를 밝히라고 요구한다’고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문화재청이 배 씨에게 반환 요청 문서를 보낸 것은 이번이 18번째다.앞서 문화재청은 2017년부터 반환 요청 문서를 보내고 배 씨와 여러 차례 면담하면서 상주본을 회수하고자 했다.올해 들어서는 반환 요청 문서를 처음 발송했다.문화재청 관계자는 “상주본의 소유권이 국가에 있다는 점은 명확하다”며 “법과 원칙에 따라 상주본을 환수하기 위해서 계속해서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문화재청은 배 씨의 자진 반환을 촉구하는 한편, 회수 방안을 다각도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상주본은 경북 상주에 거주하는 배 씨가 2008년 서울 간송미술관이 소장한 국보훈민정음 해례본과 다른 해례본을 찾아냈다며 일부를 공개해 그 존재가 알려졌다.해례본은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와 관련 해설, 용례를 담고 있어 가치가 매우 높다.간송미술관이 소장한 해례본의 경우, 간송 전형필(1906∼1962)이 1940년 안동 진성이씨 가문으로부터 당시 돈으로 기와집 10채 값을 주고 샀다는 일화가 잘 알려져 있다.상주본은 서문 4장 등 일부가 빠져 있으나, 전반적인 상태는 나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그러나 배 씨가 소장처를 밝히지 않으면서 10년 넘게 행방이 묘연한 상태다.배 씨는 2012년 사망한 골동품 업자 조용훈 씨의 가게에서 고서적을 구매한 것으로 알려졌는데, 송사 끝에 소유권을 확보한 조씨가 사망하기 전 문화재청에 기증했다.우여곡절 끝에 대법원은 상주본의 국가 소유권을 인정했으나, 유물 반환과 금전적 보상 요구 논란 등이 얽히면서 뚜렷한 해결책 없이 여전히 공전 중이다.문화재청은 그간 유물 훼손을 우려해 강제적인 절차보다는 배 씨와 수십 차례 만나며 회수책을 모색해왔으나, 지난해 배 씨의 상주 자택과 사무실 등을 수색하기도 했다.현재 문화재청은 누리집의 ‘도난 문화재 정보’를 통해 상주본이 2012년 5월부로국가 소유가 됐다는 사실을 명시하며 도난 문화재로 분류하고 있다./연합뉴스

2023-08-25

'삼국유사' 기록으로 전하던 경주 미탄사 규모·사찰 구역 확인

그간 역사 기록으로 존재하던 경주 미탄사(味呑寺)의 규모와 건물 배치 방식 등이 발굴 조사를 통해 확인됐다.문화재청은 ”2018년부터 보물 ‘경주 미탄사지 삼층석탑’ 주변을 발굴 조사한 결과, 사찰이 차지하는 구역과 (건물) 배치를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미탄사는 고려 후기까지 유지된 것으로 추정되는 절이다.고려 시대 승려인 일연(1206∼1289)이 1281년 편찬한 ‘삼국유사’에는 ‘지금 황룡사 남쪽에 있는 미탄사’라는 기록이 있어 문헌으로 그 존재가 알려진 바 있다.2013년 발굴 조사에서 ‘미탄’(味呑)이라는 글자가 있는 기와가 나와 실체가 확인됐고 절의 본당인 금당(金堂), 강당, 남문 터 등이 드러났다.그간의 조사 결과, 미탄사는 8세기 후반부터 13세기까지 운영된 것으로 추정된다.당시 신라 왕경(王京·수도를 뜻함)이나 지방 거점 지역에서는 원활한 통치를 위해 각 지역을 일정한 영역으로 나누는 방리제(坊里制)를 적용했는데, 미탄사는 방내 도로로 구획된 곳에 있었다.절의 규모는 세로 약 160m, 가로 약 75m, 면적으로 따지면 1만2천000㎡에 달한 것으로 조사됐다.발굴 조사를 맡은 불교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미탄사는 경주 월성과 황룡사지 사이에 있었으며, 방리제 기준으로 보면 한 방의 절반 정도 규모였을 것“이라고 설명했다.과거 미탄사 안에는 삼층석탑을 비롯해 여러 동의 건물과 연못이 있었으리라 추정된다.사찰은 삼층석탑과 금당으로 구성된 예불 공간, 승려들이 거주하는 승방과 부속건물 등으로 이뤄진 생활 공간, 정원 안에 있는 연못(園池·원지) 일원의 후원 등으로 나뉘었던 것으로 확인됐다.미탄사는 사찰 내 건물 배치, 건립 목적 등에서도 연구할 만한 가치가 크다.미탄사는 문으로 추정되는 터와 탑, 금당이 남북으로 배치돼 있다.그러나 금당은 탑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한 축선을 벗어나 있어 신라 왕경 내에 있었던 사찰의 전형적인 구조와는 다소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파악됐다.불교문화재연구소 관계자는 ”미탄사가 있었던 위치로 보면 당시 귀족이나 상류층 등이 있었던 지역“이라며 ”귀족층이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해 건립한 원찰(願刹)로 추정된다“고 말했다.이런 점은 통일신라시대 왕경의 사찰 구조와 형태를 연구하는 데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최근 조사에서 처음 확인된 원지는 약 900㎡ 규모로 조성됐으리라 추정된다.연못의 일부는 직선 형태지만, 서쪽과 남쪽 벽은 자연 지형을 이용해 조화를 이룬 것으로 파악됐다.문화재청은 이번 조사를 통해 삼층석탑의 건립 시기도 구체적으로 확인했다.문화재청 관계자는 ”기존에는 나말여초(신라 말기∼고려 초기) 시기의 석탑으로여겨졌으나, 아랫부분을 조사한 결과 8세기 후반에 건립됐음을 새롭게 확인했다“고 설명했다.문화재청과 경주시는 30일 오후 2시 발굴 조사 현장에서 설명회를 열 예정이다./연합뉴스

2023-06-29

푸른 바다와 어우러진 '포항 오도리 주상절리' 천연기념물 된다

푸른 바다와 어우러져 절경을 이루는 포항시 북구 흥해읍 오도리 해안 주상절리가 국가지정문화재가 된다.문화재청은 포항 오도리 주상절리를 국가지정문화재 천연기념물로 지정한다고 7일 예고했다.주상절리는 화산 활동 중 지하에 남아있는 마그마가 식는 과정에서 수축하고 갈라져 만들어진 화산암 기둥이 무리 지어 있는 것을 뜻한다.국내에서는 제주 중문·대포 해안 주상절리대, 경주 양남 주상절리군, 포항 달전리 주상절리, 무등산 주상절리대 등 4곳이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있다. 포항 오도리 주상절리는 국내에서는 잘 알려지지 않은 형태라 주목할 만하다.섬 전체로 보면 육각 혹은 오각형 형태의 수직 주상절리와 수평 주상절리 등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주상절리 기둥이 빼곡히 들어서 있다.마치 3∼4개의 섬으로 나뉘어져 있는 듯 하나, 주상절리의 방향과 모양이 서로 연결돼 연속적으로 분포하며 내부에 단절된 면이 없다.문화재청은 “한 덩어리의 주상절리인 것으로 추정된다”며 “방파제에서 100여m 떨어진 곳에서 검은빛을 띠는 섬이라 주변 푸른 바다와 어우러져 아름답다”고 설명했다.포항 오도리 주상절리는 포항·경주·울산 지역의 주상절리와 같이 신생대 제3기 화산암인 것으로 추정된다.문화재청 관계자는 “2천300만 년 전부터 한반도에 붙어 있던 일본 열도가 떨어져 나가고 동해가 열리는 과정에서 다양한 화산 활동에 의해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포항 오도리 주상절리는 지질학적 가치가 높고, 해안 지형의 진화 과정을 볼 수있다는 점에서 교육 자료로서도 의미가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문화재청은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의 심의·검토를 거쳐 천연기념물 지정 여부를 확정한다./윤희정기자

2023-06-07

가야 고분군 7곳, 세계유산 등재 확실시…9월 사우디서 확정

한반도 남부에 남아있는 가야 유적 7곳을 묶은 ‘가야고분군’(Gaya Tumuli)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될 전망이다.11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심사·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이코모스)는 한국이 세계유산으로 신청한 가야고분군을 평가한 뒤 ‘등재 권고’ 판단을 내렸다.이코모스는 각국이 신청한 유산을 조사한 뒤 등재, 보류, 반려, 등재 불가 등 4가지 권고안 중 하나를 선택해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와 당사국에 전달한다.등재 권고를 받은 유산은 이변이 없는 한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된다.가야는 기원 전후부터 562년까지 주로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번성했던 작은 나라들의 총칭이다.경남 김해에 있었던 금관가야를 비롯해 경북 고령 대가야, 함안아라가야 등이 잘 알려져 있다.이번에 등재 권고 판정을 받은 가야고분군은 1∼6세기 중엽에 걸쳐 영남과 호남지역에 존재했던 고분군 7곳을 하나로 묶은 연속유산이다.경북 고령 지산동 고분군, 경남 김해 대성동 고분군, 함안 말이산 고분군, 창녕교동과 송현동 고분군, 고성 송학동 고분군, 합천 옥전 고분군, 전북 남원 유곡리와두락리 고분군으로 구성된다.행정구역으로 따지면 경남 5곳, 경북 1곳, 전북 1곳이다.이들 고분군은 모두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으로 지정돼 있다.고분군은 가야 문화의 성립과 발전, 정체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는다.가야고분군 유적은 ‘연맹’이라는 독특한 정치 체계를 유지하면서도 주변의 중앙집권적 고대국가와 병존했던 가야 문명을 실증하는 증거로 여겨진다.대등한 수준의 최상위 지배층 고분군이 독립된 분지에 각각 분포한 점은 주목할만하다.고분군은 구릉지에 조성됐는데 구조나 규모, 부장된 토기 구성 등을 통해 가야 연맹의 결속과 지리적 범위를 엿볼 수 있다.정치체별로 지역성을 띠는 장례 관습이나 제도, 토기 양식도 남아 있다.출토된 유물을 보면 지방 세력을 자신의 세력권에 편입하면서도 수장의 위신을 세워주고자 하사하는 귀한 물품인 ‘위세품’(威勢品) 수준이 대등한 점도 눈에 띈다.각 정치체가 자율성을 가진 수평적 관계였음을 보여준다는 게 학계 통설이다.이런 점에서 가야고분군은 세계유산 등재 기준 가운데 하나인 ‘현존하거나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유일한 또는 적어도 독보적인 증거’를 충족할 것으로 기대됐다.문화재청은 ”이코모스는 가야고분군이 주변국과 공존하면서 자율적이고 수평적인 독특한 체계를 유지해 온 ‘가야’를 잘 보여주며 동아시아 고대 문명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증거라는 점에서 기준을 충족한다고 평가했다“고 전했다.가야고분군은 올해 9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리는 제45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등재 여부가 최종 결정된다.회의는 9월 10일(현지시간) 개막하며 25일까지 약 2주간 열릴 전망이다.가야고분군이 세계유산 등재에 성공하면 우리나라는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이상 1995년), 창덕궁, 수원 화성(이상 1997년) 이후 지금까지 총 16건의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된다./전병휴기자

2023-05-11

포항 법광사지 삼층석탑, 道 지정문화재에

포항시 북구 신광면 상읍리 874-3에 있는 포항 법광사지 삼층석탑이 경북도 지정문화재로 지정 고시됐다. 이번 지정으로 포항시의 지정문화재는 57점으로 늘었다.13일 포항시에 따르면 법광사지 삼층턱탑은 기단부·탑신부·상륜부로 구성된 전형적인 통일신라 후기의 석탑이다. 이중 기단에 삼층 탑신을 올린 양식으로, 탑신 맨 아래층의 받침이 굽형 괴임 형식으로 변화했다는 점에서 통일신라 석탑 양식이 발달하는 흐름을 보여준다.또한, 조탑경이 확인된 석탑 중에서 유일하게 불정존승다라니경(佛頂尊勝陀羅尼經)을 조탑경으로 삼은 석탑이라는 점, 건립연도(828, 흥덕왕 3년) 및 이건연도(846, 문성왕 8년)와 같이 명확한 연대가 표기된 석탑기의 내용을 통해 9세기 석탑의 편년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 경상북도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로 지정됐다.이번에 지정고시된 문화재가 위치한 ‘법광사지’는 통일신라시대 건립된 왕실원찰로 알려져 있으며, 2010년부터 현재까지 절터의 규모와 건축양식 등을 확인하기 위한 발굴조사를 진행해 왔다. 지금까지 확인된 발굴조사 결과는 4m 규모의 대형 석불, 녹유전이 깔린 금당지 바닥과 금당지 주변의 회랑지 등을 확인해 기대를 모으고 있다.포항시는 지금까지의 법광사지의 조사성과를 정리한 종합 학술대회를 올 하반기에 개최, 국내·외 저명한 문화재 전문가를 통해 앞으로의 문화재 정비에 필요한 의견을 수렴해 방향을 모색하는 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다.신대섭 포항시 문화예술과장은 “법광사지 삼층석탑은 정확한 건립·이건 연도를 확인할 수 있는 석탑기와 보존 상태가 양호한 사리호 등 내부 출토 유물들로 미뤄 국가지정문화재(보물)로서의 가치도 충분하다고 사료돼 학술대회 등 관계 전문가의 다양한 의견 수렴 및 추가 조사를 통해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승격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23-02-13

‘3㎝ 금박’에 ‘0.04㎜ 붓질’ 신의 솜씨로 그린 꽃과 새

종이처럼 얇게 편 손가락 두 마디 크기 금박에 머리카락 굵기의 절반 정도 되는 매우 가느다란 선을 무수히 그어 새 한 쌍과 만개한 꽃들을 표현한 정교하고 섬세한 신라 유물이 공개됐다.육안으로는 거의 식별이 불가능해 현미경을 이용해야만 문양을 살필 수 있는 이유물은 현대 장인도 쉽게 제작할 수 없는 불가사의한 작품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문양에는 서역과 교류 흔적이 있어 금속공예는 물론 회화사와 문화사 측면에서도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16일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언론 공개회를 열어 2016년 11월 경주 동궁과 월지에서 발견한 8세기 신라 ‘화조도’(花鳥圖) 금박 유물을 선보였다.실제로 금박 유물을 살펴보니 문양은 거의 보이지 않았다. 100원짜리 동전 크기와 비슷한 유물에는 생채기 같은 선들만 언뜻 비쳤다.문양은 10∼50배로 확대할 수있는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비로소 또렷하게 드러났다.2점으로 구성된 유물 출토 지점은 동궁과 월지 ‘나’지구 북편이다. 한 점은 건물터와 담장터 사이에서 모습을 드러냈고, 다른 한 점은 회랑 건물터에서 확인됐다.두 지점 사이 거리는 약 20m이며, 유물들은 발견 당시 원래 형체를 알기 어려울 정도로 구겨진 상태였다.어창선 국립경주박물관 학예연구관은 “처음 수습했을 때는 팥알처럼 작고 진흙이 묻어 있어서 문양을 인지하지 못했다”며 “보존처리를 통해 두 유물이 하나의 개체라는 사실을 알아냈고, 다양한 연구 작업을 거쳐 성과를 발표하게 됐다”고 말했다.금박 유물은 가로 3.6㎝, 세로 1.17㎝, 두께 0.04㎜다. 순도 99.99%의 순금 0.3g이 사용됐다. 그림을 그린 선 두께는 머리카락 굵기인 0.08㎜보다 얇은 0.05㎜ 이하로 조사됐다. 이보다 미세한 그림이 있는 유물은 국내에 없다고 조사단은 강조했다.사다리꼴 단면에 좌우 대칭으로 새 두 마리를 배치했고, 중앙부와 새 주변에는 단화(團華) 문양을 철필(鐵筆·끝부분이 철로 된 펜) 같은 도구로 빼곡하게 새겼다.단화는 꽃을 위에서 본 듯한 문양으로, 상상의 꽃이다.조사단은 “새 문양은 멧비둘기로 짐작된다”며 “단화는 경주 구황동 원지의 금동제 경통장식, 황룡사 서편 절터에서 출토된 금동제 봉황장식 등에도 있는 통일신라시대 장식 문양”이라고 짚었다.조각 기법과 문양을 바탕으로 유물을 ‘선각단화쌍조문금박’(線刻團華雙鳥文金箔)으로 명명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문양에서 서역 문화가 신라화한 양상이 확인된다고 설명했다.신라 금박 유물은 17일부터 10월 31일까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천존고에서 열리는 ‘3㎝에 담긴 금빛 화조도’ 전시를 통해 볼 수 있다. 연구소 누리집에 접속하면 온라인으로도 유물을 감상할 수 있다.경주/황성호기자 hsh@kbmaeil.com

2022-06-16

“전문 해설과 함께 전시품 관람하세요”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최선주)은 22일부터 12월 28일까지(7, 8월 제외) 매월 마지막 주 수요일 오후 5시에 ‘문화재 돋보기’를 진행한다.이 프로그램은 박물관을 찾은 관람객들에게 전시품과 관련한 다양한 주제로 큐레이터가 직접 해설하는 프로그램이다. ‘문화가 있는 날’ 박물관 야간 개장(오후 9시까지)에 맞춰 운영되며, 전시 담당자의 전문적인 해설과 함께 자유로운 질의응답 시간을 마련한다.23일 특별전시 연계 ‘고대 한국의 외래계 문물’을 시작으로 올해 새로운 특별전 ‘낭산’, ‘금령총’과 관련한 해설도 진행되며, 12월 28일 마지막 일정에서는 특별전과 관련한 보존처리도 다룰 예정이다. 또한 수장고형 전시공간인 ‘신라천년보고’와 전시품과 관련한 주요 유적지인 ‘금관총’, ‘사천왕사’를 살펴보고, ‘벼루’나 ‘치미’ 전시품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등 다채로운 주제로 진행될 계획이다.국립경주박물관은 코로나19와 관련한 방역수칙을 준수해 관람객들이 안전하게 참여하도록 운영하며, 관람객이 붐비는 여름 휴가철인 7, 8월에는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고자 운영을 쉬고 9월에 재개해 12월까지 진행한다.프로그램에 관심 있는 지역민은 사전 신청 없이 당일 프로그램 시작 시간 오후 5시에 맞춰 해당 전시관 입구에 가면 참여할 수 있다. /윤희정기자

2022-02-21

‘포항 신생대 화석층’ 보호책 마련을

포항시 남구 동해면 금광리 일대에 신생대 나무화석인 규화목(硅化木)이 별도의 보호 대책 없이 방치되고 있어 관계 기관의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신생대 화석인 규화목이 발견된 금광리 일대는 지질학자들로부터 약 6∼7천만 년 전 신생대 제3기층이라는 화석층으로 인정된 특별한 곳이다. 하지만 관계 기관인 포항시는 별도의 발굴조사는커녕 보호 틀과 안내 간판 설치 등 보호조치조차 하지 않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규화목은 지하에 매몰된 나무의 세포 조직 안에 광물질이 스며들어 화석화가 진행된 나무화석을 말한다. 나무의 형태를 그대로 보존한 상태로 미세한 구조까지 관찰할 수 있어 고식물, 고기후, 지질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수억 년 전부터 빗방울과 햇볕, 염분, 용암, 지각변동 등으로 만들어진 지형·지질문화유산으로서 석탑 등 조형 문화유산처럼 하루아침에 모형을 만들 수 있는 문화재가 아닌 살아있는 진귀한 ‘생명 문화재’다.금광리 규화목은 지난 2007∼2009년 31번 국도 대체순환도로공사 당시 처음 발견돼 2m 이상의 큰 규화목 등 몇 점은 문화재청 천연기념물센터에 전달돼 보관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하지만 그 이후 금광리 일대와 인근 도구리 등지에서 발견되고 있는 규화목들은 주민들이 집에 가져가 보관하고 있거나 밭에 표지석 등으로 이용하고 있어 훼손 우려마저 있다.황인 향토사학자는 “신생대 제3기에 발견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금광리 규화목은 세계적 지질학자들이 인정한 귀중한 화석들로서 고지리학 및 퇴적 당시의 환경 지질시대 화석의 분류 연구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며 “금광리 일대에 지질조사 등을 통해 규화목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해 발굴 및 보존대책이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하다면 보존방안 및 범위설정 등을 신속히 강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집에 규화목 4점을 보관하고 있다는 김후진 씨(61·포항시 남구 동해면)는 “무엇보다 포항에서 중생대 나무화석이 발견된 것이고 지질학자들도 이미 학술적, 역사적, 문화재적으로 가치가 높은 것이라고 확인한 것인데도 불구하고 관계 기관인 시가 전혀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포항시 문화예술과 김규빈 학예연구사는 “금광리에 규화목이 있다는 말을 향토사학자나 주민들을 통해 들은 바는 없다. 여러기관에서 지표조사를 해서 화석 산출지로 확인된 구역중 공개 가능한 지역은 북구 두호동 12번지 일원과 여남동 산 47-1번지 두 곳”이라고 말했다.한편, 규화목은 세계 여러 곳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미국 애리조나주에 위치한 페트러파이드포리스트 국립공원(Petrified Forest National Park)이 세계에서 가장 규모가 큰 규화목 밀집지로 유명하다. 또한 미국의 옐로스톤 국립공원에서도 5천만 년 전 화산 분출에 의해 생성된 규화목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포항의 신생대 제3기 장기층군의 응회암층에서 규화목이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울산 간월산에서도 보존 가치가 높은 중생대 규화목 2점이 발견되기도 했다. /윤희정기자 hjyun@kbmaeil.com

2022-02-07

“신라시대 난간 계단석 금동판 장식했다”

‘황금의 나라’신라에는 계단 양옆에 설치한 난간 받침돌까지 금동판으로 감싼 화려한 건축물이 있었을까.경주읍성 동쪽에 무더기로 놓여 있는 용도 불명의 석재 가운데 통일신라시대에 금동판으로 장식했던 계단 난간 받침돌의 일부로 추정되는 석조유물이 다량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고학을 전공한 박홍국 위덕대학교 교수는 경주읍성 동문터 인근 ‘석물마당’의 석재들을 분석해 7세기 말에서 8세기 사이에 제작한 것으로 보이는 신라 난간 계단석 파편 55점을 최초로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석물마당은 1985년 이후 진행된 경주읍성 발굴조사에서 나온 석재를 모아둔 곳이다.박 교수는 신라사학회가 펴내는 학술지 ‘신라사학보’제53호에 실은 신라 난간 받침돌 분석 논문에서 석재 하나하나를 촬영한 사진을 수록하고, 유물을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그는 석재 55점이 동일한 성격의 계단 난간 받침돌이라는 근거로 크기와 조각 양식을 들었다.난간 받침돌은 모두 하늘을 향한 면의 폭이 21㎝ 안팎이며, 측면 높이는 33∼33.5㎝이다. 측면에는 어김없이 위쪽과 아래쪽에 볼록하게 솟은 기다란 띠 모양 장식이 있다. 띠 장식의 폭은 위쪽이 대략 7㎝이고, 아래쪽은 9㎝ 내외다.상하 띠 장식 사이 가운데 부분은 옴폭 들어갔는데, 대개는 끝에 평행사변형 모양의 또 다른 장식이 있다. 높이는 띠 장식이 1.5∼2㎝, 평행사변형 장식은 0.5∼0.6㎝이다. 평행사변형 장식은 미술사 용어로 ‘우주’ 혹은 ‘탱주’라고 한다.다만 난간 받침돌은 전부 형태가 온전하지 않아서 길이가 제각각이다. 그중 30∼39㎝인 석재가 20점으로 가장 많다. 가장 짧은 유물은 약 22㎝이고, 긴 유물은 81㎝ 정도이다. 전체 길이를 합하면 대략 24m이다. 난간이 계단 양쪽에 있었다면 한쪽 길이는 12m가 되는 셈이다.그렇다면 난간 받침돌에 금동판을 붙였다는 근거는 무엇일까.박 교수는 네 가지 유형의 받침돌 중 두 가지에 해당하는 27점에서 구멍이 뚜렷하게 확인됐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구멍은 금동판을 부착한 뒤 고정하기 위해 못을 박은 흔적이라는 것이다.그가 ‘A유형’으로 분류한 14점은 위아래 띠 장식에 지름 0.8∼1.8㎝인 구멍 5∼7개가 있고, 평행사변형 장식 옆쪽 면에 반원형 홈이 길게 있다.두 번째 종류인 ‘B유형’ 13점은 아래쪽 일부가 삼각형 모양으로 돌출했으며, 윗면에 지름이 약 0.7㎝인 구멍 1∼4개가 있다.박홍국 교수는 국립중앙박물관 정원에 있는 갈항사지 삼층석탑과 국립경주박물관에서 볼 수 있는 고선사지 삼층석탑에 간격이 일정한 구멍들이 있으며, 이 구멍이 금동 장식을 달았던 자국이라고 설명했다.석재들을 직접 살펴본 박방룡 신라문화유산연구원장은 “석재들이 금동판으로 장식한 신라 난간 받침돌이라는 견해에 동의한다”며 “신라 건축물과 석조 문화재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경주/황성호기자

2022-01-06

“국립경주박물관서 신라의 사찰과 탑 만나요”

국립경주박물관(관장 최선주)은 24일 신라미술관 불교사원실을 신설하고, 황룡사와 분황사, 감은사, 사천왕사 등 신라시대 대표 사찰의 출토품 530여 점을 상설 전시한다.신라미술관 2층에 있던 기존 황룡사실을 공간과 내용 면에서 크게 확장한 불교사원실은 신라의 최초 사찰인 흥륜사부터 9~10세기 사리기까지 아우르는 신라의 찬란했던 불교문화의 풍성한 이야기를 담았다. 불교사원실은 신라 왕경과 지방의 주요 사찰 유적에서 발견된 사리장엄구, 탑 장식, 불상, 기와 등을 활용해 신라 사찰의 역사 전반을 조망할 수 있게 구성했다. 황룡사 구층목탑과 분황사 모전석탑에서 발견된 다종다양한 사리기와 공양품은 불교 공인 이후 사찰에 투입된 왕실의 막대한 정치적, 경제적 지원을 엿볼 수 있다. 황룡사의 사리기 외함 표면에 새겨진 ‘찰주본기(刹柱本記)’는 7세기의 탑 건립과 9세기 중수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담고 있어 탑을 둘러싼 다양한 역사적 상황을 전하는 귀중한 자료다. 통일 직후의 대표 사찰인 사천왕사 녹유신장상벽전(綠釉神將像7513塼)과 감은사 서탑 사리장엄구에서 볼 수 있는 한층 정교해진 도상과 높은 조형미를 통해 통일이라는 대업을 달성한 신라의 정치, 종교, 예술적 역량을 느낄 수 있다. 통일신라 후반기의 봉화 서동리, 창녕 술정리, 함양 승안사, 포항 법광사의 사리기는 당시 지방 사찰에서 전개된 불교 신앙의 일면을 보여주는 동시에 ‘무구정광대다라니경(無垢淨光大陀羅尼經)’의 유행이 가져온 사리장엄구의 변화를 잘 보여준다. 이외에 신라의 최초 사찰인 흥륜사를 비롯한 주요 사찰의 기와와 전돌 180여 점이 전시된다. 한편, 이번 불교사원실 신설은 2018년 이후 국립경주박물관이 진행해 온 전시 환경 개선 사업의 일환으로서 관람객들이 더욱 나은 환경에서 신라의 사원 문화를 접하게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윤희정기자

2021-11-24

‘분황사 당간지주’로 이름 바꿔 보물 지정

경주 분황사와 황룡사 사이에 있는 통일신라 시대 유물인 ‘당간지주(幢竿支柱)’가 국가지정문화재 보물이 된다.문화재청은 경북유형문화재 ‘경주 구황동 당간지주’를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로 이름을 바꿔 보물로 지정했다고 23일 밝혔다.당간지주는 절 입구에 설치하는 깃발인 ‘당(幢: 불화를 그린 기)’을 걸기 위해 높게 세운 기둥인 ‘당간’을 지탱하기 위해 당간 좌우에 세운 기둥을 말한다. 통일신라 시대 초기부터 사찰 입구에 본격적으로 세워졌다.경주 분황사 당간지주는 분황사 입구 남쪽과 황룡사 사이에 세워졌다. 고대 사찰 가람에서의 당간지주 배치와 분황사 가람의 규모와 배치, 황룡사 것으로 보이는 파손된 당간지주가 황룡사지 입구에 자리한 예가 있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보면 구황동 당간지주는 분황사에서 활용하기 위해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문화재청은 경주지역에 있는 주요 사찰의 당간지주와 유사한 조영 기법과 양식을 보인 점, 현존하는 통일신라 당간지주 중에서 유일하게 귀부형 간대석(竿臺石: 당간을 받치기 위해 하부에 받친 석재단)을 지닌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보물로 지정했다고 설명했다.전체적인 형태와 외관은 현재 보물로 지정된 경주 망덕사지 당간지주, 경주 보문사지 당간지주, 경주 남간사지 당간지주 등과 유사해 이들 당간지주와 비슷한 시기에 조성된 것으로 보인다고 문화재청은 덧붙였다.분황사는 신라를 대표하는 사찰 중 하나로, 634년에 창건했다고 전한다. 건물은 대부분 사라졌으나 벽돌 형태의 돌을 차곡차곡 쌓은 국보 모전석탑 등이 남았다.문화재청 관계자는 “이번에 보물로 지정된 경주 분황사 당간지주를 체계적으로 보존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해당 지방자치단체 등과 적극적으로 협조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경주/황성호기자 hsh@kbmaeil.com

2021-11-23

신라 황복사터 추정 출토 유물 32점 첫 전시 공개

신라 왕실 사찰로 알려진 경주 황복사(皇福寺) 추정 부지에서 발굴조사로 발견된 유물 32점이 공개된다.국립경주박물관은 오는 27일부터 10월 24일까지 영남권 수장고인 ‘신라천년보고’에서 2016년 이후 황복사터에서 나온 문화재를 선보이는 기획전 ‘전(傳) 황복사터 출토 신자료’ 특별공개 전시를 연다고 25일 밝혔다. 황복사터 유물은 그동안 발굴 현장에서 한시적으로 공개된 적은 있으나, 전시를 통해 소개되기는 처음이다.신라 왕성인 월성(月城) 동쪽 낭산 인근에 있는 황복사는 신라 고승인 의상대사가 654년에 출가했다는 절로, 의상대사가 허공을 밟고 올라가 탑돌이를 했다는 이야기가 전하기도 한다.지금은 국보로 지정된 삼층석탑 외에는 건물 흔적이 거의 없다. 1942년 삼층석탑을 해체했을 때 나온 금동사리함 뚜껑에서 ‘죽은 왕의 신위를 모신 종묘의 신성한 영령을 위해 세운 선원가람’을 뜻하는 ‘종묘성령선원가람(宗廟聖靈禪院伽藍)’이라는 글자가 나와 신라 왕실 사찰로 추정돼 왔다.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성림문화재연구원은 2016년부터 지난 4월까지 다섯 차례에 걸쳐 황복사터 발굴조사를 했고, 유물 2천700여점을 찾았다.이번에 전시되는 유물은 크게 불교조각, 명문(銘文·비석이나 기물에 새긴 글) 자료, 공예품으로 나뉜다.불교조각 중 금동불입상은 모두 7점이다. 대부분 옷 주름이 U자 혹은 Y자 형태이고, 오른손을 들어 올리고 왼손은 내린 모습이다. 관음보살로 추정되는 조각상은 왼손에 정병(淨甁·목이 긴 물병)을 들었다. 돌에 새긴 신장상의 주인공은 갑옷을 입은 무장이다. 표현 방식이 입체적이고 사실적이어서 통일신라시대 불교조각의 정수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는 평가를 받는다. 명문 자료로는 비석 조각과 글을 적은 나뭇조각인 목간이 나온다. 연못에서 나온 소나무 재질 목간은 적외선 촬영으로 ‘상조사영조사미이십일년’(上早寺迎詔沙?卄一年)이라는 글자가 판독됐다. 다만, ‘조(早)’는 ‘군(軍)’, 두 번째‘조(詔)’는 ‘담(談)’으로 볼 수 있다는 견해도 있다. 국립경주박물관 측은 목간에 대해 “다양한 해석이 가능하다”면서도 “끝부분에 구멍이 있어 승려의 신분을 알려주는 신분증이나 물품 꼬리표인 것 같다”고 설명했다.공예품은 반구형 금동장식과 불꽃 모양 금동장식, 세 발 청동솥, 청동병과 그릇, 녹유벼루 등이 공개된다.경주/황성호기자 hsh@kbmaeil.com

2021-08-25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 속 포항 ‘내연산 폭포’ 명승 된다

겸재 정선을 비롯한 조선시대 문인들이 그림으로 그리고 시로 노래한 포항 내연산 폭포가 명승이 된다.포항시는 23일 문화재청이 경북 포항 송라면에 있는 자연유산인 ‘포항 내연산 폭포’를 국가지정문화재인 명승으로 지정 예고했다고 밝혔다.포항시에 따르면 문화재청은 풍화에 강한 화산암을 기반으로 한 내연산에 폭포와 용소, 다양한 식물이 어우러져 아름다운 경관을 만들어내고 있고, 조상들이 그 아름다움을 묘사해 온 역사 문화적 가치 또한 높다고 설명했다. 다만 명승이 되는 구역은 이른바 ‘내연산 12폭포’로 알려진 폭포 전체가 아니라 삼용추(여섯 번째 관음폭포와 일곱 번째 연산폭포를 일컫는 옛 이름)를 중심으로 한 상생폭포, 보현폭포, 삼보폭포, 잠룡폭포, 무풍폭포, 관음폭포, 연산폭포 등 7개 폭포와 주변 지역으로 한정했다.옛 문헌인 ‘신증동국여지승람’과 ‘대동여지도’에는 내연산 폭포가 ‘내연산과 삼용추(三龍湫)’로 기록됐다. 용추는 폭포수가 떨어지는 깊은 웅덩이를 뜻한다. 포항 청하현감을 지낸 정선은 내연산 폭포와 삼용추 그림을 그렸고, 조선 중기 문인인 황여일과 서사원은 각각 ‘유람록’과 ‘동유일록’에 내연산 폭포에 관한 기록을 남겼다.동유일록에는 “만 길 하얀 절벽이 좌우에 옹위하며 서 있고, 천 척 높이 폭포수가 날아 곧장 떨어져 내렸다. 아래에는 신령스러운 못이 있어 깊이를 헤아릴 수 없었다. 연못가의 기이한 바위는 저절로 평평하게 돼 수십 명은 앉을 수 있을 것 같았다. 사다리로 올라보니 선계에 앉은 듯해 자신도 모르게 소리를 질렀다”는 대목이 있다.한편, 문화재청과 포항시는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포항 내연산 폭포의 명승 지정 여부를 확정한다./박동혁기자 phil@kbmaeil.com

2021-08-23

팔공산 주변 17∼18세기 불전 3채 보물로

팔공산 주변에 17∼18세기에 지어진 불전(佛殿) 3채가 보물로 지정됐다.문화재청은 경북유형문화재인 ‘칠곡 송림사 대웅전(大雄殿)’, 대구유형문화재 ‘대구 동화사 극락전(極樂殿)’, 대구문화재자료 ‘대구 동화사 수마제전(須摩提殿)’을 보물로 지정했다고 21일 밝혔다.세 건물은 임진왜란 이후인 17∼18세기 팔공산 일대에서 활동한 동일한 계보의 건축 기술자 집단이 조성한 것으로 추정되며, 영남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건축 특성이 잘 보존된 것으로 분석된다. 칠곡 송림사 대웅전은 사찰에서 중심이 되는 건물로, 정확한 창건 연대는 알려지지 않았다. 임진왜란을 겪고 1649년 재건됐으며, 1755년과 1850년에 건물을 보수하는 중수 작업이 이뤄졌다. 현재 규모는 정면 5칸, 옆면 3칸이다. 17세기 이후 다시 지은 사찰 건축물이 대부분 정면 3칸, 옆면 2칸인 점을 고려하면 이전 방식을 따르는 것으로 보인다. 중수를 거듭하면서 외관이 변했으나, 옛 부재를 최대한 재활용했고 공포(지붕 하중을 받치기 위해 만든 구조물) 등에서 팔공산 사찰 특유의 건축기법이 확인돼 역사성이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팔공산을 대표하는 사찰인 동화사 극락전과 수마제전도 17∼18세기 건축 수법을 엿볼 수 있는 건축 문화재다. 대구 동화사 극락전은 1600년(선조 33년)에 중건을 시작했다. 지금의 극락전인 금당(金堂)을 제일 먼저 건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문헌기록을 통해 1622년에 중창된 사실이 확인됐다.동화사 극락전은 창건 당시 기단과 초석을 그대로 사용해 감주나 이주 없이 동일한 기둥 간격의 평면을 구성했으며 상부 목조가구의 기본틀, 마룻바닥 하부에 방전(方塼·네모난 벽돌)이 깔려 있는 등 옛 기법이 많이 남아있다.동화사 수마제전은 극락전의 뒤쪽에 있으면서 고금당(古金堂)이라고 전한다. 1465년(세종 11년)에 건립됐고, 임진왜란 뒤 1702년(숙종 28년)에 중창했으며 현재의 건물도 17세기 이후의 기법과 옛 기법이 공존하고 있다. 사방 1칸 규모로, 구조가 복잡하고 장중한 느낌을 주는 다포식 공포에 맞배지붕으을 올렸다. 맞배지붕은 옆에서 보면 ‘ㅅ’자 형태다.이처럼 사방이 1칸이면서 다포식 공포와 맞배지붕을 채택한 불교 건물은 국내에서 동화사 수마제전이 유일하다고 알려졌다. 전반적으로 17세기 이후 기법과 옛 기법이 공존하며, 공포 의장에는 송림사 대웅전이나 동화사 극락전과 마찬가지로 17∼18세기 팔공산 지역 특징이 남았다./이곤영·김락현기자

2021-07-21

경주서 현존 삼국시대 최장신 인골 출현

신라 고분이 밀집한 경주 탑동유적에서 신장이 180㎝에 가까운 인골이 발견됐다.문화재청은 경주 탑동유적 발굴조사에서 현재까지 확인된 삼국시대 인골 중 최장신으로 판단되는 키 180㎝ 정도의 남성 인골을 찾아냈다고 15일 밝혔다.해당 유적은 경주 탑동 28-1번지로 경주 남천과 인접한 도당산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현재 한국문화재재단이 조사를 진행하고 있는 이 유적은 기원후 1세기 전후 목관묘를 비롯해 6세기까지 무덤이 조영된 것으로 알려진 신라의 중요한 무덤군이다.재단은 2010∼2021년 조사를 통해 돌무지덧널무덤 130기를 비롯해 무덤 180여기를 확인했다. 최근에는 5∼6세기 삼국시대 대표 무덤 24기와 그 내부에 있던 인골 총 12기를 확인했다.특히 이번 조사결과 주목되는 것은 2호 덧널무덤에서 확인된 180㎝에 가까운 신장의 남성 인골이다.이는 지금까지 삼국시대 무덤에서 조사된 남성 인골의 평균 신장 165㎝를 훨씬 넘으며, 현재까지 확인된 삼국시대 피장자 중 최장신이다. 보존상태도 거의 완벽하다.뿐만 아니라 조사 현장에서 긴급하게 이뤄진 형질인류학적 조사를 통해, 해당 피장자가 척추 변형(비정상적인 척추 만곡)이 있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앞으로 정밀한 고고학적 조사와 병리학적 연구를 통해 피장자가 당시 어떠한 육체적 일을 했는지와 직업군을 알아볼 예정이다.한편, 이번에 공개된 탑동 유적 인골은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가 수습해 한국문화재재단과 함께 다양한 학제간 융복합 연구를 추진하기로 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탑동 유적 발굴조사 과정에서부터 전문 연구자를 통한 정밀한 인골 노출과 기록, 수습·분석을 지원하고 있으며, 앞으로 인골을 통한 형질인류학적·병리학적 연구를 계획 중이다. 신라인의 생활과 당시 환경과 장례풍습을 규명하며, 또 두개골을 활용해 신라인 얼굴을 복원하고 유전자 본체인 DNA를 추출해 현대인과 비교하는 작업도 벌일 예정이다.경주/황성호기자 hsh@kbmaeil.com

2021-07-15

‘칠곡 가산바위’ 국가 명승으로 지정 예고

대구 산세를 내려다볼 수 있는 ‘칠곡 가산바위’가 명승지로 지정된다.문화재청은 최고 높이 902m인 칠곡군 가산면 가산에 솟은 칠곡 가산바위를 국가지정문화재 명승으로 지정 예고한다고 7일 밝혔다.칠곡 가산바위는 대구시 전경은 물론 영남 지역과 서울을 잇는 옛길인 영남대로 주변 산세를 굽어볼 수 있는 곳으로, 조선이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뒤 가산에 산성을 축조하기 전부터 천연 망루 역할을 한 곳이다. 17세기에 산성을 쌓을 때 이 바위를 이어 성을 쌓았기 때문에 지금도 가장 높은 망루다.진흙이 쌓여 만들어진 퇴적암이 평평한 반석 형태로 돌출돼 있으며, 정상부 넓이는 약 270㎡이다. 넓고 평탄한 층리(層理, 암석층에 따라 생기는 결)는 국내에 많은 화강암에서 보기 힘든 모습이라고 알려졌다.가산바위에는 통일신라시대 고승인 도선에 얽힌 이야기가 전한다. 도선이 바위 가운데에 있는 큰 구멍에 쇠로 만든 소와 말 형상을 넣어 지기(地氣, 땅의 정기)를 눌렀는데, 조선시대 관찰사 이명웅이 성을 만들 때 없앴다고 한다.조선시대 후기에 펴낸 읍지인 ‘여지도서(輿地圖書)’에는 가산바위에서 내려다보는 탁월한 전망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다.1899년 간행된 ‘칠곡부읍지’는 가산바위를 “칠곡의 3대 형승(形勝, 지세나 풍경이 뛰어난 곳)으로 바위 크기가 천여 명이 앉을 수 있을 만큼 넓어 사방 경관과 봉우리와 별들이 펼쳐져 있다”고 묘사했다.가산바위는 지난 2019년 방송된 드라마 ‘왕이 된 남자’에 등장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문화재청은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칠곡 가산바위의 명승 지정 여부를 확정한다.칠곡/김락현기자 kimrh@kbmaeil.com

2021-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