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학교가 사라지면 마을도 없어진다”···송라중 폐교 추진에 지역사회 반발

단정민 기자
등록일 2025-07-03 11:06 게재일 2025-07-04 3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송라중학교 폐교 반대 현수막. /단정민기자

포항 송라중학교가 폐교 절차에 들어가면서 지역사회 내부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포항교육지원청은 “법적 기준에 따른 정당한 행정 절차”라고 설명하지만, 일부 주민들과 동문은 “지역 의견이 무시됐다”며 반발하고 있다.

현재 송라중학교는 3학년 학생 4명이 전교생 전부이다. 인근 송라초등학교도 학생 수가 19명에 불과해 내년 입학생이 한 자릿수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교육부는 학생 수 15명 미만의 학교를 통폐합 대상으로 권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송라중도 올해 초 본격적인 폐교 논의에 들어갔다.

송라중 관계자는 “학교가 워낙 소규모이다 보니 교육부의 지침에 따라 교육청에서 통폐합을 추진하게 된 것”이라며 “최근 학부모 20명을 대상으로 폐교 관련 투표를 진행했는데, 과반 이상의 찬성이 나왔다”고 전했다.

이어 “학교는 단순한 숫자의 문제가 아니다. 지역의 공동체성과 정체성과도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지역민들과 동문들이 강하게 반발하는 이유도 바로 그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송라면발전협의회 관계자는 “중학교 하나가 사라지면 초등학교도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학교가 없어지면 마을의 기반이 무너지게 되고, 결국 다른 공공기관들도 하나씩 사라질 것”이라며 “송라 마을 자체의 존속이 위협받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폐교 부지를 지역 문화공간이나 공공시설로 활용하자고 했지만, 교육청은 받아들이지 않았다”며 “결국 수익을 목적으로 학교를 매각하려는 것 아닌지 의심이 든다”고 주장했다.

이어 “포항 전역에서 송라만 유일하게 폐교 찬성이 나온 것은 청하중학교 전학 시 지급되는 지원금 때문이라는 말이 마을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고 했다.

Second alt text
송라중학교 폐교 반대 현수막. /단정민기자

일부 주민은 학부모 투표 결과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

주민 A씨는 “학부모들이 경제적인 이유로 찬성표를 던졌고, 교육청은 그 결과만을 근거로 절차를 밀어붙이고 있다”며 “정작 다수 주민의 반대는 무시되고 있다”고 토로했다.

이에 대해 경북도포항교육지원청 관계자는 “송라중학교 폐교는 경북 지역 전체의 학생 수 감소와 교육부 지침에 따라 진행되는 통합 정책의 일환이며 송라만을 특정해 폐교를 추진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사전 조사와 학부모 투표를 통해 충분한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왔고, 송라중의 경우도 두 차례 투표에서 모두 찬성률이 60%를 넘었다”며 “7월에는 행정예고를, 하반기에는 경북도의회 심의를 거쳐 최종 결정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폐교가 확정되면 해당 부지와 건물에 대해 타 기관 유치 가능성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활용 수요가 없을 경우 지역사회와 협의를 거쳐 매각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고 밝혔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