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국내은행 연체율 0.64%로 상승···기업·가계 모두 악화

김진홍 기자
등록일 2025-07-27 10:21 게재일 2025-07-28 6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5월 국내 경제주체들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모두 악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클립아트 코리아 제공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이 5월 들어 다시 상승했다.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모두 연체율이 확대되며 전반적인 자산 건전성 우려가 커지고 있다.

27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5월 말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잠정)’에 따르면, 1개월 이상 원리금이 연체된 대출 비중은 0.64%로 전월(0.57%)보다 0.07%포인트 상승했다. 전년 동월(0.51%)과 비교하면 0.13%포인트 높은 수준이다.

5월 중 신규 연체 발생액은 3조5000억 원으로 전월(2조9000억 원)보다 6000억 원 늘었으며,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1조7000억 원으로 전월과 유사했다. 이에 따라 신규연체율은 0.14%로, 전월(0.12%) 대비 0.02%포인트 상승했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대출 연체율은 0.77%로 전월(0.68%)보다 0.09%포인트 높아졌다. 특히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0.95%로 전월(0.83%) 대비 0.12%포인트 상승했으며, 중소법인은 1.03%, 개인사업자 대출은 0.82%로 각각 전월 대비 0.14%포인트, 0.08%포인트 상승했다.

대기업 대출 연체율은 0.15%로 여전히 낮은 수준이지만, 전년 동월(0.05%)에 비해 0.10%포인트 높아졌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7%로 전월(0.43%) 대비 0.04%포인트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32%로 전월보다 0.02%포인트 증가했고, 주담대를 제외한 기타 가계대출(주로 신용대출)은 0.94%로 0.08%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은 “5월 중 연체율이 전월 및 전년 동월보다 확대됐다”며 “신규 연체 증가 등으로 연체율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에 따라 금융회사들이 연체·부실채권 상매각, 손실흡수 능력 확충 등을 통해 자산 건전성 관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지도할 계획이다.

김은성 금감원 건전금융팀장은 “향후 연체·부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해 취약 차주 중심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선제적인 채무조정을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김진홍경제에디터 kjh25@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