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쌀값이 금값⋯한 달 새 만 원 올라

장은희 기자
등록일 2025-09-10 16:36 게재일 2025-09-11 6면
스크랩버튼
20kg 한포대 한달새 2만원 올라
재고 부족•가격 상승 현실화에
농림부 할인 지원 3000→5000원
Second alt text
10일 대구 동구 한 마트에서 10㎏ 포대의 쌀 값을 확인한 시민이 구매를 하지 않고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쌀값이 연일 치솟으면서 소비자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10일 오전 대구 동구의 한 마트 매대에는 인기 품종과 저렴한 쌀이 이미 동나고 일부 제품만 남아 있었다. 예전에는 매대 전체에 다양한 종류와 가격대의 쌀이 가득했지만, 지금은 한 칸에 몇 포대만 덩그러니 놓여 있는 모습이었다.

20㎏ 포장은 찾아볼 수 없었고, 10㎏ 고흥햅쌀과 예천순수진미는 각각 3만 4900원, 여주쌀은 4만 4900원에 판매되고 있었다. 3만 7900원이라고 표시된 쌀은 이미 매진됐다. 손님들은 가격표를 살펴보다가 “너무 비싸다”며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다.

남구의 또 다른 마트 사정도 다르지 않았다. 꾸준히 판매되던 황금메뚜기쌀 20㎏은 6만 9000원까지 올랐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5만 원 미만이던 이 쌀은 7월 말 5만 9800원에서 지난달 초 6만 2000원, 8월 중순 6만 5000원, 8월 말 6만 9000원으로 오르며 한 달 사이 1만 원가량 뛰었다. 안계미와 이천쌀 같은 인기 품종은 이보다 1만~2만 원 더 비싼 가격대를 형성했다.

남구 대명동에 사는 이정옥(62) 씨는 “쌀값이 너무 올라 몇 번이나 살까 하다가 결국 포기했다”며 “내리지 않고 오르기만 해서 올겨울 먹을 쌀을 미리 사둬야 할지 고민이다”고 말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10일 기준 20㎏ 쌀 한 포대 가격은 5만 4630원으로 지난달 5만 2900원보다 3.3% 올랐다. 지난해 같은 시기(4만 3842원)와 비교하면 무려 24.6% 상승했다.

쌀값 급등은 △기상 악화로 인한 생산량 감소 △벼멸구 피해로 인한 도정수율 하락 △정부의 2024년산 쌀 20만t 시장격리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2024년산 전국 쌀 생산량은 358만 5000t으로 전년 대비 3.2% 감소했다.

재고 부족과 가격 상승이 현실화하자 농림축산식품부는 11일부터 쌀 할인지원을 기존 20㎏당 3000원에서 5000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또 이달 말까지 3만t의 정부 양곡을 시장에 공급할 예정이다. 다만 수확기 수급에 미칠 영향을 고려해 기존 공매 방식 대신 ‘대여’ 방식을 적용했다. 올해 생산분을 우선 공급하고, 내년산 조생종이 수확되면 되돌려 받는 구조다.

농식품부는 지난해에도 쌀값 안정을 위해 26만t 규모의 시장격리를 실시했으며, 그 결과 올해 쌀값은 평년보다 높은 수준으로 형성됐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쌀값 급등이 생산자와 소비자 간 이해가 엇갈리는 사안인 만큼 단순히 시장의 자율 조정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고 지적했다. 

김승규 경북대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는 “농산물 가격은 계절성과 수급 상황에 따라 시간이 지나면 안정될 수 있지만, 그 과정에서 소비자 피해가 불가피하다”며 “정부가 보다 정교한 수급 관리와 실질적인 물가 안정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글·사진/장은희기자 jangeh@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