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사회

신용 `빵점` 신용사회

포항시 북구 죽도동에 사는 김모(55)씨는 KB 국민은행에서 오로지 체크카드 하나만 이용하고 있다. 김씨는 최근 카드 3사의 정보유출 소식을 듣고 혹시나 하는 마음에 조회를 해봤으나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성명, 이메일,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자택·직장정보 등은 물론 결제계좌, 타사카드 이용실적과 한도까지 빠져나간 것. 김씨의 가족들도 이번에 유출된 농협·롯데카드를 이용하고 있어, 가족 모두가 피해를 봤다.김씨는 “카드사고 은행이고, 보험이고 한두 번도 아니고 개인정보를 이런 식으로 취급해 놓고 사과라고 지껄이는데 이제 진저리가 난다”며 “금융당국의 솜방망이 처벌이 이런 범죄들을 조장하고 있는 것”이라며 분통을 터트렸다.최근 금융권에 따르면 KB 국민카드와 롯데카드, 농협카드에서 1억 400만 건의 고객 정보가 유출되는 과정에서 국민은행뿐만 아닌 다른 시중은행 고객 정보도 대량으로 유출됐고, 최소 수백만 명에서 최대 1천여만 명의 은행 고객 정보가 빠져나간 것으로 추정된다.지난 17일부터 해당 카드사 온라인 사이트에서는 유출정보확인 서비스를 제공했으며, 유출된 범위가 상당한 것으로 드러나 유출 여부를 조회해 본 이용자들은 이처럼 현재 혼란에 빠져 있다.한편, 이번 사고로 유출된 정보로 인한 2차 피해를 막으려면 무엇부터 해야 할까. 우선 카드번호와 유효기간이 모두 유출됐을 경우는 카드 재발급을 받아야 한다. 두 가지 정보로만 카드 결제가 가능하므로 해외결제차단을 미리 해두는 것이 카드 도용에 의한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만약 카드를 해지하려는 경우, 현재 연말정산기간이므로 소득공제용 증빙서류를 먼저 떼어 놓아야 불편을 막을 수 있다.공인인증서 역시 폐기처리하고 새로 발급받는 것이 좋고, 카드 결제계좌도 바꿔 주는 것이 안전하다.또 20일부터는 카드사들이 고객들에게 유출 정보 내역을 통보할 예정이라 금융당국과 카드사를 사칭한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전화 등의 사기가 기승을 부릴 것으로 보여 당분간 카드사 사칭 문자메시지 등에 주의가 요구된다./고세리기자manutd20@kbmaeil.com

2014-01-20

포항 한 요양병원서 장애환자 폭행 의혹

포항 지역의 모 요양병원에서 한 요양보호사가 지체장애 3급의 장애인 환자를 폭행했다는 의혹이 제기돼 물의를 빚고 있다. 지난 10일 엄모(36)씨는 자신의 아버지가 한 요양병원에서 요양보호사로부터 폭행을 당한 피해자임에도 오히려 가해자로 내몰렸다며 억울함을 호소했다.엄씨는 지체장애 3급의 장애인인 아버지가 하반신 신경쇠약으로 대·소변을 가리기 힘들어 지난해 10월 27일 지인의 소개를 받고 포항에 있는 모 요양병원에 입원시켰다는 것.그런데 지난해 11월 19일 오전 지인으로부터 엄씨의 아버지가 요양보호사의 얼굴을 때렸다는 연락을 받았다. 병원으로 달려간 엄씨와 자녀들은 병원측으로부터 “아버지가 요양보호사의 얼굴을 때려 치아가 흔들린다. 병원생활에 적응을 못하니 타 병원으로 옮겼으면 좋겠다”는 말을 들었고, 이날 다른 요양병원으로 아버지를 입원시켰다.하지만 새로 옮긴 병원에서 엄씨는 아버지의 행동이 이상함을 느꼈고, 곧 전신을 살폈다.엄씨는 아버지의 전신에서 머리 타박상, 왼쪽 손가락에 물린 자국, 코뼈 골절상의 흔적을 발견했다. 여기다 대퇴부에서 폭행을 당한지 오래된 멍자국까지 확인했다.엄씨는 “아버지는 요양병원에 입원하기 전에는 정신은 멀쩡했다”며 “그런데 아버지가 자식들을 알아보지도 못했다. 더욱이 아버지에게 우유를 권했지만 겁에 질려 손사래를 쳤다”며 병원 입원 전·후의 아버지 행동이 몹시 이상했다고 말했다.엄씨는 요양보호사가 걱정돼 다음날인 20일 병문안을 갔지만 병원측의 말과는 달리 요양보호사가 맞은 것이 아니라는 판단을 내렸다.치아가 흔들릴 정도라면 당연히 입부위에 맞은 타박상이 있어야 함에도 요양보호사의 얼굴 눈밑으로 긁힌 흔적만 있을 뿐, 맞은 흔적은 없었다는 것.엄씨는 “편안한 보살핌을 받고 병세가 호전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아버지를 요양병원에 모셨는데 폭행을 당한 흔적을 보니 자식으로서 도저히 참을 수가 없다”고 분개했다.이어 그는 “더욱이 아버지의 전신에는 구타당한 흔적이 여러 군데 확인됐음에도 병원측은 병원내에서 일어난 일이 아니다며 극구 부인하고, 법대로 하라는 무성의한 답변을 일관하고 있다”며 “힘없고 돈 없는 서민들이 병원의 횡포에 일방적으로 당해야하는 현실이 안타깝다”고 하소연했다.이와 관련 지난 10일 해당 병원 관계자는 “오히려 엄씨의 아버지가 병원 요양보호사들을 구타한 적이 있다. 퇴원하기 전 아버지의 몸에는 이상이 없었다”며 “다른 병원에서 생긴 흔적일 수도 있다. 병원 직원들이 환자를 폭행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며 폭행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하지만 사건 발생 개요를 묻는 질문에 병원 관계자는 “11월 18일 밤, 요양보호사가 엄씨의 아버지 몸에 묻은 대변을 씻기는 과정에서 샤워기를 두고 실랑이를 벌였고, 이 과정에서 엄씨 아버지 손이 요양보호사의 입으로 들어가는 바람에 손가락을 깨물었다는 말을 요양보호사로부터 들었다”고 설명했다.이에 본지 기자는 `깨물었다`는 것은 곧 폭행을 의미하는 것 아니냐고 재차 묻자, 병원 관계자는 “깨물었다는 것이 아니고 `깨물었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얘기한 것”이라며 곧바로 말을 바꿨다./김기태기자 kkt@kbmaeil.com

2014-01-13

왜관 IC `검은 일요일`

12일 하루 동안 경부고속도로 경북 칠곡군 왜관IC 부근 상·하행선에서 교통사고가 잇따라 발생해 3명이 숨지고 14명이 다쳤다.이날 오전 6시53분께 경부고속도로 하행선 왜관IC 부근에서 승합차·트럭·도로공사 순찰차 등 차량 5대가 연속으로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이 사고는 운전기사 신모(25)씨의 2.5t 탑차가 차선을 변경하다가 2차로를 달리던 이모(59)씨의 봉고 승합차를 추돌하면서 발생했다.이어 2차로에 서 있던 봉고차를 뒤따라 오던 김모(43)씨의 카니발 승합차가 추돌하면서 봉고차에 타고 있던 김모(52)씨와 카니발에 탄 김씨의 딸(13)과 우모(11)양이 숨졌다.또 사고현장을 피하려던 11.5t 카고트럭 운전기사 조모(56)씨는 중앙분리대를 들이받은 후 탑차와 추돌했고 뒤따르던 도로공사 렉스턴 순찰차는 봉고차와 카고트럭을 충돌하고 나서 멈춰 섰다.이날 사고로 3명이 사망한 데 이어 카니발에 탄 또 다른 우모(4)양 등 5명이 중상을 입었고 고모(71·여)씨 등 5명이 경상을 입어 인근 병원에서 치료를 받았다.아울러 하행선 사고에 앞서 이날 오전 6시41분께 상행선 왜관IC 부근에서는 승용차 2대가 추돌해 4명이 부상을 입었다.고속도로순찰대 3지구대 관계자는“카니발 승합차에 일가족 7명이 타 사상자가 많았다”며“상행선에서 사고가 나면서 하행선으로 자동차 파편 등이 튀며 사고가 발생한 것인지, 하행선 운전자들이 상행선 사고를 지켜보다가 사고가 났는지 조사하고 있다”고 밝혔다./김영태기자 piuskk@kbmaeil.com

2014-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