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우리 곁의 작은 이웃, 길고양이

등록일 2025-07-31 19:58 게재일 2025-08-01 12면
스크랩버튼
Second alt text
숨바꼭질하는 길고양이. 

집에서 나서는 길, 집으로 돌아오는 길마다 나는 집 앞 작은 공원에서 고양이를 찾게 된다. 공원 한쪽에는 고양이 사료와 물이 담긴 그릇이 놓여 있다. 저녁 무렵이면 하나둘 모습을 드러내는 고양이 손님들을 위한 배려다. 매일 이 자리를 지키며 고양이들을 챙기는 이는 일명 ‘캣맘’, 고양이 엄마다. 그녀가 돌보는 고양이는 대여섯 마리쯤 되어 보인다.

고양이들과 가까워지고 싶어 살며시 다가가 보지만, 번번이 도망가기 일쑤다. 편의점에서 고양이 간식을 사서 가져다 줘도 녀석들은 눈치를 살피며 다가오지 않는다. 간식을 바닥에 놓고 잠시 자리를 비우자, 그제야 조심스럽게 다가와 먹기 시작한다. 신뢰를 얻는 일이 그만큼 쉽지 않다는 걸 매번 느낀다.

어느 날, 고양이들에게 사료를 주던 캣맘을 우연히 마주쳤다. 그녀는 고양이들의 이름과 특징을 하나하나 설명해 주었다. 친해지기 어려웠던 고양이, 아픈 고양이, 식욕이 많은 고양이 이야기를 애정있게 전해주었다. 고양이들 대부분은 중성화 수술을 받은 듯, 한쪽 귀 끝이 작게 잘려 있었다. 고양이들과 가까워지고 싶은데 나만 보면 도망간다고 하소연하자, 그녀는 고양이 한 마리를 쓰다듬으며 자신도 신뢰를 얻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고 말했다.

밤거리를 가만히 들여다보면 골목 구석구석에 작고 부드러운 생명이 숨 쉬고 있다. 담벼락 위를 조용히 오르내리는 발자국 소리, 쓰레기봉투를 뒤적이다가 깜짝 놀라 튀어나오는 그림자, 해가 지면 아무렇지 않게 배를 드러내며 누워 있는 털복숭이들. 이들은 어느새 도시 풍경의 일부가 되었다. 눈에 익은 존재이지만, 마음으로 다가가기란 결코 쉽지 않다.

집에서 기르는 반려묘와는 달리, 길고양이는 오롯이 스스로를 지켜야 한다. 사람들의 시선과 도시의 소음, 갑작스러운 기온 변화, 굶주림과 질병 속에서도 살아남기 위해 더욱 경계심 많고, 민첩해질 수밖에 없다. 우리가 ‘도망간다’고 느끼는 순간에도 고양이들은 살아남기 위해 ‘도망쳐야만’ 했을지도 모른다.

이런 길고양이들에게 관심을 갖고, 따뜻한 손길을 내미는 캣맘들이 조금씩 늘고 있다. 이들은 단순히 먹이를 챙겨주는 것을 넘어서, 고양이들의 터전을 만들어주고 중성화 수술과 치료를 통해 건강한 생존을 돕는다. 과거에는 쓰레기봉투를 뒤지고 밤새도록 울어대던 고양이 소리가 익숙했지만, 이제는 그 모습이 눈에 띄게 줄었다. 번식력이 강한 고양이의 특성상 개체 수 조절은 필수이며, 중성화는 그 첫걸음이다.

캣맘의 활동은 단순한 ‘고양이 돌봄’을 넘어 지역 생태계의 조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불필요한 마찰을 줄이고, 유기 동물로 인한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데에도 일조한다. 무엇보다도 우리가 함께 살아가는 공간에서 생명에 대해 책임감 있는 태도를 기르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모두가 이런 활동을 반기는 것은 아니다. 고양이들이 한 곳에 몰리며 소란스럽다고 느끼는 주민들도 있다. 사료 그릇 주변이 지저분해진다거나, 배설물로 인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고양이를 좋아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 사이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선 배려와 규칙이 필요하다.

캣맘 역시 스스로 지켜야 할 매너가 있다. 정해진 시간에만 먹이를 주고, 먹이가 남지 않도록 치운다. 사료는 깨끗한 그릇에 담아 위생을 지키고, 배설물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모래를 깔아두는 것도 한 방법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주민들과의 소통이다. 오해를 줄이고 협력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찾는 과정이 필요하다.

길고양이를 돌보는 일은 단순한 ‘먹이 주기’가 아니라, 생명과 공존에 대한 실천이다. 이 작은 이웃이 우리 곁에서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일은 동네를 더 따뜻하고 건강한 공간으로 만드는 시작일 수 있다.

/김소라 시민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