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목탁 굿즈 부스 등 MZ 북적⋯힙한 불교 성지가 되다

김재욱 기자
등록일 2025-09-14 15:57 게재일 2025-09-15 8면
스크랩버튼
MZ세대 참여 증가, 다양한 불교문화 체험 '눈길'
입장권 구매 어려움, 행사의 소규모 형태는 개선 필요
 ‘2025 대한민국불교문화엑스포’ 행사장 전경.

대구 엑스코에서 지난 11일부터 열리고 있는 ‘2025 대한민국불교문화엑스포’에 관람객 발길이 모이며 성황을 이뤘다. 무엇보다도 MZ세대(20~30대) 참여가 크게 증가해 눈길을 끌었다.

지난 13일 엑스포 현장에서는 ‘팔정도(八正道) 카드’를 모으는 ‘히든 담마 챌린지’가 큰 인기를 끌고 있었다. 8장의 카드를 모두 모은 관람객에게 증정하는 ‘가피박스’는 개막 2시간 만에 조기 소진됐으며, 전날에 이어 이틀 연속 매진됐다. 

김미정 씨(23·여)는 “지인 추천으로 챌린지에 참여하려 했으나 조기 소진돼 아쉬웠다”며 “내일 다시 도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불교 관련 굿즈 부스에 젊은 관람객이 몰려 있다.

특히 이번 엑스포에서는 MZ세대의 참여가 두드러졌다. 불교 관련 굿즈 부스에는 젊은 관람객들이 몰려 쇼핑몰을 연상시켰으며, 체험 부스에도 긴 줄이 이어지며 ‘힙한 불교’ 문화가 확산했다.

이날 은해사 주지 덕조스님은 ‘행복을 찾는 인연’을 주제로 한 강연에도 인파가 몰렸다. 덕조스님은 “인연은 원인과 조건이 모여 이루어진 결과”라며 “인연을 어떻게 바라보느냐에 따라 삶의 모습이 달라진다”고 강조했다.

이뿐만 아니라, 다양한 전시·체험 프로그램으로 풍성한 볼거리도 제공했다.

엑스포는 ‘도심 공양간’ 특별전을 비롯해 건축, 공예, 불교예술, 수행의식 등 9개 장르의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신라와 가야의 불교문화유산을 기반으로 한 대구·경북 지역의 인프라를 활용해 한국 전통불교문화의 계승과 발전을 이끌고 있다.  

다만 아쉬운 부분도 일부 발생했다. 입장권 구매의 어려운 점과 적은 규모에 대한 아쉬움이다.

가족과 함께 방문한 조 모 씨(41·여)는 “사전 예약을 놓쳐 현장 구매하려고 부모님을 모시고 왔고, 긴 줄을 선 후 예매하려니 QR코드에 작성하고 오지 않으면 구매할 수 없다고 했다”며 “결국 다시 QR코드를 찍은 후 작성하고, 다시 줄을 서서 입장권을 살 수 있었다. 많은 인파가 몰리는 행사에 이런 불편함이 웬 말이냐?”라고 말했다.

또 다른 이 모 씨(69·여)는 “처음 행사부터 꾸준히 다니고 있는데 대구 행사 규모는 너무 소규모로 하는 거 같다”면서 “물품 판매보다는 다양한 체험과 볼거리를 풍성하게 마련해주면 좋을 것 같다”고 전했다.

글·사진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